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19 12:56:02

백제 멸망/김춘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문서는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국사의 사건에 대한 내용은 백제멸망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백제 멸망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백제 멸망/나당팀
, 백제 멸망/김유신
, 백제 멸망/소정방
,
,
,

1. 개요2. 전체적인 플레이방법3. 병력 운용법
3.1. 싸움에서 덜 손해 보기3.2. 소정방 공성 지원3.3. 병종별 운용법
4. 영웅 운용법5. 극초반전략
5.1. 무산성공격5.2. 첫턴 황산뚫기5.3. 극초반 황산마당정리5.4. 금성트리거 위치에 병력대기5.5. 북진 후 병력대기5.6. 극초반 수곡성 테러5.7. 극초반 북쪽성개돌(잘못된 전략)
6. 초보라면?7. 관련 문서

1. 개요

김춘추 역은 사실 김품일을 제외하고는 영웅들이 그다지 좋지 않으며 김품일도 검의 사거리와 공격력이 김유신이나 소정방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김유신이나 소정방에 비해 영웅을 활용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김춘추는 아무리 잘해도 결국 의자왕이 최종적으로 머무는 임존이나 황산 공성 시 김유신이나 소정방에 비해 큰 기여를 하기가 어려워서 김유신이나 소정방이 공성을 잘 하지 못한다면 답답한 면이 많다.

김춘추 트리거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

2. 전체적인 플레이방법

시작과 동시에 무슨 일이 있어도 김춘추를 기벌포로 배달시켜야 한다. 이게 김춘추의 핵심이다.

김춘추가 금성에 남아있으면 황산의 계백, 의자왕의 금성트리거 등등으로 인하여 계속 김춘추를 위협받기 때문에 일정량의 병력이 금성 근처에 주둔하고 있어야 하며, 따라서 신라병력이 자유롭게 여기저기를 공격하는 데에 제약이 걸리기 때문이다. 특히 백제팀이 3분 금성트리거 같은 공격적인 플레이를 하는데 김춘추를 금성에 남겨놓으면 사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김춘추를 가능한 한 빠르게 기벌포로 옮겨야 하며, 특히 3분 금성트리거 같이 백제팀이 극초반에 공격적으로 나오면 무조건 김춘추는 금성에서 나와야 한다.

춘추를 기벌포로 배달시켰다면 김춘추는 100%는 아니지만 거의 안전해진다. 가끔씩 백제의 후방이나 황산 쪽에서 기벌포에 병력이 없을 때 김춘추를 암살하기 위해 병력이나 영웅이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들을 소정방과 함께 잘 캐치해주어야 한다.

중후반 쯤이 되면 이제 의자왕이 있는 성을 제외하고는 성이 몇개 남지 않았으니 김춘추를 몰래 테러하거나 소정방의 병력을 방해하는 것을 미리 차단시키고[1], 전 영웅과 책사로 소정방의 공성을 도우면 된다.

3. 병력 운용법

3.1. 싸움에서 덜 손해 보기

신라 병력은 대체로 백제 병력에 상성상 좋다. 단 이는 평지에서 싸울 때 한정이다. 따라서 신라병력들은 가능한 한 백제병력과 평지에서 맞붙어야 좋은 효율이 나온다. 단 신라병력 특성상 공성에는 좋지 못하기 때문에 성에 들어가 있는 백제병력을 무작정 상대하는것은 금물이다.

따라서 기회가 된다면 주로 평지에 있는 백제군을 위주로 갈아버려야 한다. 특히 신라병력으로 백제군과 백제고급병력인 백제장군과 백제기병을 많이 갈아버렸다면 아주 베스트이다. 예를 들면 임존의자 때 임존 마당이나 근처에 많은 백제장군이나 기병, 궁병이 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럴 때 신라군으로 잠깐만 임존쪽으로 가서 백제장군, 기병, 궁병을 싹 쓸어주고 병력을 모은 소정방이 임존을 치게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백제군의 경우 평야에서 영웅이나 책사를 동반하지 않고 순수 병력으로 박아도 어느정도 이득을 볼 수 있다. 특히 평야에서의 백제궁병은 신라 선봉군, 화랑, 기병에 죄다 취약하다.

