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8:27:40

서봉총 사각 도시락 합

파일:서봉총 도시락2.jpg
사진 출처 : 1500년전 신라왕족 제사음식 뭘까…'영원불멸의 성찬' 전시

1. 개요2. 내용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서봉총에서 발견된 4세기~5세기 경 신라시대의 사각 찬합 일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파일:서봉총 도시락1.jpg

2016년~2017년에 이루어진 국립중앙박물관 노서동 제129호분 서봉총 재발굴 사업 당시 발견된 신라시대의 사각 도시락들이다. 제작연대는 4-5세기라고 추정한다.

원래 서봉총은 일제강점기이던 1926년에 일본 정부의 정치적 계산에 따라 당시 스웨덴 황태자였던 구스타프 6세 아돌프가 발굴에 참여했지만, 정치적 이벤트로 진행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제대로 학술적인 발굴을 하지는 못하였다. 비슷한 시기 일제가 졸속으로 발굴한 금관총을 다시 재발굴해보자 이사지왕 명문 금관총 환두대도 등 3천여 점에 이르는 막대한 유물이 또다시 나왔으므로, 학계가 2016년에 서봉총도 다시 한 번 열어본 것이다.

파일:서봉총 도시락6.jpg
발굴 당시 쏟아져나온 신라시대 그릇들의 모습. 사진 출처 : 1500년 전 신라인들도 너무 좋아해서 잡아먹은 돌고래, 경향신문 - 1500년 전 신라왕실이 먹은 초호화 음식 확인됐다..돌고래와 남생이, 복어, 성게까지

재발굴 결과 무덤 둘레돌[1]에 큰 항아리를 이용해 무덤 주인공에게 음식을 바치고 제사를 지낸 흔적이 고스란히 발견됐다. 당시 신라에는 무덤 주인공을 위해 귀한 음식을 큰항아리 여러 개에 담아 무덤 둘레돌 주변에 놓고 제사 지내는 전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사는 일제강점기 당시 조사에서도 밝혀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 삼국유사 같은 역사기록에도 기록되지 못한, 한민족의 영원히 상실된 전통이었다.

결과적으로 서봉총 재발굴은 금관총 재발굴을 넘어서는 대박이 터졌다. 당시 신라인들의 음식 유물 7,700여 점[2]을 포함, 2만 5천여 점에 달하는 4~5세기 신라 유물들이 또 다시 발견되었다. 또한 일제는 서봉총 북분의 직경을 36.3 m라고 보고했지만 재발굴해보니 46.7 m로 밝혀져 당시 기본적인 조사부터 다 잘못되었음이 드러났다. 이에 삘 받은 학계에는 과거 일제강점기 때 조사되었던 다른 신라 왕릉들도 다 다시 한번 재발굴해보자는 분위기가 퍼졌다.

파일:서봉총 도시락3.jpg
발굴 당시 복어뼈가 담긴 모습.

파일:서봉총 도시락4.jpg

파일:서봉총 도시락5.jpg

이 사각 도시락 합에는 당시 신라인들이 먹었던 음식들이 담겨, 4-5세기 한국인의 식생활을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당시 신라인들은 돌고래 고래고기, 남생이 고기, 성게와 성게알, 독을 제거한 복어, 참굴, 조가비, 큰청홍 따개비, 거북손, 다슬기, 고둥, 소라, 전복, 백합, 홍합, 가무락 조개, 뿔소라, 가리비, 민어, 청어, 방어, 상어, 볼락, 조피볼락, 감성돔, 참돔, 망상어, 넙치, 농어, 고등어, 참복, , 돼지, 멧돼지 등 고기류 총 52종을 한 식단에서 먹었다. 서봉총에서 나온 이것들이 귀족들의 먹을거리긴 해도, 후대 왕조의 왕에게 올리는 수라상이나 제삿상 등 궁중음식보다도 훨씬 다양하게 먹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민어는 서해안에서만 잡히는 물고기인데 서봉총 큰 항아리에서 민어 뼈가 나온 것을 볼 때 신라 왕족 장례식에 백제에서 민어를 지참하고 조문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경주 이외 지방에서 사용하는 그릇이 발견돼 지방 조문객도 참석했을 것 같다."라고 밝혔다. 당시 백제 신라의 우호적인 교류 활동을 엿볼 수 있다.

4-5세기 제작된 신라의 도시락들과 음식들로, 당시 신라의 식생활 문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1] 호석(護石) [2] 조개류(貝類) 1,883점, 물고기류 5,700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