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08:58:29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b1c17 0%, #b7251e 20%, #b7251e 80%, #8b1c17)"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카라조르제 페트로비치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세르비아 제국 · 세르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공화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07A 0%, #003594 20%, #003594 80%, #00207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밀란 오브레노비치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복위 복위 제5대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밀란 1세
세르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공화국
}}}}}}}}}}}}
<colbgcolor=#DE0000><colcolor=#FFF> 세르비아 공국 초대 공작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Милош Обреновић, кнез Србије
파일:MilosObrenovic_1848.jpg
이름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Милош Обреновић)
출생 1780/ 1783년 3월 18일
오스만 제국 고르냐 도브리냐
사망 1860년 9월 26일 (향년 77/80세)
오스만 제국 세르비아 공국 베오그라드
재위 세르비아 공국의 공작
1차 1817년 11월 6일 ~ 1839년 6월 25일
2차 1858년 12월 23일 ~ 1860년 9월 26일
세르비아 공국의 대지도자
1815년 4월 23일 ~ 1817년 11월 6일
배우자 류비차 부코마노비치 (1805년 결혼 / 1843년 사망)
자녀 페트리야, 사브카, 가브리옐라, 마리야, 토도르, 페타르, 밀란, 미하일로
아버지 테오도르 미하일로비치
어머니 비슈냐 우로셰비치
형제 요반, 예브렘
종교 세르비아 정교회
1. 개요2. 생애3. 가족
3.1. 가계3.2. 자녀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의 독립운동가이자 세르비아 공국의 초대 공작(크네즈).

2. 생애

1780년 가난한 농민 테오도로 미하일로비치(? ~ 1802)와 비쉬냐(1737? ~ 1817)[1]의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났을 때의 이름은 친부의 성에서 따와 밀로시 테오도로비치였으나, 이부(異父) 형들의 성을 따라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로 개명하였다.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살리카법에 따라 남자만 왕이 될 수 있으나 밀로시의 아버지 테오도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밀로시의 어머니 비쉬냐를 기준으로 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한 원인이다.

1815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일어난 세르비아인들의 2차 봉기 과정에서 비세습적인 대지도자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과의 협상을 통해 세르비아 공국[2]을 세우고, 세르비아의 초대 크네즈로 즉위하였다.

허나 독립운동할 때의 영웅적인 모습과는 달리 즉위 후에는 전제적이고 독선적인 성격으로 의회와 갈등이 많았고, 의회는 밀로시의 퇴위를 요구했다. 1839년 6월 25일 스스로 퇴위하고 맏아들인 밀란에게 크네즈를 물려주었다. 밀란 역시 즉위 26일만에 결핵으로 사망하여 공작위는 차남인 미하일로에게 갔다.

1842년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세르비아를 장악하자 왕조의 복귀를 위해 힘썼다. 1858년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크림 전쟁의 여파로 퇴위하자 다시 즉위하였으며, 1860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가족

3.1. 가계

3.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페트리아
(Petria)
1808년 1870년
2녀 엘리자베트
(Elizabeth)
1814년 3월 28일 1848년 10월 5일
1남 밀란 오브레노비치
(Milan Obrenovic)
1819년 10월 21일 1839년 7월 8일
2남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Mihailo Obrenovic)
1823년 9월 16일 1868년 6월 10일 율리어 후녀지 데 케테이
3녀 마리아
(Maria)
1830년 1830년

페트리아(1808 ~ 1870) 이전에 페타르가 태어났지만 요절했고, 마리아(1830 ~ 1830) 이후에 토도르와 가브리엘이 태어났지만 요절했다. 당대의 높은 영아사망률은 물론 배우자 류비차 부코마노비치가 나이가 너무 많아서 노산이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1] 밀로시의 남동생이자 밀란 1세의 할아버지 예브렘 오브레노비치(1790 ~ 1856)가 1790년생인 것을 보면 1737년생일 가능성은 신빙성이 낮다. 이 정도 나이차면 모자지간이 아니라 할머니-손자의 나이차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2] 형식상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는 종속국이었다. 세르비아가 독립국으로 공식 승인된 것은 1878년 베를린 회의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