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6 22:58:08

데스크탑 던전/Vicious Gaan-Telet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데스크탑 던전
1. 개요2. 특수 룰
2.1. 지하던전2.2. 패널티2.3. 특수 몬스터
3. 전략
3.1. 전략 선택3.2. 준비
4. 전략 예시
4.1. 오크 타우로그4.2. 뱀파이어4.3. 드라큘 인간 팔라딘4.4. 글로잉 가디언 인간 팔라딘4.5. 빈로르

1. 개요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Gaan-talet.jpg
이름 난이도 해금 조건 퀘스트 추천 직업
Vicious Gaan-Telet Vicious 100%[1] Oh, Horatio![2] Dark Soul[3] 뱀파이어, 크루세이더, 로그, 팔라딘, 몽크[4]

출현 몬스터와 보스[5]:
이름 특성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Dragon_Spawn_Monster_Icon.png Dragon Spawn 체력 125%, 마법 공격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Goblin_Monster_Icon.png Goblin 공격력 120%, 선제 공격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Golem_Monster_Icon.png Golem 마법 저항 50%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Goo_Blob_Monster_Icon.png Goo Blob 물리 저항 50%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Gorgon_Monster_Icon.png Gorgon 체력 90%, 선제 공격, 데스 게이즈 50%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Meat_Man_Monster_Icon.png Meat Man 공격력 65%, 체력 200%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Serpent_Monster_Icon.png Serpent 독성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Warlock_Monster_Icon.png Warlock 공격력 135%, 마법 공격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Wraith_Monster_Icon.png Wraith 체력 75%, 언데드, 무혈, 마나 번, 마법 공격, 물리 저항 30%
파일:external/www.qcfdesign.com/Zombie_Monster_Icon.png Zombie 체력 150%, 언데드, 무혈[6]
파일:external/qcfdesign.com/Goat_Monster_Icon.png Horatio the Immortal 공격력 75, 체력 5000, 물리 저항 50%, 마법 저항 50%, 분노 50%

Vicious Gaan-Telet은 데스크탑 던전에서 가장 어려운 던전이다. 단순히 Tower of Gaan-Telet과 같은 룰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성격은 엄청나게 다르다. 하드 난이도의 Tower of Gaan-Telet은 대다수의 전략을 허용하고 그렇게 긴 것도 아니지만, 이 던전은 차원이 다른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어는 끝없이 쏟아져 나오는 적들을 상대로 부족한 자원을 가지고 싸워야 하며, 그 난이도는 점점 어려워진다.

던전에 입장하면 처음부터 밝혀져 있는 부분이 타워 부분인데, 처음에는 1개의 지하던전에만 갈 수 있다. 이게 타워 1층이다. 한 층의 몬스터를 전부 죽이면 다음 층이 열린다. 이렇게 9개의 층을 전부 깨고 최상층에 가면 최종보스 Horatio the Immortal이 버티고 있다. 외부 맵의 몬스터 난이도는 100%지만, 1층은 110%고, 층마다 난이도가 10%씩 상승해 9층은 190%가 된다. 이 어려운 몬스터를 죄다 뚫고 최상층에 올라가면 물리/마법 저항 50%, 체력 5000의 최강 보스가 반겨 준다. 다행히도(?) 공격력은 75밖에 안 되지만, 체력 50% 미만에서 분노하여 공격력이 50% 상승한다.

Vicious Token을 준비해 갔을 경우 모든 몬스터가 기존의 난이도 설정을 무시하고 공격력 160% 체력 200%로 세팅되어 뒤로 갈수록 쉬워지는 흥미로운 구조가 되며, 난이도를 고려했는지 보스는 공격력만 160%로 세팅되고 (평소 75 분노시 112에서 평소 120 분노시 180으로 바뀜) 체력은 그대로 5000이다. 이는 하드 난이도 던전인 Tower of Gaan-Telet도 같아서, Vicious Token을 가져가도 체력은 그대로 999다.


2. 특수 룰

특수 룰 자체는 Tower of Gaan-Telet과 같다. 문제는 타워가 9층이나 있다는 점이다. Tower of Gaan-Telet는 3층까지 있기 때문에 8레벨, 9레벨, 10레벨의 몬스터들을 만날 수 있다. Vicious Gaan-Telet의 경우, 4층부터 9층까지도 10레벨의 몬스터들이 나타난다.

