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16:37:22

스메르시

스메르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메르시라는 별칭으로 잘못 알려진 다연장로켓에 대한 내용은 BM-3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싸제 군장에 대한 내용은 스메르시(군장)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소련-러시아 정보기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방첩/첩보 정치경찰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체카(Cheka) 1917~1922
합동국가정치국(OGPU) 1923~1934
내무인민위원부(NKVD) 1934~1946 스메르시(SMERSH) 1943~1946
국가안전부(MGB) 1946~1953
국가보안위원회(KGB) 1954~1991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해외정보국(SVR) 1991~ 연방방첩국(FSK) 1991~1995
연방보안국(FSB) 1995~
군사정보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정보총국(GRU) 1918~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colbgcolor=#B5211E><colcolor=#000> 스메르시
СМЕРШ
파일:external/505ec151101d0ed00a0fa15b6a66b713f9fc05d346cccba0aabaf039da7115a6.jpg
1943년 발행된 스메르시 신분증
창설일 1941년 2월
해체일 1946년 5월 4일
국가
[[소련|]][[틀:국기|]][[틀:국기|]]

1. 개요2. 역사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독소전쟁 당시 존재했던 소련군의 방첩기관.

스메르시(SMERSH)란 이름은 "스파이들에게 죽음을!"( 러시아어: СМЕРть Шпио́нам, 스메르피오남)의 줄임말로 스탈린이 직접 제안해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전쟁기간 중 1943년 4월 14일 내무인민위원부에서 독립되어 총 3개 조직으로 나뉘게 된다.

위 3개 조직은 각각의 인민위원부에 소속된 독립적인 조직이었다.

국방인민위원부 스메르시는 소련군 소속으로써 엄청난 권한을 발휘했는데, 이유인즉 군 소속이면서 스탈린의 직속 기관이다. 즉, 시작부터 당 소속 정보기관에서 독립되어 있으면서 군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가 가능하도록 창설된 기관이라는 소리.

2. 역사

1941년 2월에 내무인민위원부 산하 특무국이 독립해 국방인민위원부 소속 산하기관이 되면서 등장했다. 이후 1941년 7월에 다시 내무인민위원부에 합쳐졌으나, 1943년에 다시 국방인민위원부 소속으로 부활했다. 이 당시 정식명칭이 바로 '스메르시'다.

일단은 당 서기장인 스탈린이 독소전쟁 중반 당의 군에 대한 개입을 축소하면서 군에 재량권을 부여했다는 입장이 정설이긴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에 대한 통제권을 놓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근거 중 하나가 바로 스메르시의 존재이다.

보통 군 방첩기관들이 하는 스파이 색출과 반게릴라 공작, 수집한 정보 평가는 물론이고, 군 시설물의 상태 점검, 무능한 지휘관 처단, 사기 저하 및 탈영 방지, 암시장 적발, 적 협력자 색출, 사상 검증 등의 기존의 정치장교들이 하던 일까지 일부 이어받기까지 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포로가 되었던 자들을 심사해서, 독일군에 부역했는지의 여부를 알아내는게 주 임무였는데, 이 과정에서 수많은 이들이 무고하게 처형되거나 굴라크로 끌려갔다.

지나친 면이 없진 않지만, 당시 소련군 포로 중 안드레이 블라소프 러시아 해방군, 발트 SS 군단이나 반공 의용대, 카자크 등의 부역자 조직에 가담한 자가 수만 명이 넘었으므로 이런 편집증적인 심사가 아주 이유가 없던 것은 아니었다. 물론 이렇게 부역 혐의가 확실한 자들 외에 무고한 이들까지도 스메르시의 고문이나 유도심문에 많이 얽힌 자들도 있었다.[1]

전쟁이 끝난 뒤 더 이상 이런 업무가 불필요해지자, 1946년 이후에는 소련 국가안전부(내무인민위원부의 후신이며, 국가보안위원회의 전신)에 흡수되었다.[2]

3. 대중매체


[1] 그 예로 여러 대의 적기를 격추시켜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까지 받은 어느 공군 에이스의 기구한 일화가 있다. 그는 출격했다가 독일군에 격추된 후 독일군의 포로가 되었는데, 소련군이 포로 수용소를 해방시키자 고향에 돌아가게 되었다고 기뻐했지만 스메르시가 심사과정에서 엉뚱한 트집을 잡아서 고향 대신 굴라크로 직행했다. 다행히 흐루쇼프 시절에 풀려나 영웅 칭호도 되받기는 했다. [2] 내무인민위원부, 국가안전부 등의 소련의 공안- 정보기관뿐만 아니라 경찰, 소방 등도 모두 군 계급과 동일한 계급체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블라디미르 푸틴은 국가보안위원회(KGB) 중령이었다), 이렇게 필요에 따라 조직을 군에서 합병하고 다시 분리하는 것이 의외로 수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