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9 00:05:41

동서대학교/미래형 강의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서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학풍 학부ㆍ계열 기숙사
입학 동아리 학식
시설 해외캠퍼스 역사
상징 교통 출신인물
대학원 학사제도 사건사고 및 논란 }}}}}}}}}


1. 미래형 강의실
1.1. 주례캠퍼스1.2. 센텀캠퍼스

1. 미래형 강의실

개교 30주년을 전후로 강의실을 리모델링하거나 새롭게 개조하는 방식으로 미래형 강의실을 캠퍼스 곳곳에 만들고 있다. 2022년에는 디자인대학 졸업전시 외 다양한 국제디자인 프로젝트 및 전시를 진행할 수 있는 몰입형 디지털 아트갤러리 등이 오픈할 예정이다.
동서대학교 미래형강의실 소개 영상

1.1. 주례캠퍼스

파일:future_facility_01_1.jpg
우주선 콘셉트 테마형 강의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계열의 전공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혁신적인 수업이 가능하도록 설계·구축된 강의실로 미래형 수업(플립러닝, PBL, 융합 등)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교육공간이다. 우주선 콘셉트의 테마식 강의실로, 마치 놀이동산이나 테마파크에 온듯한 느낌이 든다. 화이트보드를 과감히 없앤 대신 교수자는 태블릿PC를 사용한다. 스크린 셰어 환경을 통해 그룹별 토의 결과를 모니터 화면에 전송해서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미디어의 특징을 살리기 위한 4K 모니터 4개 벽면설치로 PT발표와 콘셉트형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 했다.
파일:future_facility_02_3.jpg
미디어아울렛 아넥스
미디어아울렛 아넥스, 거대한 영상의 성벽을 쌓아 올리다! 모아(Media Outlet Annex, MOA)
IFS 교내현장실습공간인 미디어아웃렛과 근접하고 있어 학습 시스템의 효율적 연결성을 제공. 대형 비디오월 인프라를 통한 영상 콘텐츠 제작의 확장성을 도모하며, 강의실 밖에서도 실내가 훤히 보이는 수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서서 수업하는 스탠딩 데스크의 도입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력과 집중력 향상에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파일:future_facility_03_1.jpg
3D 가상 해부 실습실
3D 해부학 플랫폼으로 실감나는 미래형 교육 On!
실제의 인체구조를 3D로 가상해부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 구축하여 학생들은 수술대 형태의 터치스크린에서 실제 크기의 디지털 카데바와 상호작용하며 직접 해부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교수자가 해부하는 과정을 TV 모니터로 자세하게 보면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85인치 고화질 TV 2대를 강의실 전면 벽에 연결하여 설치하여 이 미래형 강의실에서 수업할 경우 인체 해부생리학 지식을 3차원적으로 습득할 수 있고 해부학적 구조물 간의 관계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어서 학생들의 이해력을 한층 더 높인다.
파일:future_facility_04_1.jpg
협업과 소통의 강의실
협업과 아이디어 도출에 효과적인 팀 프로젝트를 위한 테이블 배치하고 PT발표 및 판서가 동시에 가능한 판서용 패널 벽면설치하여 교수-학생의 상호작용(NSS) 프로그램을 통한 양방향 수업 지원 PBL(Problem-Based Learning, TBL(Team-Based Learning, 연구 활동, 조별 학습 등 모든 형태의 학습을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축하였으며 NSS 프로그램을 설치 하여 학생들의 몰입감이 떨어지지 않도록 노력했다.
파일:future_facility_05_3.jpg
N-screen기반 Immersive Show Room
교육역량 달성과 이에 대한 실현을 위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에서 팀별 프로젝트 창작 활동이 가능한 창의적 교육 공간으로서 N-screen기반의 유연한 사고력을 배양하는 디자인 교육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 구축하고 이를 통해(making)과 시연(showing)이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실습-현장 일체형 환경을 구축하였다. 또한 뉴노멀 시대 한 개의 강의실에서 N-class(다양한 수업)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들이 병행될 수 있는 강의실로 재구성하였다.
파일:future_facility_06_2.jpg
Creative Arts Studios
