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3:25:49

소울 테이커(애니메이션)

소울 테이커 (2001)
The Soul Taker 〜魂狩〜
파일:external/www.animenation.net/soul-taker.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액션, 판타지
원작 타츠노코 프로 기획실
감독 신보 아키유키
시리즈 구성 세키지마 마요리
캐릭터 디자인 와타나베 아키오
총 작화감독
소울테이커 디자인 하야마 켄지(羽山賢二)
크리처 디자인 웍스 사토 케이이치
비주얼 디렉터 테츠라 토시아키(鉄羅紀明)
메카닉 디자이너
미술 감독 히가시 준이치(東 潤一)
컬러 디자이너 이이지마 타카에(飯島孝枝)
컬러 디렉터 카이 케이코(甲斐けいこ)
촬영 감독 마츠야마 마사히코(松山正彦)
편집 세키 카즈히코(関 一彦)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음악 오오타니 코우(大谷 幸)
프로듀서 카와세 코헤이(川瀬浩平)
요시다 쇼이치(吉田昇一)
스즈키 미치코(鈴木路子) WOWOW
애니메이션 제작 타츠노코 프로덕션
제작 「The SoulTaker」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01. 04. 04. ~ 2001. 07. 04.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WOWOW / (수) 23: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3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특징 & 평가3. 등장인물
3.1. 주인공 일행3.2. 호스피탈3.3. 키리하라 그룹3.4. 플리커3.5. 기타
4. 등장 뮤턴트5. 관련 설정6. 주제가
6.1. OP6.2. ED6.3. 8화 ED
7. 회차 목록

[clearfix]

1. 개요

타츠노코 프로덕션의 2001년 작품으로, 13화로 완결된 TVA. 감독은 신보 아키유키. 이 작품이 소위 말하는 신보 스타일이 완성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1] 눈이 아플 정도의 색감과 예술적 화면 구성은 신보 아키유키가 시청자를 고려하지 않고 극한까지 스타일을 추구했다는 느낌을 준다. 신보 아키유키를 논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작품이면서 소울 테이커만큼 신보가 신보한 작품은 없다고 할 수 있다.

2. 특징 & 평가

기존의 열혈로 점철된 히어로물에서 벗어나자는 취지로 기획된 작품으로, 작품 내외적으로 그동안의 타츠노코 히어로물과는 많이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우선 기존 타츠노코의 히어로물인 갓챠맨과 캐산, 포리마 등이 모두 평범한 인간이 파워드 슈츠를 입음으로써 강력한 힘을 쓰는 것(캐산의 경우에는 조금 다르지만)과는 달리 본 작품의 주인공 다테 쿄우스케는 말 그대로 자신의 몸 자체를 바꿔서 소울 테이커로 '변신'한다. 또한 주역 히어로인 소울 테이커의 디자인도 그동안의 특촬 히어로 풍이었던 타츠노코 히어로들과 달리 검은 날개를 달고 있는 악마와 같은 디자인으로, '생명체'라는 느낌을 강하게 주고 있다.[2]

화면이 어둡다는 단점은 있으나 스토리 진행과 병행해서 매 화 격렬한 액션을 보여준다는 점은 높이 평가 받아야 하는 작품이다. 액션에 자원을 소모하느라 정지화상을 남발하는 폐해는 이 시절부터 있었지만 그걸 커버할 정도로 연출이 우수한 편.

십자가, 스테인드 글라스 등의 기독교적 상징이 많이 등장하는 것도 특징인데 그냥 멋있으라고 집어 넣은 것은 아니고 주인공의 원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쿄스케와 루나는 외할아버지가 저지른 죄에 의해 태어났고 살기 위해 살인등의 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태생적으로 죄를 저지르기 쉬운 운명이라 할 수 있다.

작품 내적인 요소 외에도 많은 차이점이 있는데, 우선 소울 테이커는 타츠노코 작품 중 최초로 와이드 화면 비율(16:9)로 제작된 작품이다. [3] 또 화면 연출에 있어서도 한 화면 전체를 같은 계통의 색으로 점철하는 등 특이한 연출이 많다. 1화 첫 장면인, 주인공 쿄우스케가 거꾸로 매달려서 경련하고 있는 장면이 이 연출 특유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실험적인 요소를 많이 집어넣은 의욕적인 작품이었으나, 애석하게도 흥행 성적은 그리 좋지 못했다. 그리고 4년 후인 2005년에 발표한 KARAS까지 흥행에 실패함으로써 타츠노코는 결국 도산하고 말았다. 어떤 의미에서는 타츠노코 도산의 시발점이 되어 버린 불쌍한 작품.