이 던전에는 별다른 지하던전도, 신전도 준비하지 않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현재 믿고 있는 신의 신전이 타워 안쪽 입구 옆에 나타난다. 또한 모든 신의 신전이 지하던전 중 하나에 각각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신을 준비해 와서 믿고 있다면 같은 신전이 최대 3개까지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2.1. 지하던전

3층까지만 깨고 나면 보스를 만날 수 있는 Tower of Gaan-Telet과는 다르게 Vicious Gaan-Telet은 9층까지 있다. 각 층은 무작위 신전 하나, 그 신에 따른 맵, 네 마리의 기본 몬스터, 한 마리의 특수 몬스터, 특수 몬스터에 해당하는 아이템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타워 안에 있는 모든 몬스터는 준보스라서 슬레이어 완드의 즉사 효과, IMAWAL의 석화, 글로잉 가디언의 사면 권능에 면역이다. 여기 있는 몬스터들은 레벨이 10이라고 해도 보스몬스터는 아니다. 예를 들어 Goo Blob은 물리 저항이 75%가 아니라 50%다.

2.2. 패널티

난이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각 지하던전은 입장하면 다음과 같은 패널티를 준다. 같은 패널티가 두 번 나타나는 일은 없다.

다만, 지하던전이 패널티를 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 최대 3개의 층이 패널티가 없다. 그런데, 패널티의 종류는 7개다. 다시 말해 패널티가 없는 경우를 포함해 10가지의 경우 중 9가지만 등장한다는 것이다. 운이 좋으면 위의 패널티들 중 하나가 등장하지 않을 것이다. 참고로, 타워 1층은 무조건 패널티가 없다.

2.3. 특수 몬스터

각각의 지하던전은 1마리의 특수 몬스터와, 특수 몬스터와 관련있는 아이템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이름 특성 관련 아이템 아이템 효과
Goblin Miner 넉백 50%, 마나 번 Wall Cruncher[7] 소모하면 상하좌우의 벽 타일을 부순다. 작은 아이템, 25CP
Dancing Sword 체력 80%, 레벨당 1 데스 프로텍션, 블링크 "Penance" 기본 공격력 +2, 최대 마나 +1, 단 땅에서 바로 환원하지 않고 인벤토리에서 환원하면 기본 공격력 -3, 최대 마나 -2, 35CP
Burn Viper 블링크, 마나 번 Cracked Amulet 소모하면 경험치 +5, 10CP
Golden Statue 공격력 1, 체력 200%, 무경험치, 약화, 부식성 Long Rant 소모하면 같은 맵에 있는 모든 몬스터가 부식 3스택을 얻음, 10CP
Gelatinous Thing 파이어볼 반격 Nom Nom 소모하면 최대 체력 +(플레이어 레벨), 대신 중독에 걸림, 20CP
Bridge Troll 공격력 75%, 체력 125%, 물리/마법 저항 50%, 빠른 회복, 분노 50% Sensation Stone[8] 효과 없음, 150CP
Dragon Elite 마법 저항 50%, 독성, 저주 Compression Seal 대상이 된 큰 아이템을 작은 아이템으로 만든다. 10CP
Illusion 물리 저항 50%, 약화, 파이어볼 반격 Ritual Scroll 소모하면 물리/마법 저항 +5%, 최대 마나 +1, 저주 3스택, 20CP
Immortal Yin 무경험치, 무혈 Yang's Sword 기본 공격력 +3, 소모하면 데스 프로텍션을 얻음, 작은 아이템, 35CP

3. 전략

Vicious Gaan-Telet은 Tower of Gaan-Telet과 상당히 비슷하지만, 훨씬 더 오래 버틸 수 있고 안정적인 전략을 필요로 한다. 후반으로 갈수록 자원은 점점 부족해지고 몬스터는 점점 세진다. 한 방을 버틸 수 없다면 게임 끝이다. Vicious Gaan-Telet의 문제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성공적인 전략은 다음의 문제점에 전부 대항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을 버텨낼 수 있으려면 물리/마법 저항이 매우 높고, 공격력도 높아야 하며, 저주를 벗길 방법(팝콘이나 어스마더의 녹혈 권능)이 있어야 한다. 피웅덩이가 매우 많이 남는 만큼 핏빛 특성도 대부분의 경우 필요하다.

3.1. 전략 선택

3.2. 준비


다른 글리프들은 보자마자 환원해도 무방하다.

