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2:17:57

일본의 성/이시가키

석원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umamoto_Castle_02n3200.jpg
구마모토 성(熊本城)의 거대한 이시가키.

1. 개요2. 역사3. 구조4. 분류
4.1. 가공 정도4.2. 축조 방법4.3. 축조 형태4.4. 기능

1. 개요

이시가키([ruby(石垣, ruby=いしがき)])는 모든 종류의 돌담과 석축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문서에서는 일본식 성곽에서 방어선인 누선([ruby(塁線, ruby=るいせん)])을 이루는 두 가지 종류의 축대 중 하나에 대해 서술한다.

2. 역사

[ruby(古, ruby=고)][ruby(代, ruby=대)]([ruby(飛鳥, ruby=아스카)]) [ruby(中, ruby=중)][ruby(世, ruby=세)]([ruby(鎌, ruby=가마)][ruby(倉, ruby=쿠라)]) [ruby(中, ruby=중)][ruby(世, ruby=세)]([ruby(室, ruby=무로)][ruby(町, ruby=마치)]) [ruby(中, ruby=중)][ruby(世, ruby=세)]([ruby(戦, ruby=센)][ruby(国, ruby=고쿠)]) [ruby(織, ruby=쇼쿠)][ruby(豊, ruby=호)]([ruby(織, ruby=오)][ruby(田, ruby=다)]) [ruby(織, ruby=쇼쿠)][ruby(豊, ruby=호)]([ruby(豊, ruby=도요)][ruby(信, ruby=토미)]) [ruby(織, ruby=쇼쿠)][ruby(豊, ruby=호)]([ruby(倭, ruby=왜)][ruby(亂, ruby=란)]) [ruby(近, ruby=근)][ruby(世, ruby=세)]([ruby(江, ruby=에)][ruby(戸, ruby=도)])
파일:2016-03-22_001_北側.jpg 파일:101055_0003.jpg 파일:5e2ac8835ac931579862147.jpg 파일:1200px-Kannonjij12.jpg 파일:252558.jpg 파일:5be4f4ead54031541731562.jpg 파일:20211102_153656.jpg 파일:1200px-Matsuyama_castle(Iyo)1.jpg
다카마츠 시에 있는 야시마 성(屋島城)의 이시가키. 후쿠오카 시에 있는 원구방루(元寇防壘)의 모습. 마츠모토 시에 있는 하이바라 성(埴原城)의 이시가키. 오미하치만 시(近江八幡市)에 있는 간논지 성(観音寺城)의 이시가키. 오미하치만 시에 있는 아즈치 성(安土城)의 산록거관 이시가키. 가라츠 시(唐津市)에 있는 히젠나고야 성(肥前名護屋城)의 이시가키.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에 있는 부산성(釜山城)의 이시가키.[1] 마츠야마 시에 있는 이요마츠야마 성(伊予松山城)의 이시가키.

백강 전투(663)에서 백제·왜 연합군이 패배한 뒤 일본에서는 당나라 신라 일본 열도 침공에 대비하여 망명한 백제계 도래인들의 기술을 이용해 기타큐슈 에서 세토내해 연안 각지, 그리고 기나이 지방 곳곳에 이른바 조선식 산성[2]을 쌓았는데, 이때 성곽에 이시가키가 처음으로 도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조선식 산성들은 판축토루 외에 부분적으로 이시가키가 잔존한다. 그러나 그 후 중세에 이르기까지 대규모의 이시가키를 쌓는 기술은 잊혀진 것으로 추정된다.

1274년 원나라의 일본원정 때, 1276년까지 하카타 만 연안에 이시츠키지(石築地) 또는 겐코보루이(元寇防塁)라고 불리는 대규모의 석벽이 구축되었다. 다만, 이시츠키지는 성이라기보다는 방벽의 형태로 쌓았기 때문에[3], 세키루이(石塁)라고도 한다. 그 후 대규모 이시가키는 다시 전국시대까지 자취를 감춘다.

무로마치 시대의 성곽에서는 2미터 정도의 소규모 이시가키가 잔존하고, 근세 성곽의 이시가키와 같이 방어의 목적으로 쌓은 것이 아니라 주로 구루와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보강의 차원에서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중세의 이시가키 기술은 사원의 기단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그 기술이 근세 이후 성곽의 이시가키에 채택되었다.

