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베이징 지하철 1호선 운행 차량.2. 현재 운행중인 차량
|
|
DKZ4형 | SFM04형 |
다음 차량들이 운행 중이다.
- DKZ4형 - 푸바선 개통에 맞춰 1998~1999년에 장춘궤도객차(长春轨道客车)사와 베이징지하철열차창(北京地铁车辆厂)사에서 제작된 차량. 베이징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냉방시설 개선공사와 함께 차량 도색을 기존 도색에서 회색 차체에 빨강 단일의 줄 도색으로 교체하였다. 도입 당시 E127계 전동차 등지에 사용되었던 도요전기제 VVVF- GTO 소자를 사용하여 운행하여 한 때 베이징 지하철 운행 차량 중 유일하게 GTO 소자로 운행중인 차량이었으나 2015년경부터 열차신호 시스템을 ATP에서 CBTC로 개조하는 과정과 함께 SFM04형과 동일한 소자인 도요전기제의 VVVF-IGBT 소자로 전부 교체되었다. S401편성부터 S431편성까지 총 31편성 186량이 구청차량기지에 재적중이다.[1] 2024년에 전량 대차 계획을 발표했다.
-
SFM04형 -
베이징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기존 구형 차량들을 모조리 대차하기 위하여 2006~2007년에 G432~G451편성은 난처쓰팡에서, G452~G470편성까지는 베이징지하철열차창에서 제작된 차량. 도요전기제
VVVF-
IGBT 소자를 사용하였다.[2] 전두부 형상이 굉장히 둥근 형태가 특징.
왠지 일본에 도쿄메트로 10000계와 후쿠오카시영 3000계가 생각나지?[3] 총 39편성 234량 이 구청차량기지에 재적중이다.
3. 과거에 운행한 차량
- DK1형[4](1967년 장춘궤도객차(长春轨道客车)사 생산, 영업운전 미투입)
- DK2형(1969년 장춘궤도객차(长春轨道客车)사 생산,퇴역 시기 불명)
- DK3형[5](1971~1972년 장춘궤도객차(长春轨道客车)사 생산,퇴역 시기 불명)
13호선 운행당시 사진
- DK8형[6](1982~2008)
13호선에서 운영되는 사진
2호선에서 운영되는 사진
바퉁선에서 운영되는 사진
- DK11형[7](1984~2008)
- BD2형(1990~2012)[8]
- BD3형(1996~퇴역 시기 불명)
[1]
현지인들한테는 문이 세게 닫히는 차종으로 유명하다. 아마도
기동문이라서 그런 것 같다.
[2]
이뿐만 아니라
9호선,
10호선,
바퉁선,
이좡선 열차에도 사용하며, 심지어
청두 지하철 1, 2호선 전동차까지도 사용한다.
[3]
실제로 세 차량 모두
독일의 산업디자이너인
알렉산더 노이마이스터에 의해 디자인되었다.
[4]
중화권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이다. 당시
소련의
Д형 지하철 전동차의 설계를 참고하여 시범으로 2량 1편성이 제작되었으나, 차량 전고가 차량한계보다 90mm를 초과하여 영업운전에는 투입되지 못했다. 이후 이 차량을 기반으로 DK2형이 제작되었다. 차량기지 구내 시운전 이후 오랫동안 방치되었다가 2015년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에서 복원했다.
#
[5]
1호선에서 퇴출되고 나서 바퉁선, 13호선에 이적했고, 거기서도 차량 노후화로 인해 퇴역후
북한의
평양 지하철과 북한 철도 노선인 정의선으로 갔다.
[6]
1982년 장춘궤도객차(长春轨道客车)사에서 생산된 열차로, 1호선에서 퇴출된 후 13호선, 2호선, 바퉁선 등으로 이적하여 2008년까지 운용되다가 올림픽 직전에 퇴역.
[7]
최초로 ATO를 단 지하철 차량으로, 후속 차량인 SFM04형이 나온 뒤 2008년 6월 5일에 마지막 운행을 마치고 퇴역.베이징지하철열차장(北京地铁车辆厂)에서 제작됨.
[8]
2012년 4월 12일 라스트런.
[9]
구 장춘궤도객차
[10]
구 长春轨道客车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