4. 전략 예시

4.1. 오크 타우로그

'일반적인' 모든 직업을 여기다가 쓸 수 있다. 타우로그, 드래곤 실드, 패치 인형or암시장, 압축 씰, 추가 대미지 부스터, Burn Salve, Fortitude Tonic, 반사or수은 물약, Can of WHUPAZ, 추가 물약 상점or퀘스트 아이템, Perseverance Badge를 준비한다. 이 빌드의 요점은 대미지를 무지막지하게 올리는 것이다. 타우로그나 아이템, 특성 등에서 공격력 보너스를 막대하게 받아 챙기면 레벨 10에 도달하고 나서도 인간보다 센 오크를 볼 수 있다.

타우로그를 바로 믿지 말고 좀 돌아다니면서 WONAFYT 등의 글리프도 사용하고 하다가, 글리프를 두세 개 발견하면 타우로그를 믿고 글리프를 갈아서 타우로그의 검을 산다. 그리고 이제부터 몬스터 사냥에 나선다. 한방에 보낼 수 있는 몬스터들을 상대할 땐 패치 인형이 독을 걸든 마나번을 걸든 아무런 상관이 없다. 두 방에 보낼 수 있는 몬스터들까지도 상관 없다. 끌리는 아이템은 적당히 산다. 예를 들어 로그는 체력이 부족하므로 드워븐 건틀릿 같은 아이템을 발견하면 즉시 사면 된다. 크루세이더가 아닌 이상, 마나 번에 걸리는 경우가 레이스, 고블린 마이너, 패치 인형을 포함해서 꽤 많기 때문에 Soul Orb가 매우 좋은 아이템이다.

필요한 글리프는 HALPMEH, BYSSEPS, GETINDARE이다. BYSSEPS는 오크를 쓰고 있기 때문에 효율이 상당히 좋지만 가장 중요한 건 보스를 잡기 위함이므로 만약 인벤토리가 부족하다면 바닥에 그대로 놔 둔다. 타우로그를 믿는 도중에도 이 글리프들을, 특히 HALPMEH를 쓸 수 있을 텐데 어차피 한두 번 정도로 충분히 몬스터들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HALPMEH가 떴다면 BURNDAYRAZ도 갈아 버려도 된다. 공격력이 너무나 높아서 마지막 층에 있는 Goo Blob도 일반 공격으로 잡을 수 있는 수준인데다가, 회복싸움도 가능하다. 다만 Dancing Blade를 상대할 때는 BURNDAYRAZ가 효율이 좋다.

타우로그에게서 필요한 권능은 타우로그의 검, 헬멧, 갑옷 이렇게 셋이다. 타우로그의 역할은 대미지 추가와 신앙 셔틀이다. 글로잉 가디언이나 미스테라 안누르를 일찍 발견해서 신앙을 충분히 받아챙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닌 이상 무조건 타우로그에 머무르면서 저 세 권능만을 산다. 만약 최대 마나가 별로 필요 없는 직업의 경우 나머지 권능 하나까지 사서 추가 공격력 5%를 챙겨도 되긴 한다. 인벤토리가 부족할 테니 얻진 않고. 인벤토리를 널널하게 쓰고 싶으면 갑옷만 사도 큰 문제는 없다.

GETINDARE을 적극적으로 활용 중인 경우에는 First Strike 디버프 층이 가장 문제가 되므로, 물약 같은 건 여기서 써도 된다. 드라큘을 믿고 있다면 피의 팽창 한 번쯤은 여기서도 써도 된다. 그 외에 어려운 곳은 브릿지 트롤이 있는 곳. 가능하면 레벨 캐터펄트를 활용하여 브릿지 트롤을 잡자. Long Rant는 바닥에 그대로 놔 뒀다가 호라시오와 대면했을 때 쓰자.

신앙이 100인 상태로 드라큘로 갈아탄 뒤, 바로 피의 방패를 산다. 만약 HALPMEH가 없어서 BURNDAYRAZ를 쓰고 있을 경우에는 드라큘이 신앙을 깎을 일이 별로 없기 때문에 빠르게 갈아타도 큰 문제는 없다. 피의 방패를 사고 나면 드래곤 실드(18%) + 타우로그(15%) + 드라큘(+15%) + 중간에 발견되는 스크롤(+5%) = 53% 저항이 쌓인다. 이건 최소사양이고, 패치 인형이 저항을 추가로 가져다 줄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60% 근처가 된다. 최대 저항이 65%니까 팩트메이커의 육신의 계약을 쓸 필요가 없다는 소리다. 팩트메이커는 그대로 놔 뒀다가 필요할 때 합의를 쓰도록 하자.

