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4-29 02:31:39

엑스컴 2: 롱 워 2/지원병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엑스컴 2: 롱 워 2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엑스컴 2: 롱 워 2/저격병과
, 엑스컴 2: 롱 워 2/화기병과
, 엑스컴 2: 롱 워 2/전술병과
, 엑스컴 2: 롱 워 2/SPARK
, 엑스컴 2: 롱 워 2/저항군
,

1. 특수병
1.1. 능력1.2. 추천 트리

1. 특수병

아군을 보조하는 병과. 직접적인 전투보다는 아군을 보호하고 전투를 유리하게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 주요 무기로 산탄총/돌격 소총/기관단총을, 보조 무기로 그렘린을 사용한다. 스킬은 바닐라 당시와 유사하게 의무병 트리와 해커 트리로 크게 구분되며 가운데 트리에는 경계병 트리가 배치되어 있다.

일단 의무병 트리는 게임 구조적으로 그닥 인기가 없는데, 엑스컴 게임의 특성상 한번 부상입은 병사는 아무리 잘 치료해 줘도 미션이 끝나면 부상판정이 뜨면서 한동안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애초에 최대한 부상자가 나오지 않도록 진행하는게 기본이라 힐러는 할 일이 별로 없고, 행여 힐러가 할 일이 많다는 것은 게임이 아예 터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모든 공격을 다 피하면서 진행할 수는 없는 게임이고 특히 철인모드라면 반드시 부상자와 출혈자가 나오기 마련이므로 어려운 난이도일수록 필수적인 병과가 된다. 원사까지 키워놓은 병사를 적의 눈먼 공격에 잃고 싶지 않다면 반드시 키워 두자.

경계병 트리는 바닐라에서는 정석으로 여길만큼 인기있는 트리였지만 롱워에서는 효율이 미묘하다. 적들의 체력이 대폭 늘어나고 숫자도 많아지면서 조준이 불안정하고 데미지 증가스킬도 없는 특수병이 경계를 설 메리트가 많이 줄었다. 무엇보다 경계 스킬을 찍다보면 놓치게 되는 다른 스킬들이 아깝다. 경계는 전문가인 돌격병이나 경계 트리 탄 SPARK에게 맡기고 해킹과 치료에 전념하자. 멀티트리 설정을 켜뒀을때 한정으로 조준이 높다면 채용해볼만하긴 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유명무실하다.

해커 트리는 기계 유닛들을 상대하는데 특화된 트리로 인기가 높다. 해킹 자체는 특수병의 기본능력으로 의무병 트리를 타도 할 수 있지만 그 안정성은 해커 트리와 비교할수 없으며 적에게 직접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스킬도 있기 때문에 전투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떡장갑한 MEC나 섹토포드를 상대할 때 해커 특수병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난이도는 엄청나게 차이가 난다.

기본적으로 사격할 일이 별로 없는지라 경계 트리를 타지 않는 한 조준 능력치는 필요가 없고 주로 후방에서 아군을 지원하는 병과다 보니 기동력도 높으면 좋지만 필수는 아니다. 대신 의무병트리를 타든 해커트리를 타든 해킹은 무조건 하게 되어 있으므로 해킹 능력치가 높을수록 특수병 적성이 높다. 기동력과 조준을 안따지다 보니 가장 맘편하게 아무 신병이나 골라잡아서 만들 수 있는 병과. 그리고 아군을 보조하는 특성상 장교로 만들기에도 최적화되어 있다.

주무기로는 기동성을 살리고 싶은 경우에는 기관단총을, 경계트리를 타거나 화력 보조를 노린다면 돌격소총을 사용한다. 혹은 초반에 아군 사이로 파고드는 드론을 격추시키기 위해 산탄총을 사용하기도 한다. 주무기만큼이나 아이템 세팅이 중요한데 초반에는 주로 메디킷과 연막 수류탄을 들고 중반부터는 메디킷과 스컬잭을 사용한다.

무기부착물은 소음기가 필수이고 그 외는 자유. 딱히 사격에 집중하는 병과가 아니다 보니 자유롭게 세팅이 가능하다.

1.1. 능력

1.2. 추천 트리


* 경계 특수병

* 지원 특수병
* 해커 특수병

[1] 1.2버전까지는 그렘린을 병사로 취급해서 지원 프로토콜의 대상이 된 병사는 외로운 늑대 보너스를 받지 못하는 버그가 있었으나, 1.3패치에서 수정되었다. [2] 시야가 닿으면 목표가 클로즈업되며 브래포드가 대사를 치기 때문에 해킹 가능한 자리를 가늠할 수 있다. [3] 어벤저 방어전은 최대 12 [4] 남은 임무에서 조준과 치명타율 +10 [5] 보급품 습격 같은 임무들 [6] 전투 프로토콜과는 달리 방어구에 막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