게임학과 학생들과 영상애니메이션학과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개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전공자들을 위해서는 모션 캡처 공간을, 영상전공 학생들에게는 크로마키 촬영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조명의 설치, 카메라의 사용 등 실습 환경을 중심으로 한 연습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하는 등, 각 랩실 별로 CG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파일:future_facility_07_2.jpg
융합스마트미러센터
학생들이 현장에서, 실무에서 익힌 학습된 내용을 학습하고 또한 자신의 셀프 기능을 체크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팀프로젝트를 더불어서 할 수 있게 모듈화된 공간으로 구성하였으며 누구나 쉽게, 그리고 누구나 머무르고 싶은 공간으로서 미디어와 연계한 기능을 많이 세팅하였다. 학생들이 좀 더 심도화된 내용을 가지고 다양한 캡스톤같은 수업을 하는 공간으로서 학생들이 스포츠와 의학, 그다음에 미디어를 연계한 다양한 학습을 통해서 자신의 미래와 역량을 강화해나가는 공간이다. 특히 미디어와 스마트티비를 융합한 해부학 공부를 가능하게 하였다.
파일:future_facility_08_1.jpg
RehabFit. Center(RFC)
Total Health Care를 위한 “Rehabfit” 인재 양성
RehabfitCenter는 교내 IFS공간을 활용하여 운동처방학과 학생들의 스포츠 재활 및 운동 지도법에 대한 실습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운동처방학 전공자들에게 필수적인 현장실무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자재 및 운동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실습 환경을 중심으로 한 전공역량 강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하는 등 운동재활전문가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파일:future_facility_09_2.jpg
VOICE 비즈니스실
VOICE 비즈니스실에서 협업 능력을 키운다!
기업 컴퓨팅 환경이 모바일과 클라우드로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기반 환경 구축하여 BYOD (Bring Your Own Device : 공간은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노트북이나 태블릿, 스마트폰과 같은 자신이 보유한 디바이스를 사용) 시스템으로 개인의 장비를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모바일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협업과 팀별 활동에 용이한 좌석 배치 및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한다.
파일:future_facility_10_2.jpg
비즈니스미래실
공간의 한계를 넘는 소통 중심의 강의실
유리칠판을 설치하여 브레인스토밍, 기획 등 아이디어 창출하고 그룹과제 및 토의 활동에 유용한 팀별 테이블 구성하여 다목적으로 활용하며 교수-학생, 학생상호간 외부 전문가 등이 유기적으로 만날 수 있는 온라인 네트워크에 의한 학습 참여가 가능하고 ZOOM 강의녹화, 실시간 다자간 통신네트워크 등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였다.
파일:future_facility_11_1.jpg
현장연결형 미래형 강의실
온택트 원격시스템 플랫폼의 표준화된 교육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ZOOM기반 실시간 화상회의가 가능한 멀티다중 화상시스템을 구축.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방송국 뉴스 스튜디오를 디자인 컨셉으로 강사추적카메라, 무선마이크 탭, 온라인 교육자료를 바로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미팅 프로그램 등 새로운 도구와 기술을 활용 국내외 주요 프로젝트 현장과 연결하여 실시간 경험학습을 유도하고 건설분야 미래혁신기술의 개발과정을 습득할 수 있도로 극대화하였다.

1.2. 센텀캠퍼스

파일:future_facility_12_2.jpg
호텔경영학전공 미래형 강의실
학생들이 즐거운 학습의 장場
학생들의 수업 활동, 집중도, 개별 학습 및 팀 활동 등 학생들의 활용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한 공간 구축을 위해 양방향(학생 vs 학생), (Team vs Team)의 공간으로 자발적인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 미래형 수업, 특히 경험학습에 최적화된 강의실로, 플립러닝 및 각종 비교과 연계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창의성 도출을 위한 팀 토론 기능 강화, 강의공간의 구축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과 편의성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