반대로 팩트메이커를 일찍 만났고 GETINDARE를 사용하고 있거나 해서 글리프를 그리 많이 쓰지 않을 경우, 타우로그에게서 저항을 쌓을 아이템을 받는 대신 바로 육신의 계약을 맺는 것도 방법이다. 이 경우 인벤토리가 넉넉하기 때문에 아이템이나 글리프를 가지고 다니기도 좋다. 이렇게 할 거면 끝까지 타우로그를 신앙 셔틀로 쓰고 있다가, 보스전 직전에 드라큘로 갈아타서 피의 십일조를 찍도록 하자. 최대 저항 근처는 이미 찍혔을 것이므로 피의 방패도 딱히 살 필요는 없다.

이렇게 하고 나면, 어떤 디버프가 걸리든 아무런 상관 없는 상태가 된다. 초반에 레벨링을 빠르게 한지라 팝콘이 엄청나게 남겨져 있기 때문에 저주는 큰 문제가 안 되고, 약화, 부식, 중독, 마나 번은 준비해 온 물약을 마시고 처리할 수 있다. 팝콘을 잡을 때는 나중에 드라큘로 갈아탈 것을 감안해서 좀비와 레이스, 그리고 데스게이즈의 위험이 있는 슬로우되지 않은 고르곤을 우선적으로 처리하자. Burn Salve를 마시는 타이밍은 Golden Statue 처리 + 중독/마나번/약화/부식 디버프 후고, Fortitude Tonic을 마시는 타이밍은 Golden Statue 처리 + 중독/마나번/약화/부식 디버프 + Illusion 처리 후다. Burn Salve와 Fortitude Tonic을 둘 다 준비해 오고 상점에서 Fortitude Tonic을 하나 더 살 수 있는데, 이러면 Golden Statue와 Illusion을 지날 때 각각 써 주면 간단하다. Burn Salve를 마시기 직전에 필요하다면 어스마더의 신전을 부수는 것도 좋은 생각.

아껴둔 BYSSEPS와 드라큘의 피의 십일조(3번) 만으로도 호라시오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피 웅덩이가 60개) * (하나당 체력 15% 회복) = 900% 체력 회복... 충분하다. 게다가 피 웅덩이를 들이키면서 나오는 신앙은 금방 100에 도달하여, 팝콘만 남아 있다면 피의 팽창도 쓸 수 있다.

참고로 호라시오를 상대할 때 검은 칸이 남아 있다면 먼저 회복싸움을 한 다음 피 웅덩이를 마시기 시작하는 게 좋다. 호라시오가 분노해서 공격력이 50% 늘어나면 회복싸움의 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몽크도 이 빌드에서 빛을 발한다. 마법 공격을 하는 레이스나 워록을 잡을 때 뼈아프지만, 대신 체력 회복 속도 2배 특성 덕분에 검은 칸을 매우 많이 아낄 수 있고, 물리저항이 시작하자마자 68%라 타우로그의 갑옷도 살 필요가 없다. 남들이 최대 저항 찍어서 대미지 1/3로 줄일 때 몽크는 1/4로 줄일 수 있어서 공격력이 딸린다는 단점도 후반이 되면 충분히 해소가 된다. 여기에 Vampiric Blade와 Platemail까지 얻는다면 완벽, 마나 번이 걸리더라도 무시하고 그야말로 누워서 떡 먹기로 깰 수 있다.

4.2. 뱀파이어

뱀파이어는 이 던전을 가장 쉽게 깰 수 있는 직업이다. 일단 중독과 마나 번에 면역이며, 가죽 포대만 많이 남겨 두면 검은 칸 대비 체력 회복을 다른 클래스보다 훨씬 많이 할 수 있다. 압축 씰, 퀘스트 아이템, Really Big Sword, 드래곤 실드, 추가 대미지 부스터, 패치 인형, 수은 물약, 반사 물약을 준비해서 들어가자. BURNDAYRAZ를 제외한 모든 글리프는 보이는 즉시 환원할 수 있다.

뱀파이어 런의 제일 중요한 점은 가죽 포대를 최대한 많이 남겨야 한다는 것이다. 타워 외부의 몬스터들 중 레벨 10이 돼서도 한 방에 죽지 않는 몬스터들이 가죽 포대로 기능한다. 레벨 5 이상의 미트 맨, 레벨 6 이상의 드래곤, 그리고 레벨 7의 모든 몬스터가 가죽 포대가 될 수 있으니 최대한 잡지 말고 아끼자. 최소한 4마리는 남겨야 한다. 물론 무혈 몬스터인 좀비와 레이스는 상관없다. 그리고 저주 스택을 제거할 팝콘인 낮은 레벨의 몬스터들을 최대한 많이 남겨 놓는다.