다만 여기서 가능한 한 이라고 말한 이유는 초중반 신라는 강제로 고구려를 많이 상대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보통은 고구려가 신라를 가만히 냅두질 않는다... 다만 신라가 평야에서 고구려병력과 백제병력 둘 중 하나를 골라서 칠 수 있다면 백제병력 쪽으로 가는것이 좋으며 신라를 플레이할 때는 이러한 기회를 최대한 많이 잡는 것이 중요하다. 백제병력이 줄어야(특히 고급병력인 백제장군과 기병) 소정방이 병력을 보존하기 유리하다.[2]

3.2. 소정방 공성 지원

소정방이 의자왕에 있는 성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소정방의 병력이 가능한 한 빨리 의자왕이 있는 성에 다다를 수 있도록 방해하는 성을 제거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그리고 소정방이 충분히 의자왕이 있는 성에 도달하였다면, 신라 병력들은 성 외부에서 소정방이 공성하는 것을 방해하지 못하게 차단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임존의자 시 소정방이 임존을 칠 때 두 신라는 수곡성을 쳐서 백제병력의 남진을 차단하는 것(가장 흔한 상황), 평양의자 시 웅진 등을 쳐서 소정방 병력이 수곡성에 빨리 도달할 수 있게 하는 것, 황산의자 시 병력으로 황산을 둘러싸서 황산으로 들어가는 병영과 성문을 최소화하고 황산을 지키러 내려오는 외부병력과 싸우는 것 등이 있다.

만약 소정방 병력이 빠르게 북상하는 데에 성공하였다면 고구려 병력이 신라군이 아닌 당나라군과 싸울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신라팀이 매우 좋게 된다.

3.3. 병종별 운용법

초보~중수 신라들은 신라병력을 9시 병력지휘 파뱃만 믿고 닥돌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닥돌만 믿게 되면 매우 비효율적인 싸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병력을 생기는 족족 자동공격명령으로 닥돌시키는 것이 아니라 덩어리 병력을 모아서 공격하거나(두 신라로 수곡성 공략 시 많이 하는 방법), 손컨으로 병력을 일정위치에 옮겨 대기시키고 여러 방향에서 공격, 신라의 5가지 병종을 나누어서 따로따로 쓰는 것 등등의 운용도 해야한다.

정리하면 고구려와 싸울 때에는 검병과 궁병, 선봉군이 좋고, 백제와 싸울 때에는 화랑, 기병, 선봉군이 좋다. 특히 성 공략시에 궁병과 화랑이 매우 유익하다. 잘하는 신라들은 이를 알기 때문에 고구려와 싸울 때, 백제와 싸울 때, 성을 공략할 때 제각기 상황에 따라 알맞은 병종을 분리해서 활용한다. 또한 궁병, 검병, 화랑등을 모아서 소정방의 공성을 돕기도 한다.

4. 영웅 운용법

5. 극초반전략

김춘추와 김유신은 둘다 극초반에 아래의 전략들 중 어떤 전략을 택하건 간에 공통적으로 취할 수 있는 전략이 있다.
여기에 기재된 김춘추가 극초반에 할 수 있는 전략들은 무산성공격, 극초반 황산마당정리, 첫턴 황산뚫기, 금성트리거 위치(금성근처기둥)에 병력대기, 북진 후 병력대기, 극초반 수곡성 테러 총 6개이다. 상황에 따라 잘 활용하자.

5.1. 무산성공격

이 전략을 잘못 아는 사람들은 무작정 파벳으로 무산성에 모든 병력과 영웅을 개돌시키는데, 그렇게 하면 오히려 계백의 마당트리거로 나온 결사대들에 의해 병력이 전멸당하고 김춘추도 위험해질 수 있다. 첫턴 무산성이라고 해서 무조건 병력와 영웅을 닥돌시키는 것이 아니다.

