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문둥이'의 영남 방언
문디는 경상도에서 한센병 환자를 가리키는 순우리말이다. 단순히 경상도에서만 쓰이진 않고, 전라남도 여수시 등지에서도 사용한다. 여수의 위치를 고려하면 경상도에서 넘어오거나 본래 서로 공유하던 말일 수도 있다.그런데 경상도 쪽에서는 무조건 쌍욕의 뉘앙스로만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해서는 일제 시기에 나온 잡지에서도 대구 사람들이 서로 '문디'라고 부른다는 기행기사가 있을 정도인데, 나름 유서 갚은 호칭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경상도 쪽 사람이 "야이 문디 자슥아", "어이구 문디야.../이 문디손아 우야다 그랬노" 이렇게 말
1980~90년대까지만 해도 타지인이 경상도 사람을 가리켜 '보리문둥이'로 부르는 경향이 있었는데 어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붕당정치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설. 경상도는 산이 많아 쌀 대신 보리밥을 더 많이 먹었기 때문에 강원도하면 감자를 연상하듯 경상도하면 보리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조선 후기 붕당정치에서 경상도를 근간으로 하는 남인이 몰락한 이후 재기를 위해 끊임없는 상소를 올려대자 한양에서 경상도 유생들을 가리켜 "영남의 보리 문동(文童)들이 또 상소를 올리러 왔구나"라고 말했다는 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
- 보리가 '보릿고개'로 상징되는 가난의 의미이고, 그 가난을 뛰어넘기 위해 '공부를 하는 아이들'이라는 뜻을 가진 문동(文童)과 합쳐서 '보리 문동'으로 불렀는데 그 말이 '보리문딩이'로 격하되었다는 설.
- 혹은 '보리를 먹으며 공부하는 동쪽 사람들'이라는 뜻의 '보리 문동인(文東人)'이라는 설도 있다. #
옛날에 우는 아이를 달래는 말로 ‘순사가 잡아간다’와 더불어 무서움에서 쌍벽을 이루었던 ‘문딩이가 잡아간다’는 말이 여기서 유래했다.
해당 용례를 보면 흑인 영어의 Nigger와 굉장히 유사성을 보이는데, 두 단어 모두 친족 및 친한 인원들에게 사용할때는 친근감을 나타내는 비속어 애칭으로 사용되지만, 그 외의 사용례는 대개 적대적인 감정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1.1. 대중매체
- 등장한 "문디"의 부정적인 용례와 애칭으로써의 용례가 사용된 대표적인 예
- 구 연예인 지옥(최현일 병장)
- 친근감: 영창에서 막 복귀해서 마주친 김창후에게는 "오야, 문디야 잘 있었나?"
- 부정적: 스티붕유가 하극상을 하자 "뭐꼬? 이 문디새끼가!"
2. 라틴어 Mundi
Mundi는 라틴어로 '세상', '세계'를 뜻하는 단어 Mundus의 복수형, 혹은 단수 2격(속격)[2]이다.mundus-mundi-mundo-mundum-mundo-munde
고대 로마 당시 로마시의 별칭이 "Caput mundi", 즉 세계의 수도였다. 또한 중세 유럽에서 쓰이던 세계지도를 'Mappa mundi'라고 한다.
외국에서 라틴어를 인용해서 멋지게 지어놓은 이름들이 한국에 와서는 그 발음 때문에 졸지에 문둥이가 돼버리는 영 좋지 않은 결과가 벌어지고 있다.
- 아니마 문디
- 디사모니아 문디: 밴드 이름
- Harmonia Mundi: 레이블 이름(클래식 중에서도 주로 고음악을 취급한다)
- 살바토르 문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예수 초상화.
프랑스어의 monde(몽드)나 이탈리어 mondo( 몬도), 스페인어 mundo( 문도)가 여기서 파생된 단어들이다.
청주시 세광고등학교 생활복에도 Lux Mundi라는 문구가 써있다. '세상의 빛', 즉 世光이다.
3. 영화 평양성 등장인물
배우는 이광수가 맡았다.거시기와는 달리 신라 출신이고, 전쟁에서 살아남으려는 거시기와는 달리 출세를 위해 달려들어 사사건건 대립한다. 위로 누이가 아홉이 있지만, 전쟁통에 모두 과부가 되어 자신에게 가문의 흥망이 걸린 상황.
나중에는 특공대가 되어 갑옷 걸치고 월도를 무기로 사용하여 시간을 끄는데 주력하고,[3] 성을 나가려는 갑순이와 거시기를 호위해준다. 이 때 각각 무기를 겨누고 있는 신라 본진 군대와 당나라 군대가 마치 결혼식 축하용 검처럼 세워져있었는데 그걸 문디가 하나하나 월도로 무기 치워! 보내주라고 이 새끼들아!하면서 밀어내 주었다.
참고로 문디가 특공대가 되는 이유는 김유신이 특공대를 조직하여 평양성의 성문이 열리는 걸 지연시킬 계획을 위해 세우는데 이때 특공대 보수로 땅 열마지기가 보수였다. 그러다 특공대에 문디도 합류하는데 어차피 다 죽을건데 이왕 챙기는거 거하게 챙기고 가는게 어떠냐며 특공대를 파토낸다. 그러다 김유신이 직접 나서 협상에 들어가는데 처음에는 문디의 보상 요구는 땅 스무마지기와 군대면제를 요구하는데 김유신은 아예 땅 서른마지기에 자식들까지 군대면제를 시켜버린다. 이에 주변 장수들이 미쳤냐고 하지만 김유신은 "어차피 다 죽을건데 무슨상관이냐?"라고 말하고 특공대를 조직한다.
엔딩에서는 김유신의 계략으로 신라 본대의 합류로 고구려 땅을 날름 하려고 하다가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된 당나라군을 두고 철수하는 김유신에게 우리가 쪽수도 더 많은데 다 죽여버립시다.라고 얘기를 건네면서 영화가 끝난다. 여기에 대한 김유신의 답은 니는 어차피 이제 군대면제 아이가?(문디를 주축으로 한 신라 특공대가 특공대가 되는 조건으로 군대면제+땅 20마지기를 요구했다), 그리고 전쟁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게 최곤기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