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00d45> 행궁 | <colbgcolor=#fff,#1f2023> 화성행궁 |
성문 | 장안문(북문) | 창룡문(동문) | 팔달문(남문) | 화서문(서문) | |
수문 | 화홍문(북수문) | 남수문 | |
장대 | 동장대 | 서장대 | |
돈대 |
동북공심돈 |
봉돈 | |
|
적대 |
북동적대 | |
|
노대 | 동북노대 | |
각루 | 방화수류정(동북각루) | 동남각루 | 화양루(서남각루) | 서북각루 | |
포루 | 북동포루 | 동북포루 | 동일포루 | 동포루 | 동이포루 | 남포루 | 서포루(西舖樓) | 서포루(西砲樓) | 북포루 | 북서포루 | |
치 | 북동치 | 동일치 | 동이치 | 동삼치 | 남치 | 서삼치 | 서이치 | 서일치 | |
암문 |
북암문 |
동암문 | |
}}}}}}}}} |
대한민국 보물 제1710호 | |
수원 서북공심돈 水原 西北空心墩 |
|
소재지 | <colbgcolor=#fff,#2d2f34>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332번지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
수량/면적 | 1동 |
지정연도 | 2011년 3월 3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
1. 개요
西北空心墩/seobukgongsimdon수원 화성을 구성하는 성채의 일부. 공심돈은 적의 동향을 살핌과 동시에 공격도 가능한 시설로 수원 화성에서만 볼 수 있다. 서북공심돈은 2011년 보물 제1710호로 지정되었다. 수원시 심벌마크의 누각의 모티브가 바로 이 건물이다.(수원시 통계연보 2001)
공심(空心)이란 안이 비었다는 뜻이고 돈(墩)은 사방을 조망할 수 있는, 주변보다 높으면서 평평한 지대를 가리킨다. 즉 공심돈이란 '내부가 비어 있는 망대'를 말한다.
2. 상세
1796년(정조 20) 3월 10일 완공된 서북공심돈은 3층 건물로 아래쪽 부분의 치성(雉城)은 석재로, 위쪽 부분의 벽체는 전돌로 쌓았다. 내부는 전투에 편리한 구조를 갖추었으며 계단을 통해 오르내렸다.1797년(정조 21) 1월 화성을 방문한 정조는 서북공심돈을 보고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만든 것이니 마음껏 구경하라”며 매우 만족스러워했다고 한다.
독창적인 건축형태와 효과적인 재료 활용을 보여주는 서북공심돈은 역사적, 학술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3월 3일 보물 제1710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보물 제1710호
화성의 화서문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선 정조 20년(1796)에 건립되었다.
수원 서북공심돈은 화성 서북측 성벽에서 돌출시켜 남측면의 일부만 성곽에 접하고 나머지 3면이 돌출된 평면을 이루고 있다.
3층 구조로 하부 치성(雉城)은 방형의 석재를 사용하였고 1층과 2층 외벽과 3층 하부는 전돌로 쌓았다.
1, 2층 각 면에는 6개의 총안(銃眼)이 있으며, 3층에는 여장(女墻)을 쌓고 같은 높이에 4개의 총안을 내었다. 3층 포루(鋪樓)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지붕으로 벽면 위쪽의 판문에는 전안(箭眼)이 설치되어 있다.
치성의 북측면과 서측면에는 각 2개소의 현안(懸眼)을 두어 성에 접근하는 적을 방어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하부는 성벽의 석재를 오목하게 “∪”자형으로 가공하여 상부 전돌 현안과 연결되게 하였다.
수원 서북공심돈의 성제(城制)는 현존 성곽 건축에서는 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재료의 유연성과 기능성이 우수하며, 치성의 석재 쌓기 기법과 상부 공심돈의 전돌 축조 기법, 현안과 총안, 전안 등의 중요한 시설 등 독창적인 건축형태와 조형미를 가지고 있다.
수원 서북공심돈은 화성 서북측 성벽에서 돌출시켜 남측면의 일부만 성곽에 접하고 나머지 3면이 돌출된 평면을 이루고 있다.
3층 구조로 하부 치성(雉城)은 방형의 석재를 사용하였고 1층과 2층 외벽과 3층 하부는 전돌로 쌓았다.
1, 2층 각 면에는 6개의 총안(銃眼)이 있으며, 3층에는 여장(女墻)을 쌓고 같은 높이에 4개의 총안을 내었다. 3층 포루(鋪樓)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지붕으로 벽면 위쪽의 판문에는 전안(箭眼)이 설치되어 있다.
치성의 북측면과 서측면에는 각 2개소의 현안(懸眼)을 두어 성에 접근하는 적을 방어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하부는 성벽의 석재를 오목하게 “∪”자형으로 가공하여 상부 전돌 현안과 연결되게 하였다.
수원 서북공심돈의 성제(城制)는 현존 성곽 건축에서는 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재료의 유연성과 기능성이 우수하며, 치성의 석재 쌓기 기법과 상부 공심돈의 전돌 축조 기법, 현안과 총안, 전안 등의 중요한 시설 등 독창적인 건축형태와 조형미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