제일 먼저 9시 파벳을 무산성으로 달려서 전병력을 신속하게 대야성 방향으로 보내주고 동시에 김품일은 달려다가 관창 트리거와 황산 마당 트리거를 발동시키고 동시에 김품일을 제외한 영웅과 책사, 김춘추를 대동하여 대야성으로 보낸다. 그 후에는 황산마당트리거로 나온 선봉군을 대야성 방향으로 빼면서 동시에 무산성으로 무작정 개돌하는 병력들을 다시 손컨을 하여 대야성으로 모으면서 윤충이 대야성 트리거 발동시키는 것을 차단한다. [4]

앞에서 강조한 동시에가 제일 중요하다. 이렇게 플레이하는 목적은 윤충의 대야성 트리거를 차단시켜 김춘추를 저격하려 오는 병력을 최소화하고 극초반 모든 전력을 김춘추를 보호해 기벌포로 보내기 위해서이다. 이때 계백이 실수했다면 도리어 윤충을 대야성 근처에서 잡을수도 있다.

그 후 계백의 움직임을 보면서 김춘추를 대동하여 모든 병력과 영웅들을 무산성으로 돌격시킨다. 계백이 영웅, 병력을 대동하여 김춘추를 잡으러 쫓아온다면 당황하지 말고 공격을 잠시 중단한 뒤 김춘추 안전에 최우선을 두면서 황산 트리거 탱크 사거리가 닿지 않는 공간에서 맞서 싸워주면 된다. 김춘추 의 초기 병력은 맨 처음병력 5부대 + 선봉군 3부대 정도인데 계백이 김춘추를 잡으러 쫓아올 경우 대동할 수 있는 병력은 결사대 최대 4부대+윤충 대야 트리거로 인한 검병 2부대 반[5] 정도밖에 없고 여기에 병력 근처에 이미 김춘추의 모든 영웅, 책사가 있기 때문에 의자왕 플레이어의 병력까지 오지 않는 이상 김춘추가 좀더 우세한 싸움을 할 수 있다. 만약 싸움에서 졌다면 당황하지 말고 잠깐 후퇴하고 105초를 기달린 후 다시 대야성으로 병력을 집결시켜 무산성을 뚫을 때까지 반복한다.

만약 의자왕까지 김춘추를 잡으러 극초반에 병력을 대동할 경우 김유신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김유신의 도움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 이미 뚫어 놓은 무산성이나 무산성 위쪽을 경우하여 어떻게든 김춘추를 기벌포 진영으로 피신시켜라. 이 경우 김유신이 돕지 않으면 김춘추 피신이 좀 빡세지니 주의. 위에서 내려오는 연개소문 병력은 무시해도 무방하다.

이 전략의 장점은 백제팀의 3분 금성트리거 등을 대처하기가 매우 수월하며[6] 김춘추의 안전을 빠르게 확보함으로써 두 신라의 공격루트가 자유로워지는 타이밍을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 전략은 소정방의 3분사비 전략과 조합이 좋은데 모든 영웅과 병력이 무산성으로 달리기에 김품일이 재빨리 사비성에 트리거를 발동시키기가 좋고 소정방의 3분 사비시 김춘추가 위험해진다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5.2. 첫턴 황산뚫기

시작하자마자 김품일과 김유신은 황산벌 마당 트리거를 발동시키며, 이후 황산벌로 달려서 황산벌 성문 오른쪽 공간으로 들어가면 트리거가 발동되는데 그 병력들로 황산벌 배럭을 일점사하여 부숴준다. 이때 황산벌 마당 트리거로 나온 선봉군과 나머지 병력과 영웅들은 이를 저지하러 오는 계백과 싸워준다. 잘하면 황산벌 병영을 꺨 수 있는데, 만약 계백 플레이어의 영웅이 안에 있다면 병영이 깨진 이후 황산으로 계속 병력을 보내서 황산에 갇힌 그 영웅들도 죽일 수 있고 이후 황산은 귀찮음 이상이 되지 못한다.

이후에는 김춘추를 기벌포로 적절히 보낸다. 이 전략이 성공하면 기벌포와 금성 사이에 있던 계백의 결사대가 모두 터지기 때문에 김춘추를 보내기 매우 수월하다.

