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2:54:50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항우울제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에 나오는 가공의 군사조직 S.N.R.I에 대한 내용은 사나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종류

1. 개요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NRIs)

세로토닌에만 영향을 미치는 SSRI에서 더 나아가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도 방지하도록 고안되었다. 비교적 최신의 항우울제라고 할 수 있다. 대개 우울장애에 대해 더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있지만 증상이나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약물의 유효 효능이 다르니, SNRI가 반드시 SSRI보다 더 좋다고는 할 수 없다.

SNRI는 약물에 따라서 노르에피네프린에 작용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이팩사 및 프리스틱의 경우 고용량을 복용해야만 노르에피네프린에 유의미하게 작용한다.[1] 반면에 심발타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에 비슷한 수준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60mg으로도 이팩사보다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종류

* 데스벤라팍신(desvenlafaxine): 와이어스(화이자)에서 이팩사의 후속 신약으로 발표한 프리스틱®의 주성분이다. 벤라팍신의 활성 대사물질인 데스벤라팍신 성분으로 제조한 것으로. 개인간의 체질 차이에 의한 효능이 다른 점이 개선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한다. 흡수율이나 활성화율 차이를 제외하면 적응증이나 효능이 동일하여 큰 관심은 받지 못하고 유럽 연합에서는 우울장애 치료제로서의 허가신청을 철회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2014년 식약청에서 주요우울증 치료제로 허가를 받고 "프리스틱서방정"을 한국화이자에서 판매 중.[5] 벤라팍신과 마찬가지로 고용량 복용시 협압이 높아지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Reboxetine





[1] 이팩사XR서방캡슐(벤라팍신) 기준 권장 처방 용량은 1일 150mg이지만, 1일 225mg 이상을 사용해야만 노르에피네프린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근데 1일 3정까지만 국민건강보험 적용이 되고, 그 이상은 국민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한국의 정신과에서는 사실상 1일에 75mg 캡슐 3알이 처방 최대한도라고 볼 수 있다. [2] 300mg/day 이상을 처방할 경우 심혈관질환의 부작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225mg/day가 처방의 한계라 보면 된다.(입원환자에게는 375mg) [3] 관련기사 [4] eXtended Release - 서방정과 동일하게 약물성분이 한번에 흡수되는 게 아닌, 서서히 방출되는 타입. [5] 현재는 독점이 풀려서 데팍신이나 에스벤 같은 약들도 나온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