작품의 실패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일단 주된 요인으로는 지나치게 독특했던 화면 연출이 꼽히고 있다. 같은 계통의 색으로 화면 전체를 칠하는 연출이 꽤 독특한 분위기를 주기는 했지만, 빨간색 같은 강렬한 색이 화면 전체를 덮고 있을 때는 눈이 아프다는 사람들이 있다. 또 시종일관 무겁고 암울한 분위기, 근친살해 등이 자주 나오는 하드한 스토리도 많은 사람들에게 어필하기는 힘들었다. 작품 자체가 졸작이었던 것은 결코 아니고, 대다수 시청자들의 취향에 맞지 않았던 것이 실패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암울한 분위기와 출생의 비밀, 존속살해 등은 KARAS나 테카맨 시리즈와도 통하는 면이 있다. 하지만 소울 테이커의 경우는 세뇌당한 것도 아니고 악인이라서도 아닌 각자의 신념과 이유가 있기 때문에 혈육간에 사랑하면서도 상처 입히고 죽일 수밖에 없는 비극이 그려진다.

하드한 스토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작품이며, 이 다크 히어로적인 요소가 나중에 KARAS로도 이어진다는 것을 보면 꽤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성우진이 꽤나 화려해서 귀도 즐겁다.

이 작품을 모르는 사람도 JAM Project가 부른 오프닝곡 Soul Taker,[4]그리고 이 작품에서 파생된 외전 너스위치 코무기짱 매지카르테와 그 주인공 코무기는 아는 경우가 많다.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는 대중이 쉽게 받아들일 작품은 아니지만 신보 아키유키의 작가성이 발휘된 작품이라고 평했다. 여기서 부족했던 걸 발전시킨 게 코제트의 초상이라고 생각한다고. #

3. 등장인물

3.1. 주인공 일행

3.2. 호스피탈

3.3. 키리하라 그룹

3.4. 플리커

생명의 위기를 느낀 루나가 뮤턴트의 힘으로 만들어낸 분신. 성별만은 루나와 공유하고 있지만 연령, 용모, 성격 등 여러가지 면에서 다르다. 드물게 루나의 기억 일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여럿 있다.너스위치 코무기 시리즈에서는 밑도 끝도 없이 코무기와 함께 추락하는 개그캐들이지만[9] 여기서는 비극의 운명을 타고난 소녀들이다.[10]

3.5. 기타

4. 등장 뮤턴트

5. 관련 설정

6. 주제가

6.1. OP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
파일:heisei_anisong_taisho.png
2000년~2009년
특별상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Agapē 멜로큐어(メロキュア) TV 애니메이션 『 円盤皇女ワるきゅーレ』 삽입곡
ふわふわ時間 사쿠라고 경음부(桜高軽音部) TV 애니메이션 『 けいおん!』 삽입곡
SOULTAKER JAM Project TV 애니메이션 『 The Soul Taker 〜魂狩〜』 OP테마 }}}}}}
OP
SOULTAKER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JAM Project
작사 카게야마 히로노부
작곡
편곡 스도 켄이치(須藤賢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OP 디렉터 사토 케이이치
콘티
연출 나카무라 켄지
작화감독 와타나베 아키오
아이자와 마사히로
원화 노다 야스유키, 타케우치 신지, 소토자키 하루오, 후쿠요 타카아키(福世孝明), 하시모토 타카시, 스즈키 히로후미, 야마네 마사히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2. ED

ED
MEMORY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카키지마 신지(柿島伸次)
작곡
작사 미에노 히토미
편곡 이와사키 타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ED 디렉터 이노카와 신타로(井之川慎太郎)
작화 테츠라 노리아키(鉄羅紀明)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3. 8화 ED

8화 ED
As Time goes by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아사미 코세이(浅見昂生)
작사
작곡
편곡 이와사키 타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ED 디렉터 이노카와 신타로(井之川慎太郎)
작화 와타나베 아키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 회차 목록