이 전략의 장점은 위의 춘추정석만큼은 아니지만 극초반 병력이 금성 근처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역시 백제의 극초반 공격전략 등에 대처하기가 수월하며, 성공할 경우 계백의 세력과 멘탈을 터뜨리면서 동시에 체력회복을 위해 본진으로 돌아가는 영웅, 책사를 저격하는 계백의 플레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중후반에 매우 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실패해도 계백의 병력을 많이 줄였거나 영웅을 죽이는 데 성공하였다면 김춘추의 안전을 수월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무산성공격보다는 선호되지 않는데, 가장 큰 이유는 계백이 조금만 할줄 알면 실패확률이 크기 때문이다. 실패할 경우에는 위의 극초반 무산성 공격보다 병력 손실이 크며, 그 병력 손실로 인하여 극초반 백제팀의 금성트리거를 방지하는데 취약해질 수 있다. 여기에 계백이 잘할 경우 오히려 김품일, 김유신까지 위험해질 수도 있다. 더욱이 계백 플레이어의 영웅을 죽이거나 병력을 줄이는 데까지 실패하고 내 병력만 소모하였다면 도리어 김춘추가 위험해질 수도 있다. 이 전략은 계백이 황산 마당의 결사대를 막는데 전혀 동원하지 않고 황산내부에서 뽑은 검병과 계백만 동원해도 간단히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전략을 시도할 때는 계백의 실력을 고려해보고 사용하자.

5.3. 극초반 황산마당정리

김춘추도 이 전략이 가능하긴 하나 김춘추보단 김유신 플레이어가 더 적합하기에 자세한 건 김유신 부분에서 언급하였다. 김춘추 플레이어가 이 전략을 할 때는 관창을(죽더라도) 앞장세워서 몸빵으로 활용하면 좋다.

5.4. 금성트리거 위치에 병력대기

김춘추도 이 전략이 가능하긴 하나 김춘추보단 김유신 플레이어가 더 적합하기에 자세한 건 김유신 부분에서 언급하였다.

5.5. 북진 후 병력대기

시작하자마자 김품일로 황산벌 마당 트리거와 관창 트리거를 쓰는 동시에 모든 병력을 손컨으로 거물성이나 웅진성 우측 근처에 대기시킨다. 왜 극초반 북진시 9시 파뱃을 사용하지 않는지는 극초반 북쪽성개돌(잘못된 전략) 부분을 참고하면 된다.

흔히 많은 사람들이 신라가 극초반에 북진하는 것을 무작정 거물성이나 웅진성 수곡성을 공격하는 전략이라고 생각하는데 아니다. 이러면 의자왕 플레이어가 도리어 금성 트리거 타이밍을 잡아버릴 수도 있다. 때문에 일단 병력을 북쪽으로 이동시킨 후 백제팀의 움직임, 특히 의자왕이 금성트리거를 시도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파악하고 병력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김춘추는 김유신이 초보이거나 같이 북진하였다면 북쪽으로 같이 이동시키고 김유신이 어느정도 할줄 안다면 금성에 머문다.

만약 의자왕이 황산 마당을 거쳐 금성 트리거를 시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면 김유신이 싸워주고 있을 때 즉각 병력을 다시 아래로 이동시켜 금성 트리거를 차단한다. 만약 연개소문이 같이 내려올 경우 연개소문의 신라 기둥 트리거의 차단보다 의자왕의 금성 트리거 차단을 우선적으로 신경써주자. 의자왕이 황산 마당이 아닌 관산성 쪽에서, 즉 북쪽을 거쳐서 금성 트리거를 쓰러 내려올 경우에는 대처가 매우 수월하다. 내려오는 병력들을 조지면서 연개의 트리거보다는 의자왕의 금성 트리거 차단하는 것을 더 우선적으로 하여 김유신 플레이어와 협동하여 싸워주면 된다. 잘 싸울 경우 연개소문이 신라 기둥 트리거조차 발동시키지 못한다.

