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8:53:58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등장 캐릭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등장 함선
,
,
,
,
,

1. 개요2. 플레이어블 캐릭터3. 플레이 불가
3.1. 라이트 사이드3.2. 다크 사이드
4. 덱 목록

[clearfix]

1. 개요

2. 플레이어블 캐릭터

2.1. 라이트 사이드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등장 캐릭터/라이트 사이드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2.2. 다크 사이드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등장 캐릭터/다크 사이드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2.3. 중립

2021년 6월 대대적으로 패치가 되면서 중립 태그가 6년 만에 생겼다. 2022년 10월 6일 혼도 오나카의 등장으로 마침내 중립 소속의 캐릭터가 출시됐다. 애시당초 라이트/다크 사이드 태그는 실제로 라이트 사이드/다크 사이드를 따지는게 아니라 해당 캐릭터가 매체에서 선역인지 악역인지(혹은 주동인물인지 반동인물인지)에 따라 부여됐는데, 혼도의 경우 선역으로 나올 때도 있고 악역으로 나올 때도 있어서 중립이 된 듯. 상징색은 라이트와 다크를 섞은 보라색이 아닐까라고 유저들이 추측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라이트의 파랑, 다크의 빨강 둘 다 아닌 흰색 색깔로 결정됐다. 왐파 같은 기존의 애매한 캐릭터들이 중립으로 바뀔지는 불명.
====# 악당 #==== ====# 밀수꾼 #====

3. 플레이 불가

게임상 등장하기는 하지만 실제 플레이는 불가능한 캐릭터들. 거의 항상 적으로만 나오며, 경우에 따라 간혹 플레이어블로 출시되기도 한다.

3.1. 라이트 사이드

====# 제다이 #==== ====# 반란군 #====


====# 클론 트루퍼 #====
주로 다크사이드 영토전에서 등장하는데, 하나같이 제다이들보다 강력한 기묘한 캐릭터들.오더 66이 성공한 이유가 있었다 제다이들과 함께 등장하면 주로 1순위로 공격 대상이 된다.

====# 기타 #====

3.2. 다크 사이드

====# 제국 #====
====# 시스 제국 #====
====# 악당 #====
====# 분리주의자 #====
대체로 지오노시스 라이트사이드 영토전에 등장하며, 게임 내 최강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지오노시스 라이트사이드 영토전 적들 답게 무시무시하게 강력하다.

비드로이드 분리주의자 캐릭터는 모두 플레이어블이므로 드로이드에 관해 설명한다.
====# 드로이드 #====
====# 투스켄 #==== ====# 퍼스트 오더 #====
====# 기타 #====

4. 덱 목록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등장 캐릭터/덱 목록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참고로 이 사이트는 EA 공식 게시물에도 언급되는 사이트이다. [2] 실제로 베이즈의 기본 공격에 '지금 당장 상점으로 달려가서 로그 원 번들을 사세요!'라고 되어 있었다. [3] 심지어 체력 흡수율 100%까지 고유 능력으로 갖고 있기에 평타 한방이면 체력이 거의 꽉찬다... [4] 라이트사이드인지는 불명확하다. 애초에 펠루시아 토착 생물이긴 하지만 다크사이드 영토전에서 나오는 적이므로 일단 라이트사이드로 기술. [추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68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6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