각화의 타이틀은 미스테리 소설이나 환상소설의 제목에서 따 왔다.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悪魔の紋章篇
악마의 문장편
쿠보타 마사시
(久保田雅史)
신보 아키유키 이노카와 신타로
(井之川慎太郎)
와타나베 아키오 2001.04.04.
제2화 うつし世は夢篇
현세는 꿈 편
아라키 켄이치
(荒木憲一)
帆村壮二 하야마 켄지
(羽山賢二)
2001.04.11.
제3화[K] 髑髏と少女篇
해골과 소녀 편
쿠보타 마사시 타케모토 야스히로 요네다 미츠요시
(米田光良)
키타노하라 노리유키[M]
2001.04.18.
제4화 蠢く闇篇
꿈틀거리는 어둠 편
우에타케 스미오
(植竹須美男)
쿠도 스스무 아사미 마츠오
(浅見松雄)
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2001.04.25.
제5화 人外魔境篇
인외마경 편
쿠보타 마사시 사토 케이이치
帆村壮二
나카무라 켄지 아이자와 마사히로 2001.05.02.
제6화[K] 成層圏魔城篇
성층권 마성편
세키지마 마요리 타케모토 야스히로 요네다 미츠요시
키타노하라 노리유키[M]
2001.05.09.
제7화 女人果篇
여인과 편
아라키 켄이치 카와하라 유지
(河原祐二)
후쿠모토 키요시
(福本 潔)
테라오카 이와오 2001.05.16.
제8화 地獄の仮面篇
지옥의 가면 편
우에타케 스미오 深武史朗 이노카와 신타로 소토자키 하루오 2001.05.23.
제9화 死美人の幻影篇
죽은 미인의 환영 편
세키지마 마요리 호소다 마사히로 스즈키 요시오
(鈴木吉男)
카도 토모아키 2001.05.30.
제10화 虚無への供物篇
허무로의 공물 편
우에타케 스미오 이노카와 신타로 코하라 마코토
(小原 充)
타메이에 진토
(為家尽人)
코치야 시로
(東風屋志郎)
2001.06.13.
제11화 孤島の鬼篇
외딴섬 악마 편
아라키 켄이치 사카타 준이치 오오하라 미노루
(大原 実)
쿠하라 시게키
아이자와 마사히로
2001.06.20.
제12화 黒衣の聖母篇
흑의의 성모 편
쿠보타 마사시 미즈노 카즈노리 마츠조노 히로시
(松園 公)
소토자키 하루오 2001.06.27.
제13화 少女地獄変
소녀지옥 편
세키지마 마요리 신보 아키유키 와타나베 아키오 2001.07.04.


