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요 주주 | ||
프랑스 정부| 닛산|기타 공영 | |||
전/현직 주요 인물 | |||
장도미니크 세나르RNMA 회장| 루카 데 메오르노 그룹 CEO| 카를로스 곤| 프랑수아 프로보 | |||
계열사 및 사업부 | |||
브랜드 | 르노| 알핀| 모빌라이즈| 다치아| 화청| EV이지 | ||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 | 오픈 이노베이션 랩 파리| 테크노센터| 오픈 이노베이션 랩 실리콘 밸리| 오픈 이노베이션 랩 텔아비브 | ||
제조사 | 바틸리| 소파사| 소마카| 코르메카니카 SA| 르노 아르헨티나| 르노코리아| 르노 두 브라질| 르노 멕시코| 르노 인더스트리 벨기에 SA| 르노메드| 레보즈| 르노 남아프리카 | ||
합자회사 | 현재 | 호스 파워트레인| JMEV| 오약 르노| 르노 닛산 오토모티브 인디아| 르노-파스| 르노 알제리 | |
과거 | 르노 브릴리언스| 둥펑 르노| 마힌드라 르노 | ||
부품 제조사 | 모트리오 | ||
마케팅ㆍ커뮤니케이션 | 르노 클래식| 라뜰리에 르노 파리 | ||
제조 공장 | 유럽 | ACI 메이지외 공장| 두에 공장| 바틸리 공장| 플린스 리팩토리| 르망 공장| 알핀 디에프 장 레델레 공장| 노보 메스토 공장슬로베니아| 팔렌시아 공장스페인| 셍 엉드헤 드 류흐 공장| 상두빌 공장| 바야돌리드 카로체리아 공장스페인| 바야돌리드 몬타제 공장스페인| 부르사 공장튀르키예| 미오베니 공장(다치아)루마니아 | |
남미 | 코르도바 공장아르헨티나| 쿠리티바 공장브라질| 엔비가도 공장콜롬비아 | ||
태평양 | 부산 공장대한민국| 카사블랑카 공장모로코| 오란 공장알제리| 탕헤르 공장모로코 | ||
소매 | 르노 리테일 그룹 | ||
금융 | 모빌라이즈 파이낸셜 서비스 |
르노 두에 공장 Douai Renault Factory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개요 | |
국가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위치 | 노르 노르파드칼레 두에 |
상세 주소 | 924J+6C, 59552 Lambres-Lez-Douai, 프랑스 |
개장 연도 |
1970년 1975년 (가동 시작 연도) |
소유 기업 | 르노 |
규모 | 118 ha |
직원 수 | 2,464명 (2023년 12월 기준) |
좌표 |
북위 50도 21분 49.86초 동경 3도 1분 39.9초 |
지도 | |
[clearfix]
1. 개요
프랑스 노르에 노르파드칼레 지역 두에에 위치한 르노의 차량 생산 공장이다. 해당 공장은 릴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2. 역사
1968년에 승인이 난 후 착공되기 시작했으며, 당시 두에 지역이 EEC의 산업 중심의 중심 겸 주요 산업, 인구 중심지였고 탄광 자원도 고갈되었던 때문에 최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970년에 완공된 후 초기에는 소형차를 중심으로 생산했는데, 본격적으로 소량의 1975년형 르노 5가 그 시작이었다.[1] 이후 폭스바겐 골프의 대항마로 르노 14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나, 1976년에 총 325대의 14와 50대의 5 차량이 생산되었다.개장 초기인 1977년까지는 7,000여 명의 직원들이 근무했고, 급속한 자동화 시대에서 고도로 자동화된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차체 조립 공정에서 패널들의 주요 용접은 4대의 유니메이트(Unimate) 로봇들이 담당했는데 직원들은 이 기계에 테오필(Theophile), 아르신(Arsine), 마르셀(Marcel), 모데스트(Modeste)라는 애칭을 지어주기도 했다. 당시 공장을 방문한 인원들은 추가 확장을 위한 넓은 공장의 공간에 깊은 인상을 받기도 했다는 언급이 나오기도 했다.
1996년부터 메간 세닉과 1세대 르노 메간을 생산하기 시작했는데, 2세대 이후 생산분이 팔렌시아 공장으로 이관되면서 타격을 입게 되었다. 또한 당시에는 메간 CC 카브리올레 사양을 소량으로 생산하기도 했었다. 이후에는 4세대 르노 에스파스와 르노 탈리스만[2]을 생산하다 2023년 내연기관 사양의 차량들을 모두 단종시킨 후 전기차로 생산을 전환하였다.
ISO 14001, ISO 9001, EAQF 인증을 받은 공장이다.
3. 생산차량
르노의 두에 공장 생산 차량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적용 차량 | 생산기간 |
|
<colbgcolor=#fff> 2022년~현재 | |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
|
2024년~현재 | |
세닉 E-테크 | ||
|
2024년 예정 | |
5 E-테크 |
4. 단종차량
르노의 두에 공장 과거 생산 차량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적용 차량 | 생산기간 |
|
<colbgcolor=#fff> 1972년~1985년 | |
5 | ||
|
1976년~1983년 | |
14 | ||
|
1981년~1989년 | |
9 | ||
|
||
11 | ||
|
1988년~1996년 | |
19 | ||
|
1996년~2023년[3] | |
세닉 | ||
|
1996년~2009년[4] | |
메간 | ||
|
2015년~2023년 | |
탈리스만 | ||
|
2015년~2023년 | |
에스파스 |
[1]
기존에 생산된 플랭쉬르센에 위치해 있던 공장 생산분이 주력이었다.
[2]
유럽을 제외한 한국 생산분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에서 생산되었으니 예외. 이 곳에서는 아직도 생산되고 있다.
[3]
1~4세대
[4]
1~2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