의자왕의 금성 트리거의 움직임이 없다면 다시 많은 선택지가 주어진다. 거물성을 공략하거나 웅진성, 수곡성을 선택해서 공격한다. 만약 의자왕이 금성 트리거를 시도하려고 하지 않는데 연개소문이 내려온다면 이때는 성 공략보다는 연개소문의 신라 기둥 트리거를 차단하면서 내려오는 연개병력과 맞서 싸워주자. 연개소문 병력과 싸울때는 스윔+김품일,문충 조합이 효과적이다. 아니면 웅진성 북쪽으로 병력과 영웅들을 돌려서 임존성으로 트리거를 쓰러 오는 부여풍을 암살할 수도 있다.

이 전략의 장점은 상황에 따라 자신에게 유리한 공격목표를 유동적으로 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단 위에 쓴대로 공격 선택지가 매우 많다. 그렇기에 극초반에 대박을 터뜨릴 수도 있는 전략이다. 임존트리거 발동 전 부여풍을 잡거나 수곡성을 테러해서 이득을 볼 수도 있다.

단점으로는 김춘추가 늦게 피난하고 병력이 다시 내려와야 하는 시간 때문에 김춘추를 보호하기가 까다로우며, 대처는 가능하지만 백제팀의 3분 금성트리거 시도를 막기가 위의 무산성공격 전략보다 어렵다.

이 전략은 소정방이 첫턴 무산성공격(소정방 항목에서 후술)을 했을 때 선택해주면 매우 좋다. 다만 소정방이 다른 전략을 택하였다면 더더욱 김춘추의 안전이 더 위협받을 수 있고 백제의 병력을 이용한 신라의 병력생성 차단 플레이를 막기 어려워질 수 있다.

5.6. 극초반 수곡성 테러

고구려는 다른 백제에 비해 트리거 위치 4개가 서로 매우 떨어져 있는데, 김춘추의 고구려 공격 트리거는 김유신의 그것보다 강력하고 많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극초반에 고구려가 트리거로 병력을 확충하기 전 고구려 병력의 공백기를 틈타는 것이 핵심이다.

백제멸망 초보라면 절대로 시도하려 하지 마라. 아래 글을 보면 알겠지만 병력지휘 파벳으로 공략하는 것이 아닐 뿐더러 신라 병종들을 나누어서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트리거를 제때에 발동시킬 수 있는 센스까지 필요하기 때문에 초보가 하기에는 무리이다.

시작하자마자 김품일은 관창을 소환하고 황산 마당트리거로 나온 선봉군(벌처)들을 싸우지 말고 모조리 뺀 후 신라의 전 병력과 영웅은 물론 김춘추까지 몸소 나서서 모두 수곡성의 오른쪽을 향해 진격한다. 이 시점에서 백제팀의 금성 트리거 시도를 파악하였다면 진격하는 병력을 다시 되돌려서 이 전략을 취소하고, 그런 움직임이 없다면 계속 진행한다.

연개소문이 이를 파악하면 초보가 아닌 이상 수곡성을 사수하려고 시도할 텐데, 신라의 병력은 수곡성으로 들어오는 고구려의 병력을 개마무사(파벳) 위주로 최대한 차단하고,(선봉군이 이럴 때 유용하다) 병력을 종류별로 나누어 수곡성 공략을 준비하는 동시에 김법민의 당항성 트리거를 사용하여 선봉군을 더욱 증원시킨다. 신라 화랑은 성문 등의 시설을 공격하고 선봉군은 수곡성으로 진입하는 병력들을 차단하며 궁병은 수곡성 안의 고구려 병력들을 줄여준다. 그 후 스윔을 치고 신라의 검병, 기병과 함께 관창, 김법민, 문충을 함께 돌격시키며 김품일은 수곡성 트리거를 발동시킨다.