[1] 이때는 아직 샤프트에서 감독을 맡기 이전이다. [2] 타츠노코 히어로 중엔 제너레이터 가울(1998)도 뮤턴트계 히어로였다. 주인공답지 않은 괴물스런 디자인도 개성적이었지만 지명도가 낮아서 묻혔을 뿐. [3] 초창기 와이드 화면 TV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 방송국인 WOWOW는 2000년대 초부터 HD 방송에 신경썼는데, 소울 테이커와 오버맨 킹게이너는 이런 시도의 결과물이다. [4] 이 곡을 불렀을때의 멤버구성은 JAM Project 초대 멤버였다. 여성멤버가 오쿠이 마사미가 들어오기 이전 초대멤버였던 마츠모토 리카였고, 미즈키 이치로도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멤버의 라이브는 CD와 라이브의 차이를 생각한다고 해도 곡의 느낌이 많이 다르다. [5] 사실 다테 미오는 쿄스케의 목숨을 위협하여 뮤턴트 소울 테이커의 힘을 깨우려던 것이다. 루나를 찌른 토키사카 츠바키 역시 마찬가지. [6] 하지만 정작 토키사카 츠바키는 이 일에 대해 몰랐다. 그녀의 아버지 토키사카 다이고가 츠바키를 살리기 위해 멋대로 한 짓이었기 때문. [7] 원래 인체실험의 목적은 에일리언의 암컷인 루나를 탄생시키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그 과정의 희생자인 뮤턴트들의 증오는 루나를 향하고 있지만 같은 완전체 뮤턴트인 쿄스케 또한 증오한다. 리처드는 리더로서 동포들의 원한을 무시하기 어려웠던데다가 쿄스케가 플리커와 루나를 죽이는 데 반대하면서 대립하게 된다. [8] 베타 아프리콘으로 인해 쿄스케와 싸웠을 때는 이미 이틀밖에 수명이 남지 않았다. [9] 그나마 미사키 마야는 여신 역이라 그래도 위엄이 있긴 하지만 나중에 가면 도긴개긴으로 역시나 개그캐로 전락한다. [10] 그나마 미사키 마야는 희생양 역이라 정말로 비극의 운명에서 벗어나지 못하지만 다른 캐릭터들은 나중에는 오히려 루나를 사냥하러 달까지 가며 쿄스케의 적이 된다. 물론 소녀가 아닌 한 명(다테 미오)은 제외. [11] 성우는 세키 토시히코. 전영귀라 불리며 자신의 신체를 전기신호로 변환해 물질 사이를 초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뮤턴트. 소울 테이커로 각성한 쿄우스케에 의해 쓰러진다. 성격은 상당히 호전적이며 어딘가가 부서진 듯한 변질적인 행동을 한다. 루나나 플리커를 크란케(Kranke, '환자'라는 뜻의 독일어.)라고 부른다. [12] 성우는 카시와쿠라 츠토무. 노래하는 정신 치료사. 변신 후 모습은 박쥐와 닮았으며 초음파 공격도 가능하다. 타치바나 사야카가 다니는 학교의 학생을 유괴해, 그 시체에 자작곡을 피로한다고 하는 악취미를 갖고 있는 뮤턴트. 플리커인 타치바나 사야카를 자신의 오디션에 추가하고 싶다고 생각해 덮친다. [13] 성우는 코야마 리키야. 영안실의 전사. 가능한 한 오래 살고 싶은 듯 하루 시간 대부분을 가사 상태로 보낸다. 호스피탈에서의 끝없는 플리커의 살육에 염증을 느끼고 진정한 전투를 원하며 최강의 전사와 싸우기를 꿈꾼다. "사람은 믿을 만한 존재인가"에 대한 대답을 메구미에게 보여주기 위해 소울 테이커에게 결투를 신청했고, 전투에서 패해 뿔뿔이 흩어져 갔다. [14]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루나가(호스피텔은 소울 아누비스가 정리했다.) 달을 근거지로 삼아 다테 쿄우스케를 반려자로 맞이하고 인류를 말살시켜 새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한 요람으로 만들어서 기다리며 플리커 소녀들은 토키사카 다이고의 조정으로 그런 루나를 살해하기 위해 습격한다. 마지막은 쿄우스케가 루나를 죽이든가 살리든가 어느 쪽을 선택하는가가 주 내용인데 사실 어느 쪽이든 정답이 아니라는 함정이 있다. [15] 후에 루나의 과거를 체험한 쿄우스케는 나이프로 자식을 찌를 당시 츠바키가 눈물을 흘렸던 걸 보고 그녀가 한 행동은 자신의 양어머니 미오처럼 사랑하는 자식을 살리기 위한 선택이었다는 걸 깨닫는다. [16] 에이리언과 거래해서 츠바키의 몸에 그녀의 불치병을 고칠 수 있는 베타 아프리콘을 나눠주는 대신 그 베타 아프리콘을 제8콜로니의 전원(=호스피탈)에게 투여하기로 한 것. [17] 2화는 주인공의 사랑하는 사람이 죽는다는 무거운 에피소드임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일본 시대극 패러디로 점철되어 묘하게 유쾌한 분위기가 아이러니하다. [18] 즉, 병원 내 의사, 간호사, 환자 및 그 가족들이다. [19] 개체에 따라 어느 정도의 연령으로 태어나는 듯하다. [20] 건강한 육체와 초능력을 얻고 인간 그대로의 외모에 딱히 부작용도 없는 나카하라 코무기는 대단히 희귀 케이스일 것이다.지능저하가 부작용일지도 그보다는 개그화가 부작용일 듯. [K] 교토 애니메이션 하청 편. [M] 메카 [K]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