16세기 중반, 일본에 조총이 전래된 이래 일본 성곽은 큰 전환점을 맞이한다. 전국시대의 중세 성곽은 구루와(郭)를 가지고 토루나 절벽 등에 의한 방어 시설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건물 자체를 방어하기보다는 대인(對人) 방어 시설이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조총이라는 관통력이 있는 중화기가 전래됨에 따라, 그 공격을 막는 중량(重量) 구조물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그 기초로서 이시가키가 채택된 것이다. 그 무렵 시가 현(滋賀県)간논지 성(観音寺城)에서 근세성곽 이시가키의 효시라고도 불리는 석축이 구축되었다. 이때 이시가키를 다룬 기술자 집단이 아노슈(穴太衆)[4]. 아노슈는 오다 노부나가에게 고용되어 아즈치 성의 이시가키를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세성곽의 대규모의 이시가키 건축은 아즈치 성(安土城)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시가키라고 하는 튼튼한 기초를 얻음으로써, 중량 건축을 꼭대기까지 쌓아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건축 기법을 많이 사용한 것이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이며, 이시가키는 초석 건물(礎石建物), 기와와 함께 쇼쿠호계(織豊係) 성곽의 특징으로 꼽힌다[5]. 쇼쿠호계 성곽은, 아즈치 성이나 도요토미 오사카 성, 히젠나고야 성으로 대표되듯 랜드마크가 되어 새로운 통치자가 누구인지를 성하의 백성들에게 알렸다.

1592년부터 1598년 사이의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는 한반도에 왜성(倭城)이라고 불리는 실전형 성곽이 지어졌다. 단기간에 빠르게 쌓아올린 왜성은 에도 시대에 개축되어 쇼쿠호 시대의 모습을 많이 잃어버린 일본 본토의 성곽들과는 달리, 중세성곽이 근세성곽으로 변모하던 양상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유달리 토루가 아닌 이시가키를 많이 사용한 왜성[6]노보리이시가키(登り石垣)와 같은 중세성곽의 특징이 잔존하며, 치(雉)와 같이 조선의 성곽에서 나타나는 축성술을 일부 수용한 모습 또한 볼 수 있어 실험적인 성곽으로 평가된다. 왜성 축성의 경험은 이시가키의 확산을 촉진시켰으며, 이시가키는 쇼쿠호 정권의 중심이었던 중부・서일본을 중심으로 널리 퍼지면서 근세 성곽이 발전하기 시작한다. 대표적인 근세성곽으로, 에도 막부가 재건한 도쿠가와 오사카 성의 이시가키는 일본 최대 규모이다.

한편 동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시가키를 가진 성은 적고, 특히 관동지방에서는 오다와라 성(小田原城)이나 이시가키야마 성(石垣山城), 닛타카나야마 성(新田金山城), 하치오지 성(八王子城), 에도 성, 센다이 성(仙台城) 정도를 제외하면 대규모 이시가키는 보기 힘들다[7]. '서국(西國)은 이시가키, 동국(東國)은 도루이(土塁)'라는 말이 있을 정도. 이것은 동일본에서 이시가키의 재료가 되는 화강암의 산지가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인데, 반대로 화강암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세토내해 연안에는 이시가키를 두른 성곽 건축이 많이 남아 있다.

에도 성 · 니조 성(二条城) · 가나자와 성(金沢城) 등지의 에도시대 초기의 이시가키에서는 표면에 끌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고 굴곡을 만들거나, 홈을 파는 등 장식을 하기도 했다. 이를 게쇼(化粧, けしょう)[8]라고 하는데, 가토 기요마사가 시초라고 한다. 돌을 조금씩 끌로 찍어내어 패인 홈을 하츠리(はつり)라고 하는데, 1cm씩 작은 홈을 골고루 내는 것을 하츠리 마감(はつり仕上げ)이라고 하고, 가지런하게 세로 방향으로 빗살무늬의 홈을 내는 것을 스다레 마감(すだれ仕上げ)이라고 한다[9]. 얕게 파인 홈은 이미 풍화되어 사라져 버린 곳이 많고, 에도 성이나 나고야 성의 천수대 등지에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산기즈미(算木積み)로 쌓은 모서릿돌의 이가 정확하게 맞아떨어져 이시가키 꼭대기에서부터 바닥에 이르기까지 깨끗하고 유려한 곡선을 그리는 마감법은 당시로서는 최첨단 기술이었다고 할 수 있다.

3. 구조

파일:20200921221534.png


센고쿠 시대 이후의 이시가키는 주로 접착물을 사용하지 않고 돌로만 쌓는 가라즈미(空積み, からづみ)[10]가 사용되었다. 이와 달리, 점토와 모르타르 등을 반죽하여 돌과 돌 사이를 접착하여 쌓는 방법을 네리즈미(練積み, ねりづみ)라고 하는데, 주로 근대 공법에서 많이 쓰인다. 성곽에서 사용된 경우는 많이 없고, 시가 현의 가마노하 성(鎌刃城) 정도가 예외적이다. 또 가토 기요마사가 1610년에 쌓은 나고야 성 천수의 이시가키는 뒤채움에 시멘트(三和土)를 이용한 일종의 네리즈미이다.