수곡성 건물에 김법민, 문충, 관창 등이 붙었고 여기에 스윔이 쳐졌다면 수곡성은 거의 깨진거나 다름없다. 수곡성을 테러하는 데 성공하였다면 김법민, 문충, 관창 등은 버려도 되니 최대한 병력을 빠르게 빼 살린 다음 빨리 다시 남하하여 김춘추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 과정에서 병력을 최대한 살리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위의 북진 후 병력대기 전략과 달리 가능한 한 빠르게 수곡성 근처로 내달리기 때문에 백제팀의 극초반 금성트리거 전략에 취약하며, 김춘추가 북쪽에 가 있다가 고립될 수도 있어서 위험성이 있는 전략이다. 특히 수곡성에서 병력이 싸우는 타이밍에는 김유신이 병력을 금성 근처에 주둔시키고 있어도 신라의 병력 공백기 타이밍이라 이때 백제팀이 금성트리거를 시도하면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기에 최대한 빠르게 수곡성을 함락시키고 병력을 살려 남하해야 하는 것이다.

성공만 한다면 이후 고구려의 나오는 병력이 매우 줄기 때문에 신라 병력들이 백제의 병력들과 맞바꾸어 주기가 매우 수월해 공성 시 중요한 소정방의 병력을 많이 쌓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전략의 성공여부는 김춘추와 연개소문 간의 영웅과 병력 컨트롤 싸움에 있다. 연개소문이 잘하는 유저라면 시도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백제팀 움직임이 연개소문을 도우려 한다면 시도를 취소하고 전략을 수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잘하는 흑치상지나 계백 플레이어가 김춘추가 이 전략을 하게 되면 연개소문을 도우려 올 수도 있다. 계백이나 흑치상지가 신속히 연개소문을 도우려오면 이 전략은 성공하지 못한다. 이럴 경우 수곡성을 무작정 공략하기보다 다시 남하하거나 아니면 도우려오는 백제병력과의 싸움을 우선시하여 백제병력들을 줄이는 등으로 전략을 수정할수도 있다.

5.7. 극초반 북쪽성개돌(잘못된 전략)

시작하자마자 파벳으로 병력들을 거물성, 웅진성, 수곡성 등으로 내달려 백제의 북쪽에 위치한 성들을 함락시키는 전략이다.

그런데 이 전략은 사실 좋지 못한 전략이다. 그 이유는 병력을 병력지휘용 파뱃으로 무작정 거물성, 웅진성, 수곡성 등으로 개돌시킬 경우 흑치상지 플레이어는 조금만 할줄 알아도 바로 거물성에서 병력을 뽑는다. 이럴 경우 병력이 전부 거물성에 묶여버리는데, 병력만으로는 절대로 거물성을 뚫을 수 없고 영웅과 책사를 동원하여 뚫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이렇게 병력을 무작정 북쪽으로 개돌시키면 문제점이 하나 더 있는데, 신라 병력이 북쪽으로 진군해 거물성에 꼴아박을 때 의자왕과 계백 플레이어가 바로 황산 마당을 경유해서 금성 트리거를 쓰러 오면 막을 방도가 없다. 그래서 백제의 북쪽 성들을 극초반에 공략하고 싶다면 무작정 9시 파벳으로 병력을 보내지 말고 북진 후 병력대기 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6. 초보라면?


절대로 같은 팀과 같은 곳에 병력을 보내지 말자. 또한 황산은 함락시키지 말고 무시하자. 김품일과 디파일러 책사만은 꼭 사용해주자.

7. 관련 문서


[1] 평양성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고구려 병력을 차단, 여러 곳에서 몰래 병영을 내려 병력모으는 것을 신라병력들로 차단하자. [2] 연개소문은 소정방의 병력을 줄이기가 힘들다. [3] 관창, 김법민과 달리 문충은 공격유닛이라 앞에 있으면 문충부터 때린다. [4] 병력지휘 파뱃은 모든 병력을 대야성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은 없기에 일일이 손컨으로 빼주어야 한다. [5] 만약 윤충 트리거 발동시키는 걸 저지하였다면 이 병력도 없다. [6] 백제팀 입장에서 김춘추가 이렇게 하면 3분 금성트리거를 발동해도 김춘추를 잡아서 게임 끝내기가 힘들며, 김유신까지 잘할 경우 의자왕의 금성트리거도 성공하기 어려워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