플레이트메일이 가장 중요한 아이템이다. 사실, 퀘스트 아이템을 준비해 오는 건 오직 플레이트메일 하나만을 위해서다. 상점에서 플레이트메일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난이도가 좀 올라간다. 다만 그렇다고 검은 칸을 죄다 탐험해 버리면 안 된다. 검은 칸은 이 던전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니까. 타워 외부를 탐험할 때는 가급적이면 벽을 가리고 있는 검은 칸은 탐험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야 효율적으로 맵을 탐색하면서도 검은 칸을 많이 보존할 수 있다.

레벨 5에서 6으로 올라갈 때 레벨 캐터펄트를 사용해서 레벨 8의 몬스터를 잡는다. 레벨 6부터는 4~5레벨의 가죽 포대들을 이용해서 레벨 8들을 사냥하고, 2번째 타워로 넘어간다. 이때부터는 전략은 계속 비슷비슷하다. 가죽 포대들의 체력이 찰 때마다 흡혈해서 체력을 100% 이상으로 유지하고, 가죽 포대를 이용한 회복 싸움으로 몬스터를 잡아 나가면 된다. 레벨 10의 미트 맨은 오히려 때리면 체력이 차기 때문에 다른 몬스터를 잡으면서 회복용 가죽 포대로 활용할 수 있다.

센세이션 스톤 두 개를 모두 환원하고 글리프도 BURNDAYRAZ를 제외하고 모두 환원했다면 흡혈 레벨 7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점이 되면 흡혈로 가져오는 체력이 공격력을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Golden Statue와 Illusion 두 몬스터를 넘긴 시점에서 Fortitude Tonic을 마시고 약화를 없애는 게 좋다.

Dancing Blade를 상대할 때는 일단 체력을 1로 만든 후 파이어볼을 날리고 가죽 포대를 흡혈하고 체력이 150%가 되면 공격하고를 반복하면 된다. 드래곤 엘리트를 상대할 때는 한 대 때리고 팝콘 하나를 잡고... 를 반복하면 된다. 슬로우에 걸린 고르곤이라도 Really Big Sword와 플레이트메일 때문에 데스게이즈가 적용되니 조심하자.

가장 문제가 되는 패널티는 몬스터들이 무혈 특성을 얻는 것과 저주 3스택에 걸리는 것이다. 저주를 풀기 위해 팝콘 세 마리를 남겨 놔야 하는 것을 잊지 말자. 몬스터들이 무혈 특성을 얻은 층에서는 어려우면 준비해 온 포션을 활용하자.

최상층에 도착했다면 호라시오는 껌이다. 약화를 제대로 치료했거나 Really Big Sword를 가져왔다면 심지어 호라시오는 아무런 피해도 주지 못한다. 약화를 제대로 치료하지 못했다면 보스를 반피로 만들었을 때부터 대미지를 입을 텐데, 지금까지 남겨 둔 피 웅덩이가 수십 개고 가죽 포대들의 체력도 그대로 흡수해서 쓸 수 있으니 별 문제 없이 깰 수 있을 것이다.

4.3. 드라큘 인간 팔라딘

팔라딘의 장점은 HALPMEH와 드라큘을 같이 쓸 수 있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준비를 사용하되 타우로그 대신 드라큘을 준비해 간다. 아니면 드라큘이 제때 나타나기를 빌며 어스마더 같은 부수기 좋은 신전을 준비해 가는 것도 유효하다. 상점에서 Soul Orb를 발견한다면 즉시 사자. 그러면 패치 인형의 디버프에 면역이 된다.

전략 자체는 전체적으로 오크 타우로그와 비슷하다. 다만 HALPMEH를 수십 번을 쓸 거라서 신앙이 계속해서 바닥을 길 것이라는 걸 주의해야 한다. 일단, 시작하자마자 드라큘을 믿지 말고 좀 기다리자. 정확히 36 신앙으로 피의 방패를 살 수 있으므로, 18마리의 몬스터를 잡기 전까지는 입교하지 말자. 드라큘의 입교 보너스는 지금까지 죽인 몬스터의 수 곱하기 2의 신앙이다. 저항이 정말 필요해질 때까지 미루고 미루다가 입교를 하고, 피의 방패를 사고 피의 십일조를 최대한 많이 찍는다. 세 번 정도 찍을 수 있다.

