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01:11:28

보건관리자

1. 개요2. 산업안전보건법의 보건관리자
2.1. 보건관리자의 업무
3. 선임 자격
3.1. 겸직이 되는가?


保健管理者 / health manager

1. 개요

사업장에서 보건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관리하게 하기 위해 사업주가 선임하는 보건관리 업무 전문가를 말한다. 사업주는 보건관리자를 두어 보건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조언·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하여야 한다.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할 사업의 종류·규모, 보건관리자의 수·자격·업무·권한·선임방법,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1]으로 정한다.

보건관리자와 안전관리자는 서로의 직책을 원칙적으로는 겸직 할 수 없다.[2]

2. 산업안전보건법의 보건관리자

산업안전보건법
제18조(보건관리자) ① 사업주는 사업장에 제15조제1항 각 호의 사항 중 보건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ㆍ조언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하 “보건관리자”라 한다)을 두어야 한다.
②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의 종류와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 보건관리자의 수ㆍ자격ㆍ업무ㆍ권한ㆍ선임방법,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3]으로 정한다.
③ 대통령령[4]으로 정하는 사업의 종류 및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에 해당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자에게 그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여야 한다. <신설 2021. 5. 18.>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업주에게 보건관리자를 제2항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 이상으로 늘리거나 교체할 것을 명할 수 있다. <개정 2021. 5. 18.>
⑤ 대통령령[5]으로 정하는 사업의 종류 및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에 해당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제21조에 따라 지정받은 보건관리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이하 “ 보건관리전문기관”이라 한다)에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 <개정 2021. 5. 18.>

2.1. 보건관리자의 업무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2조(보건관리자의 업무 등) ① 보건관리자의 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노사협의체에서 심의ㆍ의결한 업무와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
2. 안전인증대상기계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중 보건과 관련된 보호구(保護具) 구입 시 적격품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3. 법 제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4. 법 제110조에 따라 작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5. 제31조제1항에 따른 산업보건의의 직무(보건관리자가 별표 6 제2호에 해당하는 사람인 경우로 한정한다)
6. 해당 사업장 보건교육계획의 수립 및 보건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7.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음 각 목의 조치에 해당하는 의료행위(보건관리자가 별표 6 제2호 또는 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가. 자주 발생하는 가벼운 부상에 대한 치료
나. 응급처치가 필요한 사람에 대한 처치
다. 부상ㆍ질병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처치
라. 건강진단 결과 발견된 질병자의 요양 지도 및 관리
마. 가목부터 라목까지의 의료행위에 따르는 의약품의 투여
8. 작업장 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환기장치 및 국소 배기장치 등에 관한 설비의 점검과 작업방법의 공학적 개선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9.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 건의
10.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ㆍ분석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보좌 및 지도ㆍ조언
11.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ㆍ관리ㆍ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12. 법 또는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한 보건에 관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13. 업무 수행 내용의 기록ㆍ유지
14. 그 밖에 보건과 관련된 작업관리 및 작업환경관리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② 보건관리자는 제1항 각 호에 따른 업무를 수행할 때에는 안전관리자와 협력해야 한다.
③ 사업주는 보건관리자가 제1항에 따른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권한ㆍ시설ㆍ장비ㆍ예산, 그 밖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원을 해야 한다. 이 경우 보건관리자가 별표 6 제2호 또는 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및 장비를 지원해야 한다.
④ 보건관리자의 배치 및 평가ㆍ지도에 관하여는 제18조제2항 및 제3항을 준용한다. 이 경우 “안전관리자”는 “보건관리자”로, “안전관리”는 “보건관리”로 본다.

3. 선임 자격

3.1. 겸직이 되는가?

앞서 제한적 겸직의 내용이 나왔듯 가능은 하다.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 29조 4항에 따라 안전/보건관리자 1명을 포함해 채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외로 겸직이 가능한 직업은 '고압ㆍ액화석유ㆍ도시 가스류, 유독물, 소방, 전기, 위험물, 산업' 안전관리자 중 2개를 선임할 수 있다. 다만 각 별로 겸직할 시 제한사항이 존재하며 다음과 같다.
1. 위험물 -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3천배 미만.
1. 유독물 -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5 이하 사업장.
1. 검사대상기기 -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따른 3 이하 사업장 & 검사대상기기의 합은 10대 이하.
1. 전기 - 전기안전관리법에 따른 1,500kw 미만. (초급 기술자)
1. 산업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3 이하 사업장 & 300명 미만.
1. 대기환경 -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4 이하의 사업장[6]
1. 수질환경 -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4 이하의 사업장[7]
그리고 겸직을 하게 될 경우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 39조 2항에 따라 다른 의무고용자의 직무를 겸할 수 없다.


[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2] 300인 미만의 작업장인 경우 가능하지만 이마저도 큰 제한을 받는다. [3]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4]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5]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6]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 20톤 미만, 배출x: 80톤 미만. [7]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폐수: 2,000m³ 혹은 일일 수질유해물질이 포함된 폐수: 700m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