이시가키의 석재는 이시가키의 모서리를 이루는 스미이시(隅石 ・ 角石, すみいし)[11]와 경사면의 표면을 이루는 츠키이시(築石, つきいし) ・ 히라이시(平石, ひらいし) ・ 즈미이시(積み石, づみいし)[12]로 구성된다. 가장 밑바닥의 초석을 네이시(根石, ねいし)[13]라고 하며, 최상부의 돌을 덴바이시(天端石, てんばいし)라고 한다.

성토(盛土)한 흙 또는 기존의 경사면을 계단 모양으로 절단한다. 이것을 기리츠치(切り土)라고 한다. 경사면의 뿌리(비탈끝)에 홈을 파는 네기리(根切り)를 하여 네이시를 늘어놓고, 자갈이나 구리이시(栗石, くりいし)[14]라고 하는 작게 부서진 돌을 이시가키 표면을 이루는 석재와 경사면 사이에 채운다. 이를 우라고메(裏込め, うらごめ)[15]라고 한다. 지반이 약한 경우는, 바닥에 판 홈에 소나무 말뚝(杭, くい)을 박고 그 위에 껍질 벗긴 통나무(丸太, まるた)로 하시고도기(梯子胴木, はしごどうぎ)라고 하는 기초를 깔았다.

소나무 말뚝은 물속에 가라앉으면 거의 썩지 않아 오래가기 때문에 하시고도기는 주로 미즈보리(水堀, みずぼり)[16]와 접하는 성의 이시가키 기초에 사용되었다. 츠키이시나 히라이시의 뒷채움 쪽에는 받침돌(飼石, かいいし)[17]을 받쳐 석축의 각도를 정한다. 이 과정에서 힘의 균형이 불안정해진 석재를 사카이시(逆石, さかいし)라고 하는데, 이는 미끄러지기 쉬워 배부름 현상의 원인이 된다.

표면 석재는 가공한 것도 쓸 수 있고, 가공하지 않은 것도 쓸 수 있다. 쪼갠돌쌓기(打込み接ぎ)나 깎은돌쌓기(切込み接ぎ)와 같이 가공석재를 이용하는 경우는 석재 사이의 틈이 좁아져 배수가 불량하므로 배수로나 배수구를 만든다.

4. 분류

가공 정도
野面積み
막돌쌓기
打込み接ぎ
쪼갠돌쌓기
切込み接ぎ
깎은돌쌓기
축조 방법 乱積み
막쌓기
파일:20210213_170937.jpg 파일:그림121.png 파일:10134_I6_P1010221.png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 오카야마 성(岡山城) 다카마츠 성(高松城)
 布積み
줄눈쌓기
파일:20211111_162929.jpg 파일:그림16.png 파일:그림15.png
부산성(釜山城) 마루가메 성(丸亀城) 센다이 성(仙台城)
축조 형태






亀甲積み
귀갑무늬쌓기
玉石積み
호박돌쌓기
谷積み
골쌓기
파일:그림1212.png 파일:그림1313.png 파일:그림1414.png
사가 성(佐賀城) 요코스카 성(横須賀城) 이와무라 성(岩村城)
鏡積み ・ 笑積み
거석쌓기
寺勾配 ・ 扇の勾配
곡선경사
宮勾配 ・ 矩方
직선경사
파일:그림1515.png 파일:그림 16.png 파일:그림17.png
슨푸 성(駿府城) 하기 성(萩城) 쓰 성(津城)




算木積み
산가지쌓기
縦石積み
입석쌓기
シノギ積み
둔각쌓기
파일:5f31faceee4c21597110990_thumbnail.jpg 파일:그림20.png 파일:105371.jpg
에도 성(江戸城) 나고야 성(名護屋城) 나에기 성(苗木城)

鉢巻石垣
상부보강석축
腰巻石垣
하부보강석축
球形巻石垣
구형보강석축
파일:그림21.png 파일:그림2222.png 파일:그림23.png
가나자와 성(金沢城) 히메지 성(姫路城) 돗토리 성(鳥取城)
登り石垣
능선방벽
櫓台
망루기단
天守台
천수기단
파일:102492.jpg 파일:249505.jpg 파일:5d0741747323f1560756596.jpg
히코네 성(彦根城) 아코 성(赤穂城) 미하라 성(三原城)

