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1:52:13

미유(고구려)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대보 및 좌·우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동명성왕대
<colbgcolor=#c5b356> 대보 <colbgcolor=#fff,#191919> 협보
제3대
대무신왕대
우보 을두지 | 송옥구
좌보 을두지*
제6대
태조대왕대
우보 고복장
좌보 목도루
제7대
차대왕대
우보 미유
좌보 어지류
* 우보에서 승차.
고구려 국왕
고구려 (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 좌우보 · 상좌평)
신라 ( 대보 · 시중 · 병부령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고구려의 우보
미유 | 彌儒
<colbgcolor=#191970> 관등 우태(于台)
패자(沛者)
직위 우보(右輔)
부족 관나부(貫那部)[1]
이름 미유(彌儒)
생몰연도 ?~?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고구려의 관료.

2. 생애

고구려 5부 중 하나인 관나부(貫那部) 출신의 사람으로, 본래 우태(于台)라는 관등을 지니고 있었다.

132년( 태조왕 80), 태조왕의 아우였던 수성이 왜산(倭山)에서 사냥을 나갔을 때 함께 따라나섰다. 이때 수성이 함께 사냥하던 사람들에게 연회를 베풀었는데, 그 곳에서 어지류, 양신 등과 함께 은밀히 왕위를 찬탈할 것을 권하였다.

미유는 모본왕이 죽은 후에 그의 뒤를 유리명왕의 아들인 재사가 이어야 했으나, 재사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왕위를 사양하고 대신 자신의 아들 태조왕에게 물려주었던 선례를 들먹이며 지금의 태조왕이 나이가 많으니 그 왕위는 당연히 수성의 차지가 돼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수성은 " 태조왕에게는 이미 아들이 있으니 우린 안될꺼야 아마."라고 대꾸하며 주저하였다. 그러자 미유는 "동생이 똘똘해서 형의 뒤를 잇는 건 당연한거임."이라면서 다시 한번 수성을 유혹하였다.

결국 10년도 넘게 흐른 후(...) 146년에 수성은 형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는데, 그가 바로 차대왕이었다.[2] 이때 미유는 관내부의 패자(沛者)가 되어 있었는데, 차대왕은 이듬해인 147년에 자신을 도운 공으로 미유를 좌보(左輔)로 임명하였다.[3] 그러나 이후의 삶은 알 수 없다.[4]

3. 여담


[1] 읽기에 따라서는 관내부라고도 한다. [2] 형식상으로는 태조왕이 동생에게 양위하였지만 실제로는 힘으로 협박한 끝에 왕위를 찬탈한 것으로 보인다. [3] 다만, 기록에는 차대왕 2년(147) 7월 좌보 목도루가 은퇴하고 어지류가 좌보로 임명되는 것으로 나오고 있어, 미유는 우보로 임명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4] 이후로 계속 살아있었다고 해도 명림답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차대왕을 살해했을 때 함께 제거당했을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