이후 그냥 진행하다가 신앙이 모이는 대로 피의 십일조를 사면 된다. 저주에 대비해서 팝콘을 충분히 남겨 놓는 것만 기억하면 어려울 것이 없다. 8층이나 9층쯤 가서 회복싸움이 힘들어지면 거기서 피 웅덩이를 마시며 싸워도 좋다. 회복싸움은 호라시오를 상대할 때 더 유용하기 때문. 최종적으로 피의 십일조를 7스택 정도 찍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면 호라시오는 껌이다.

4.4. 글로잉 가디언 인간 팔라딘

글로잉 가디언과 육신의 계약을 조합해서 높은 저항을 얻는 것이 포인트. 다만 글로잉 가디언은 준비해 갈 경우 획득하는 신앙이 거의 절반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준비 단계부터 선택을 해야 한다. 글로잉 가디언을 준비해 갈 수도 있고, 타워 1층이 글로잉 가디언이거나 추가 신전 준비를 해서 그게 글로잉 가디언이 나올 때까지 계속 리셋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돈은 많이 들겠지만 일단 되면 매우 강력하다.

Martyr Wraps나 Piercing Wand, BYSSEPS 등 호라시오의 저항을 뚫을 수단을 찾으면 좋지만, 팔라딘은 직업 특성상 빈로르로 갈아탈 수가 없기 때문에 저런 아이템이나 글리프를 반드시 찾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그래서 선제공격을 못 하는 걸 감안하더라도 Really Big Sword를 준비해 가는 것이 상당한 도움이 된다. 그냥 좋은 아이템이나 글리프가 나오기를 빌 것이면 평범하게 Perserverance Badge를 준비해 가도 좋다.

1층에서 팩트메이커가 나올 때까지 계속 리셋을 할 수도 있는데, 어찌됐든 팩트메이커가 보이자마자 최대한 빨리 육신의 계약을 찍어서 저항을 쌓기 시작해야 한다. 글로잉 가디언은 신앙을 많이 주고, 팔라딘은 신앙을 조금이라도 덜 소모할 수 있기 때문에 육신의 계약이 꽤 잘 굴러간다. 중독에 걸릴 때마다 소소하게 신앙을 벌 수 있다는 것도 팁. 만약 글로잉 가디언을 준비해 온 것이 아니라면 신앙이 넘쳐나서 계몽을 쓰게 된다. 다만 염주가 전혀 없을 때 계몽을 쓰는 것도 전혀 손해가 아니며, +5마나만으로 충분히 그 값을 한다.

진행 도중 글로잉 가디언이 주는 가장 중요한 권능은 정화. 중독은 HALPMEH로 없애면 된다 쳐도 겨우 8마나로 마나 번을 없앨 수 있으며, 구 블롭이나 일루전이라는 물리 저항 50%의 짜증나는 적들을 쉽게 잡을 수 있게 해 주고, 쌓여 있는 부식과 약화도 점점 없애 주는 최고의 권능. 이후 그냥 적당적당히 진행하다가 호라시오를 상대할 때 보호 권능을 쭉 몰아서 쓰면 된다. 이 권능이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기 때문에, Purist 배지를 따기 가장 좋은 빌드가 글로잉 가디언 팔라딘이다.

4.5. 빈로르

넉백이나 공격력 보너스가 극단적으로 필요한 캐릭터들이 타는 빌드. 특히 고르곤에게 아주 잘 맞으며, VT 따기보다 어렵다는 생쥐 군주로 클리어를 따기 위해서는 거의 필수적으로 이 빌드를 탄다. 빈로르를 믿고 시작하며, 1층에서 팩트메이커가 나올 때까지 리셋한다. 그 후 최대한 빠르게 40신앙을 파밍해서 돌주먹을 사고, 합의를 찍고 육신의 계약을 건 다음에 게임을 시작한다. 이 빌드를 탈 경우 WEYTWUT과 스톤 하트가 아주 좋은 글리프와 아이템이 된다는 점이 타 빌드와 가장 다른 점.

[1] n번째 타워는 (100 + 10n)% [2] Tower of Gaan-Telet에서 Purist Badge 얻기 [3] 던전 클리어. 보상은 9999골드 [4] 이들 직업은 모두 Vicious Token을 가지고 들어가서 클리어한 보고가 있다. [5] 다른 몬스터들도 나타난다. 이는 후술. [6] 타워 외부에만 출현 [7] Goblin Miner가 하나 더 드롭한다. [8] Bridge Troll이 하나 더 드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