4.1. 가공 정도

4.2. 축조 방법

4.3. 축조 형태

4.4. 기능


[1] 사진은 부산포왜성의 데지로(出城) 역할을 하는 자성대왜성(子城臺倭城)의 천수 기단의 모습이다. [2] 키노조(鬼の城), 야시마 성, 오노 성(大野城) 등이 있다. [3] 제주도의 환해장성(環海長城)이 비슷한 기능을 한다. [4] 아노슈는 오미(近江) 히에이잔(比叡山) 산기슭에 있는 아노노사토(穴太ノ里, 현재의 시가 현 오쓰 시(大津市) 사카모토 초(坂本町) 아노 지구) 출신으로, 고분 축조 등을 일을 맡았던 석공의 후예들이라고 한다. 본래 사원의 석축 공사를 맡았지만, 그 기술을 제공하여 아즈치 성의 이시가키를 시공한 것을 시작으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에 의해 성곽 이시가키 조성에도 종사하게 되었다. 그 이후로 에도시대 초반까지 많은 성의 이시가키가 아노슈의 지휘하에 만들어졌다. 이들은 일본 전역의 번의 부름을 받아 이시가키를 시공하였지만 아노슈가 축성에 참여했는지 불분명한 유적도 많다. [5] 이것은 노부나가와 히데요시의 거성(居城)에서는 다카이시가키(高石垣), 금박 기와(金箔瓦,きんぱくがわら), 덴슈(天守)의 3요소로 발전한다. [6] 이는 화강암이 풍부한 한반도의 지질환경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7] 그마저도 에도 성 역시 서북측에서 집중적으로 토루가 나타난다. [8] 한국어로 그 '화장'이 맞다. 일본 성곽에 있어서는 석재의 마감 작업을 의미한다. [9] 스다레(簾)는 주렴을 뜻한다. 세로로 가지런히 내려오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10] 한국어로 하면 '메쌓기'이다. [11] 한국어로는 모서릿돌이라고 한다. [12] 한국어로는 면석(面石)이라고 한다. [13] 한국어로는 기단석(基檀石)이라고 한다. [14] 한국어로는 뒷채움돌이라고 한다. [15] 한국어로는 뒷채움이라고 한다. [16] 물을 채운 해자. 반대로 물 없이 마른 해자는 가라보리(空堀)라고 한다. [17] 胴石 ・ 胴飼石 ・ 介石 ・ 尻로 쓰기도 한다. [18] 이 때 생기는 틈은 마즈메이시(間詰め石, まづめいし)라고 하는 잔돌을 채워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어로 '잔돌채우기'. [19] 가토 기요마사의 전설이 있는 나고야 성기요마사이시(淸正石)가 워낙에 유명해서 그냥 기요마사이시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20] 카가미이시는 크기뿐만이 아니라, 거석(巨石)을 절단하여 설치한 석공의 수준 높은 기술을 드러내며 그런 기술 집단을 보유하고 있는 성주의 권력을 보여주는 효과도 있다. [21] 위키 재팬 기준으로, 추정 무게가 무려 130톤에 달한다고 한다. [22] 한반도 성곽으로 따지자면 규형(圭形) 또는 궁형(弓形) 성벽이라고 부를 것이다. [23] 아즈치 성 천수 기단은 모서리의 일부분에 길쭉한 석재를 교차시켜 쌓았다. 그러나 이 시기는 석재를 채집할 때 가로변이 긴 석재를 우연히 얻을 수 때만 그때그때 모서리를 산기즈미로 보강하는 정도였다. 또한 임진왜란 시기의 서생포왜성이나 부산포왜성, 순천왜성 등에서도 완전히 정제되지 않은 산기즈미를 관찰할 수 있다. [24] 이와 관련하여 히로사키 성(弘前城)의 몬(門)은 몇몇 곳을 제외하고서는 모두 양 옆의 도루이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 옆이 뻥 뚫린 상태이다. 당연히 방어력은 제로. 이는 에도 막부의 눈치를 보느라 일부러 형식적으로만 문을 세운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25] 이 때의 모서릿돌을 입석(立石)이라고 한다. [26] 이를 구루와(曲輪)라고 한다. [27] 그러나 이 부분은 논의의 여지가 있는 것이, 왜란 훨씬 이전에 지어진 중세성곽에서도 간혹 노보리이시가키의 흔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나가이와 성(長岩城)이 대표적인 경우로, 거의 웅천왜성에 비길 만큼이나 장대한 노보리이시가키가 1개소 남아 있다. 물론 나가이와 성이 초축될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을 화기에 대한 방비시설이 있어 폐성된 이후로도 모종의 이유로 개축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한다. 이외에도 구마 성(熊城), 아마카자리 성(尼巌城), 네즈시 성(祢津城) 등에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28] 특히 문경새재, 작원관, 탕춘대성과 같은 관문성과 그 용도가 닮아 있다. [29] 사각을 줄이기 위해 도루이나 이시가키로 이루어진 외곽선에 꺾임을 주는 것.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