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12:45:00

불가설불가설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비트 시리즈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不可説不可説転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큰 수의 단위
불가설불가설(不可說不可說) 1018609191940988822220653298843924824064의 제곱
불가설불가설전(不可說不可說轉)

1. 개요2. 크기3. 근사4. 여담

1. 개요

불가설불가설전(不可說不可說轉)은 큰 수의 하나로, 현대 등장한 서양의 큰 수들을 제외한 옛 동양의 구체적인 특정 자연수 가운데 최대급 포지션을 자랑한다. 현대 한국어의 수 체계는 중국의 한수사 체계(漢數詞)를 받아들인 것이나 중국에서도 1048(極)이상의 항하사, 아승기, 나유타, 무량대수 같은 수들은 인도에서 기원한 것이다. 불가설불가설전 또한 인도에서 유래된 것이다.

2. 크기

10372,183,838,197,764,521,939,659,768,784,849,648,128이다. 지수 해도 372간 1838구 3819양 7764자 5219해 3965경 9768조 7848억 4964만 8128이다. 지수를 짧게 줄이면 107×212210^{7\times2^{122}}으로도 표현가능하며, 또는 101037.5710^{10^{37.57}}에 근사한다.

이 수의 이름은 3단계 전인 不可說(수가 얼마나 큰지 말할 수 없다)에서 유래한다. '불가설→불가설전(전의 제곱의 뜻)→불가설불가설→불가설불가설전'으로, 나중 수는 직전 수의 2제곱한 것과 같다. 다른 수와 비교하면 유명한 구골(10100)보다는 훨씬 크고, 구골플렉스(10구골)보다는 훨씬 작다. 오늘날에는 큰 수 표기에 지수를 쓰는 경우가 보편화되어 지수가 깔끔하게 나열된 구골이나 구골플렉스와 비교하면 어딘지 어중간한 느낌도 든다.

불가설불가설전의 출전인 화엄경에는 모두 122개의 숫자가 등장하는데, 나무위키에는 6번째 수인 긍갈라와 함께 두 번째로 작성된 수이다. 화엄경의 수는 모두 실용적인 목적보다는 부처의 깨달음의 깊이를 나타내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수이기 때문에 여기에 쓰인 수를 실제로 쓸 일은 없을 줄 알았으나 긍갈라는 2008년 짐바브웨의 인플레이션율을 나타내는 데 써먹고 말았다.

3. 근사

4. 여담


[1]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