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5:45:08

쓰름매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약칭으로 불리는 게임에 대한 내용은 쓰르라미 울 적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쓰름매미(쓰르라미[1], 뚤래미)
Meimuna mongolica
파일:쓰르라미.jpg
학명 Meimuna mongolica
Distant, 1881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노린재목(Hemiptera)
아목 매미아목(Auchenorrhyncha)
매미과(Cicadidae)
애매미속(Meimuna)
쓰름매미(M. mongolica)
1. 개요2. 이야깃거리
[clearfix]

1. 개요

매미과 애매미[2][3] 속에 속하는 곤충.

한자로는 (매미 선), [4]이다.

길이는 평균 약 31mm 이다.

몸의 윗면은 검은색 바탕에 녹색과 노란색을 띠는 선과 무늬가 어우러져 있다. 반면 몸체의 아랫면에는 연한 올리브색을 띠고 있다. 활동시기는 6월 말부터 시작해 9월 중순까지 볼 수가 있다. 저녁매미(히구라시)와는 다른 종이다.

가끔 쓰름매미가 전국적으로 매우 흔하다고 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애매미, 털매미, 말매미, 참매미(이마저도 도시 민가 기준으로는 지역차가 큼)가 전국적으로 매우 흔한 종이고, 쓰름매미와 소요산매미, 유지매미는 서식지가 전국이긴 하지만 지역차가 매우 큰 종으로, 없는 곳은 정말 눈을 씻고 찾아 봐도 여름 내내 울음소리 하나 들을 수 없을 정도이다.[5] 특히 쓰름매미는 도시, 특히 아파트가 많은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공원과 같이 어느 정도 숲이 울창한 곳에 가야 찾아볼 수 있다. 서울에는 양천구 목동신시가지아파트 쪽에 많다고 알려졌으며[6], 코엑스 근처의 선정릉에 가면 울음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 그 외 북한산 습지나 우포늪 등 저지대 습지에서도 상당수 들을 수 있다.


쓰름매미 울음소리

울음소리는 이름 그대로 "쓰~름 쓰~름"이지만, 이름을 모르는 상태에서 들으면 "스테~얼 스테~얼"이나 "씨리~얼 씨리~얼" 혹은 “아스피린~ 아스피린~”으로 들리기도 한다.

일본에는 없고[7] 한국, 중국에 분포하는 재래종 매미다.

대신 일본에서는 오오시마제미(オオシマゼミ)라 부르는 애매미속의 Meimuna oshimensis가 있는데 쓰름매미와 유사하게 울음소리를 낸다. 들어보기1 들어보기2

쓰르라미 울 적에 등의 일본의 서브컬처 창작물에서 언급되는 ヒグラシ(히구라시, 저녁매미)(Tanna japonensis)는 쓰르라미(쓰름매미, Meimuna mongolica)와는 종이 다르다. 일본에서 쓰름매미는 コマゼミ(코마제미)라고 한다.

일본의 저녁매미와는 달리 여느 다른 매미들처럼 아침~한낮에 울며, 소리가 굉장히 밝고 활기차다.[8]

2. 이야깃거리


[1] 이 이름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불리는 이름이다. [2] 애매미랑 조금 먼 친척이라 생각하기엔 울음소리나 멜로디가 다르긴 하지만 애매미의 후반부 '스피오- 스피오-'의 부분을 '스피~욠- 스피~욠-'처럼 운다고 여러 번 비교해보면 미묘하게 닮았긴 하다. [3] 좀 더 말하자면 쓰름매미 울음소리 한 구절과 애매미의 초반부 파트 일부를 골드웨이브 같은 프로그램으로 0.5~0.25배로 재생해서 비교해보자 느린 속도의 울음소리에서 닮은 부분이 딱 온다. [4] 다만 이건 저녁매미도 의미하기 때문에 정확히 쓰름매미를 의미하는지는 확인이 필요하다. [5] 한 예로 울산광역시의 경우, 남구 기준으로 울산대공원, 태화강역(舊 울산역) 등 비교적 큰 공원 지역에서 간혹 쓰름매미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고, 유지매미는 아예 서식하지 않는다. [6] 특히 목동 13단지쪽에 매우 많다. [7] 일본에 서식하는 종은 저녁매미이다. [8] 한국에서는 도시 지역 참매미 말매미를 제외하면 저녁이나 밤에 우는 매미는 아예 없으며, 밤에는 귀뚜라미 같은 풀벌레 소리 정도만 들린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시골 한여름 밤은 풀벌레 정도를 제외하면 매우 조용하다. [9] 애매미의 일본말이 '츠쿠츠쿠보시'로 요츠바가 '츠쿠시'라고 애칭을 지어주는 상황인데 한국말로 대체하기 어려워서 바꾼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