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21:09:42

말머리성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갈자리에 있는 반사성운에 대한 내용은 푸른 말머리 성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asdasdas11.png
[[오리온자리#구성원|오리온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베텔게우스
Betelgeuse
베타성
리겔
Rigel
감마성
벨라트릭스
Belatrix
델타성
민타카
Mintaka
엡실론성
알닐람
Alnilam
제타성
알니탁
Alnitak
에타성
오리온자리 에타
η Ori
세타성
오리온자리 세타 1· 2
Trapezium Cluster · θ2 Ori
이오타성
하트샤
Hatysha
카파성
사이프
Saiph
람다성
메이사
Meissa
뮤성
오리온자리 뮤
μ Ori
누성
오리온자리 누
ν Ori
크시성
오리온자리 크시
ξ Ori
오미크론성
오리온자리 오미크론 1· 2
ο Ori
파이성
오리온자리 파이 1· 2· 3· 4· 5· 6
Orion's Shield
로성
오리온자리 로
ρ Ori
시그마성
오리온자리 시그마
σ Ori
타우성
오리온자리 타우
τ Ori
웁실론성
오리온자리 웁실론
υ Ori
피성
오리온자리 피 1· 2
φ Ori
카이성
오리온자리 카이 1· 2
χ Ori
프시성
오리온자리 프시 1· 2
ψ Ori
오메가성
오리온자리 오메가
ω Ori
플램스티드 명칭 순
그 외 오리온자리에 속한 항성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25%> 오리온 성운 N ||<bgcolor=white,#1c1d1f><width=25%> 오리온자리 람다 성단 S ||<bgcolor=white,#1c1d1f><width=25%>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O ||<bgcolor=white,#1c1d1f><width=25%> 말머리성운 N ||
NGC 1981 S NGC 1980 S 트라페지움성단 S 드 모이란 성운 N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오리온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파일:말머리 성운01.png
불꽃 성운(NGC2024)과 알니탁(ζOri) 옆 NGC2023, 말머리성운.
파일:말머리 성운02.png
유럽 남방 천문대가 찍은 사진(좌)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적외선 보정 사진 (우)[1].
1. 개요2. 특징
2.1. IC 434
3. 여담

[clearfix]

1. 개요

말머리성운(Horsehead nebula) 또는 마두상성운(馬頭像星雲)은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성운으로 가장 유명한 암흑 성운 중 하나이다. 지구로부터 약 1,500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폭은 3.5광년 정도 된다.

이름처럼 검은 말의 머리에서 목까지의 형태를 하고 있는 성운이다. 선명한 붉은색을 띠는 발광 성운 앞을 가로막은 가스 구름이 '우연히' 말머리 형상을 하고 있어 생긴 성운. 비유하자면 "맑은 하늘을 올려다보니 무슨 특이한 형상의 뭉게구름이 있었는데, 마치 말머리를 닮았다"고 하는 수준이다. 뭉게구름이 쉽게 흩어지듯 말머리성운 역시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만 현재의 말머리 형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것은 우주 시점에서 짧은 시간이지, 인간의 일생과 비교한다면 무지막지하게 오랜 시간이다.

2. 특징

'천문학을 잘 모르는데 어디서 들어 본' 정도의 사람들은 흔히 오리온 대성운(M42)과 착각하기도 한다. 말머리성운은 오리온 벨트 근방에서 관측된다. 그 특이한 형태 덕분에 이름이 어느 정도 알려진 성운이지만 맨눈으로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2] 크기도 작기 때문에 사진 촬영을 목표로 하더라도 상당한 고난도의 관측 대상이다. 아마추어 천문학자들도 망원경을 사용했음에도 관측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성운 중에서는 하늘에서 알아보기 쉬운 성운 중 하나로 손꼽힌다.

말머리의 좌하단 방향에 있는 푸른색의 성운은 NGC 2023으로 성운 중에서도 꽤 드문 반사성운의 일종이다. 그 왼쪽에 밝게 빛나는 별은 오리온자리의 제타성인 알니타크(Alnitak)이다. 그 왼쪽에 있는 불꽃성운은 NGC 2024다.

말머리의 왼쪽 끝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른 곳보다 약간은 흐릿한데 이는 성운 안에서 별빛이 새 나오는 탓이다.

2.1. IC 434

IC 천체
IC 433
이리자리의 타원은하
IC 434
오리온자리의 발광성운
IC 435
오리온자리의 반사성운
IC 434
<nopad> 파일:QLXDTRvfPcjY_2560x0_n1wMX-gx.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41m 00s
적위 −02° 30′ 00″
별자리 오리온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약 1,500 광년
약 46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7.3
규모
지름 약 20 광년
겉보기 크기 1°30' x 30'
명칭
IC 434, SH 2-277, LBN 954, Ced 55n

IC 434는 말머리 성운 위쪽에 있는 붉은 발광성운을 말하며 스코틀랜드의 천문학자인 윌리엄미나 플레밍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오리온자리 시그마 성단에 의해 이온화되며 성단의 별들에서 나온 자외선이 성운의 수소 가스를 치고 지나가면서 수소 기체가 붉은색을 내기 때문에 붉게 보인다.

말머리 성운이 워낙에 유명하다 보니 묻힌 감이 있지만 IC 434 성운은 꽤나 밝은 성운에 속하며 어두운 밤하늘에선 맨눈으로 보인다.

장노출 사진으로 보면 유난히 검은 부분이 성운 북쪽에 있다. 이는 오리온자리 B 분자운 맨 끝자락에 위치한 암흑성운으로 이 암흑성운에 의해 IC 434의 북쪽 일부분이 가려져 있다고 한다.

과거 IC 434 성운이 생기기 전에 해당 위치에선 폭발적인 별 형성을 발생시킨 성운이 있었으나 이때 형성된 별들이 연쇄적으로 초신성을 일으키면서 성운이 빠르게 흩어졌고[3] 그 자리에서 오리온자리 시그마가 형성되면서 IC 434 성운과 말머리 성운이 만들어졌다는 흥미로운 가설이 있다.[4]

3. 여담



[1] "Horsehead Nebula in Infrare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l/AURA) HST WFC3/IR, STScl-PRC13-12a. 참조. [2] 안시등급이 7.3이다. 천왕성의 안시등급이 5.6 정도 되므로 맨눈으로 관측하기가 매우 힘들다. 전문가들도 안시등급이 6보다 낮으면 관측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3] 이 초신성의 잔해가 바너드 루프등을 포함하는 오리온자리-에리다누스자리 초거품이다. [4] 또한 이 가설은 말머리 성운 기준 남쪽에 있는 성간가스들이 초신성 발생 당시 서쪽 가장자리로 휩쓸리면서 밀집된 성간가스 층을 형성했다고 추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