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09:16:56

성간 천체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태양계
Solar System | 太陽系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letter-spacing: -0.8px"
항성
행성
<nopad> 지구형 행성
[[지구|지구]]
<nopad> 목성형 행성 [A]
[[천왕성|천왕성]]
티타니아
등 28개
[[해왕성|해왕성]]
트리톤
등 16개
항성 Fixed Star 지구형 행성 Terrestrial planet
 
목성형 행성 Jovian planet
 

소행성체 왜행성 [B]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소행성대 1 세레스 · 2 팔라스 · 4 베스타 외 다수
켄타우로스족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카이퍼대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134340 명왕성 ( 카론 등 5개)
하우메아족 136108 하우메아 ( 히이아카 · 나마카)
큐비원족 136472 마케마케 ( S/2015 (136472) 1)
산란 분포대 136199 에리스 ( 디스노미아)
세드나족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성간 천체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오르트 구름
구조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각주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1. 개요2. 천체 목록3. 관련 문서

1. 개요

Interstellar object

성간 천체 태양계 주변에서 발견하거나 태양계에서 생성된 것이 아닌 태양계 바깥에서 온 천체들, 쉽게 말해 태양계 말고 다른 곳에서 생겨나 태양계를 스쳐 지나가는 천체들을 말한다. 2017년 10월 오우무아무아를 발견하며 새로 만든 분류이다.

기본적으로 첫 발견 때 붙는 임시 명칭은 혜성들과 비슷하며 번호를 붙이는 방식 역시 주기 혜성들처럼 발견 순서대로 I 앞에 번호가 붙는 식이다. 외부에서 유입된 천체이기에 타원궤도가 아닌 쌍곡선궤도를 그리느라 이심률이 1을 넘기는 것이 특징이다. 오우무아무아 발견 이전 이심률이 가장 높았던 천체로는 1980년 12월 목성을 스쳐 지나가며 계산 결과 1.057 이심률을 찍은 혜성 C/1980 E1이 있지만 해당 사례는 710만년만에 다시 근일점으로 다가오던 평범한(?) 초장주기 혜성이 재수없이 태양계 중력 큰형님 목성을 만나는 바람에 궤도 바깥으로 튕겨나간 사례라서 오우무아무아와 같은 예로 볼 수는 없었다.

지금까지 발견한 천체는 단 두 개 뿐이지만 실제로는 보다 많은 성간 천체들이 태양계 근처에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 결과에서는 514107 카에파오카아벨라와 CNEOS-2014-01-08를 포함한 몇몇 소행성은 태양계 형성 당시 포획한 성간 천체로 분석하기도 한다.

2. 천체 목록

번호 천체 이심률 지구 접근 거리 발견 날짜
1I 오우무아무아 1.20113 0.1616 AU 2017년 10월 19일
2I 보리소프 3.35749 1.937 AU 2019년 9월 2일

3. 관련 문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