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1:52:33

모래 먼지의 베리어 -더스트 포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방어막(유희왕)
,
,
,
,
,

1. 개요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2. 설명

2.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6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모래 먼지의 베리어 -더스트 포스-,
일어판 명칭=<ruby>砂塵<rp>(</rp><rt>さじん</rt><rp>)</rp></ruby>のバリア -ダスト・フォース-,
영어판 명칭=Quaking Mirror Force,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이 효과로 뒷면 수비 표시가 된 몬스터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에서 등장.

광역 절망의 함정 속으로 효과를 내장하고 있어 고스트릭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건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도, 파괴도 아니기 때문에 효과 내성이 없는 이상 대처하기 어렵다. 또한 파괴 효과나 제외 효과에 대한 반응으로 효과를 발휘하는 몬스터는 제법 있지만 표시 형식 변경에 반응하는 효과를 지닌 몬스터는 찾기 어렵다는 점도 메리트.

게다가 뒷면 수비 표시가 된 몬스터는 어드밴스 소환 등으로 따로 처리를 하지 않는 이상 상대 몬스터 존에 공간을 차지하여 추가 전개에 방해까지 준다.

엑시즈 / 싱크로 소환은 물론 대량 펜듈럼 소환마저 방해하는 훌륭한 효과. 펜듈럼 소환이 주축인 환경에서 에어 포스도 다소 애매했는데, 아예 뒷면으로 뒤집는 이 카드는 꽤 유용하다는 평가.

더불어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을 채용하는 덱이라면 충분히 사용할 만하다.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할 경우에 배의 관통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운 좋게 수비력 2000보다 적은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에는 직접 공격보다 더한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굳이 그런 게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몬스터는 공격력이 수비력보다 낮은 경우는 몇몇의 예외를 제외한다면 거의 없으므로 공격 표시의 몬스터의 공격보다 더한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다만 반대로 수비력이 0인 데다가 상대 효과 대상 내성, 상대 효과 파괴 내성을 가진 카오스 MAX 드래곤 역시 이 카드에는 당하니 주의.

링크 몬스터는 수비 표시가 존재하지 않아 공격 표시로만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달의 서 어둠의 봉인검과 같은 유형의 카드도 마찬가지. 다만 달의 서나 어둠의 봉인검은 상대 메인 페이즈에도 발동이 가능하거나 어느 턴이건 상관없이 효과가 지속돼서 앞면 표시로만 소환이 가능한 링크 소환을 막아버리는 용도로 쓸 수 있지만, 이 카드는 배틀 페이즈에만 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방법이 불가능하다.
수록 시리즈
2015-10-17 |
[[일본|]][[틀:국기|]][[틀:국기|]] BOSH-JP076 | ブレイカーズ・オブ・シャドウ [ BREAKERS OF SHADOW ]
2017-02-25 |
[[일본|]][[틀:국기|]][[틀:국기|]] SR04-JP036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 恐獣の鼓動 -
2016-01-15 |
[[미국|]][[틀:국기|]][[틀:국기|]] BOSH-EN076 | BREAKERS OF SHADOW
2017-04-14 |
[[미국|]][[틀:국기|]][[틀:국기|]] SR04-EN036 | DINOSMASHER’S FURY STRUCTURE DECK
2017-10-06 |
[[미국|]][[틀:국기|]][[틀:국기|]] LEDD-ENB23 | LEGENDARY DRAGON DECKS
2016-02-01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BOSH-KR076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2017-05-18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R04-KR036 | 스트럭처 덱 R - 공수의 고동 -

2.2. 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1962_20240528045028_img_2_wKMBOQIIbORbv7CKVvnFGp3gKIFi2nLpwXoAlwHC8WcuRe4nOfqUJjyTp1zidBNP.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레전드=,
한글판 명칭=모래 먼지의 베리어 -더스트 포스- (미발매),
일어판 명칭=<ruby>砂塵<rp>(</rp><rt>さじん</rt><rp>)</rp></ruby>のバリア -ダスト・フォース-,
영어판 명칭=Quaking Mirror Force (미발매),
조건=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OCG와는 달리 수비 몬스터도 뒷면 수비로 바꿀 수 있지만 뒷면 수비가 된 몬스터의 표시 형식 변경 제한이 사라졌다. 이 변화점으로 공격 몬스터를 사용불가로 만드는 OCG와는 사용법이 다소 달라져서, 공격 몬스터를 제거하는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보다는 공격 무력화처럼 턴을 안전하게 받아낸다는 느낌이 강해졌다.

공격 무력화의 경우 맥시멈 몬스터의 공격도 막아낼 수 있고 니게이터 드래곤과 조합하여 설령 파괴되어도 가치를 유지하는 점이 장점이지만, 이 카드는 다른 활용도가 없는 대신 지속 효과를 가진 몬스터를 뒷면으로 만들어 자신의 플레이가 방해되는 일이 없어지는 것에 의의가 있다. 칠보신-양재를 카운터할 수 있다는 것은 다른 공격 반응형에 없는 이 카드만의 장점.
수록 시리즈
2024-07-13 |
[[일본|]][[틀:국기|]][[틀:국기|]] RD/SD0B-JP038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バース・オブ・ヒーロ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