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5:34:01

엄간

厳幹

생몰년도 미상

1. 개요2. 생애3. 창작물에서

1. 개요

후한 말,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 는 공중(公仲). 사례 빙익군 동현 출신. 엄한(嚴翰)이라고도 한다.

2. 생애

한미한 가문의 출신으로 동현의 이의와 친했고 성격은 점잖으면서 마음씨가 너그러웠으며, 중평( 194년 ~ 195년) 말에 20여 세 때 엄간은 검술을 좋아했다.

사례 빙익군의 명문인 환씨, 전씨, 길씨, 곽씨, 이전의 시중이었던 정문신 등이 이의와 함께 엄간의 점잖고 너그러운 인품을 인정했으며, 삼보의 난이 일어나자 사람들은 피난했지만 엄간은 이의와 함께 고향을 떠나지 않고 사람들과 함께 해 장작을 구하면서 스스로 생활했다.

건안( 196년 ~ 220년) 초에 관중의 길이 열리고 조칙으로 인해 빙익군 서부의 여러 현들이 분할되어 좌내사군이 군의 치소가 되고 동부의 여러 현들은 임진이 군의 치소가 되었는데, 소속으로 보면 엄간은 서부를 섬기는 것이 당연했지만 이의의 주장에 따라 엄간은 동부를 섬겼다.

엄간은 사례교위가 불렀지만 가지 않았고 어느 때에 한 해가 끝날 무렵에 군에서 엄간을 효렴으로 천거했으며, 포판령에 임명되었다가 병으로 인해 관직을 떠났다. 다시 효렴으로 천거되어 공거사마령이 되었고 주의 요청으로 조칙에 따라 의랑에 임명되자 귀향하고 주의 정치에 참여했으며, 202년 곽원을 토벌했을 때와 206년 고간을 잡을 방법을 마련한 공적으로 인해 엄간은 무향후에 봉해졌고 홍농 태수로 승진했다.

211년 마초가 관중에서 군사를 일으키자 그 세력권에 가까워 홍농군의 주민들이 흩어져 달아났는데, 마초가 패한 후에는 엄간은 한양 태수로 옮겨졌다. 난이 끝난 직후에 학문에 대한 생각을 고쳐 《춘추공양전》을 특별히 좋아했으며, 종요가 공양전을 좋아하지 않고 《 춘추좌씨전》을 좋아해 좌씨전이 궁중 요리사라면 공양전은 시장 떡가게라고 하자 엄간은 종요와 수 차례 장단점의 옳고 그름을 따졌다.

종요는 사람이 눈치가 빠르고 민첩해 지론을 좋아하자 엄간은 말을 더듬 거려 임시로 굽힘이 없이 대응했고, 종요가 공양전의 저자가 좌씨전의 저자인 좌구명에게 항복했다고 하자 엄간은 추천받아 관직에 오른 고리(엄간)가 명사군(종요)에게 항복한 것이라 공양이 수긍하지 못했다고 응수했다.

후에 익주 자사로 승진했지만 길이 통하지 않았기에 황초 연간( 220년 ~ 226년)에는 오관중랑장으로 옮겼으며, 조예 때 영안태복으로 승진했다가 몇 년 후에 사망했다.

배송지에 따르면 《 위략》에 장기, 서서, 이의, 유초, 양습, 조엄, 배잠, 한선, 황랑과 같은 열전에 수록했다.

3. 창작물에서

소설 조자룡 하북제패에서는 기주 상산군 정형현 사람으로 구씨산으로 와서 노식, 팽백을 찾으러 왔다가 노식을 통해 고유와 서로 소개했고 빈손으로 오는 것은 예가 아니라며 노식과 팽백에게 서책과 죽간을 선물했다.

노식이 최열에게 천거했다면서 엄한이 주어질 자리는 4백 석 낭중이라 필요한 서책을 두루 볼 수 있을 것이라 하자 엄한은 녹봉은 중요하지 않고 그저 서책을 볼 수 있다면 더 바랄 것도 없다고 했으며, 노식이 조정의 부름을 받기 전까지 고유를 살펴주라고 하자 노식의 요청에 따라 춘추의 가르침을 이야기해주기로 한다.

고유와 이야기해보면서 감탄하고 고유에게 가르침을 주는 것이 아닌 말벗이 되기로 했으며, 중앙의 부름을 받고 치서시어사를 지내다가 역현의 현령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