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31:27

대만어/문법

1. 대만어/민남어의 특징2. 문장구조3. 동사
3.1. 합성동사3.2. 동사 진행형3.3. 동사+보어
4. 가능 구문5. 부정문6. 의문문
6.1. 긍정+부정 의문문6.2. 敢 + V 의문문6.3. 乎 의문문
7. 진행형8. 단어 구조
8.1. 첩어
9. 명사
9.1. 대명사9.2. 지시사9.3. 수사(數詞)9.4. 소유격
10. 부가어
10.1. 전치사

1. 대만어/민남어의 특징

대만어는 대만에서 널리 쓰이는 중국 제어의 언어로, 민남어(閩南語, Bân-lâm-gí)의 하위 일파이다.

문법에 있어서는 표준 중국어와 큰 차이가 없다고 보일 수 있으나, 미세하고 큼직하게 여러 용법에서 차이를 보여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는 언어이기도 하다.

대만어를 포함한 민남어에서는 그 사용 범위에 따라 약 다섯 개의 분류가 있으며, 각각의 방언 및 언어에서 문법적 차이점은 도드라지지 않는다. 아래는 그 분류와 하위 방언(언어)들을 정리해두었다. 이 글에서는 대만어(Taiwanese Hokkien)를 기준으로 삼았으며, 대라병음을 기준으로 발음을 표기하였다.
하위 분류 후이안 지구 장주어(漳州語)
천주어(泉州語)
샤먼어(廈門語)
대만 지구 대만어(臺灣語)
조주어(潮州語)

2. 문장구조

기본 문장구조는 SVO 어순이며, 표준중국어와 매우 비슷한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 고로 표준중국어를 먼저 구사할 수 있으면 민남어의 난이도가 뚝 떨어지는 편.
그 외 구조는 VOC, VCO가 혼동된다. 아래는 SV 어순의 문장을 적어놓은 것이다.
[민남어] | 伊 徛 起來 矣。
[분석] | 그 + 일어서다 + 나오다 + 어조사
[대라병음] | i khiā khí-lâi ah
[한국어] | 그는 일어났다.

3. 동사

3.1. 합성동사

합성동사의 경우 현대 중국어와 완전히 같다고 보아도 무방. [동사+동사] 가 이어져 하나의 동사를 만들기도 하는데, sàng lâi 送來와 같은 예시가 그러하여 送 + 來의 합성동사이다. 이 외의 기본적인 문법들은 아래 파트에서 설명한다.

3.2. 동사 진행형

영어에서 be -ing 의 형태로 나타나는 동사의 진행형을 민남어에서는 명확히 드러내어 표시한다. teh 咧 를 이용하는 것으로, 咧 + Verb(동사) 를 이용하여 현재 진행의 시제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국어로 굳이 번역하면 [~하는 중이다] 혹은 [~하고 있다] 정도.
[민남어] | 伊 咧 去
[분석] | 그 + ing + 가다
[대라병음] | i teh khì
[한국어] | 그는 가는 중이다.

이 진행형은 or 이나 and 절로써 병렬될 때에도 咧의 형태를 유지한다. 즉, [Verb and Verb] 의 형태일 경우 咧까지 병렬되어 [咧 Verb and 咧 Verb] 가 된다는 것이다. 아래는 그 예시이다.
[민남어] | 咧 䖙 抑是 咧 坐
[분석] | ing + 눕다 + 또는 + ing + 앉다
[대라병음] | teh the iā-sī teh tsē
[한국어] | 누워 있니 아니면 앉아 있니?

3.3. 동사+보어

보어는 동사의 정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동사 (+ 甲) + 보어》 혹은 《목적어 + 동사 (+ 甲) + 보어》의 패턴으로 사용된다.
[민남어] | 薰 食 牢 咧 毋 好。
[분석] | 담배 + 피다 + 매우 즐기다(보어) + 조사 + 아니다 + 좋다
[대라병음] | hun tsia̍h tiâu leh m hó
[한국어] | 담배를 밥 먹듯이 피는 것은 좋지 않다.

4. 가능 구문

가능 구문의 경우, 보통 구어체에서 can의 의미를 나타내는 ē 會 를 사용한다. 이것이 동사 앞에 붙어, 전체적으로 보면 [會 + Verb] 의 형태가 되며 [~이 가능하다] 라는 의미가 되는 것.
[민남어] | 我 會 講。
[분석] | 나 + can + 말하다
[대라병음] | guá ē kóng
[한국어] | 나는 말할 수 있다.

會 이외에도 會使 ē-sái[1], 會曉 ē-hiáu[2], 有通 ū-thong[3] 등 다양한 가능 표현이 존재한다.

파일:176822CC-F059-4278-A3F6-A55BC5A3401C.jpg 라는 글자 또한 “할 수 있다”라는 뜻이다.
[민남어] | 伊 真 파일:176822CC-F059-4278-A3F6-A55BC5A3401C.jpg 巴結 頭家。
[분석] | 그녀 + 매우 + 할 수 있다 + 아첨하다 + 사장
[대라병음] | i tsin gâu pa-kiat thâu-ke
[한국어] | 그녀는 사장에게 아첨을 잘한다.

5. 부정문

아래는 현대 중국어와 그에 대응되는 민남어 부정사의 대응표를 정리해둔 것이다. 왼쪽은 민남어, 오른쪽은 현대 중국어를 표기하였다.
존재적 부정 bô 無 buē ū 袂有 ㄇㄟˊㄧㄡˇ 沒有
일반 부정 완료상 bô 無 ㄇㄟˊ(ㄧㄡˇ) 沒(有)
보편적 m̄ 毋 buē 袂 bô 無 ㄅㄨˋ 不
의지상 m̄ 毋 bô-ài 無愛 m̄-ài 毋愛 ㄅㄨˋ 不 ㄅㄨˋㄒㄧㄤˇ 不想
미래(아직~) b(u)ē 未 ㄇㄟˊ 沒
능력 buē-hiáu 袂曉 ㄅㄨˋㄎㄜˇㄧˇ 不可以
금지 표현 일반적 금지 mài 莫 m̄-hó 毋好 m̄-thang 毋通 ㄅㄨˊㄧㄠˋ 不要 ㄅㄨˋㄋㄥˊ 不能
필요성 부재 bián-iōng 免用 m̄-bián 毋免 ㄅㄨˊㄩㄥˋ 不用

6. 의문문

6.1. 긍정+부정 의문문

동사/조동사의 부정형을 해당 동사/조동사의 바로 뒤, 혹은 문장 끝에 써 의문을 표시하는 방법.
[민남어] | 你 是 毋是 人?
[분석] | 너 + 이다 + (동사 부정형) + 사람
[대라병음]| lí sī m̄ sī lâng
[한국어] | 너 사람이니?
[민남어] | 你 會曉 講 臺語 袂?
[분석] | 너 + can + 말하다 + 대만어 + (조동사 부정형)
[대라병음]| lí ē-hiáu kóng tâi-gí buē
[한국어] | 대만어 할 줄 아세요?

6.2. 敢 + V 의문문

동사/조동사 앞에 kám 敢을 붙여 의문을 표시하는 방법.
[민남어] | 你 敢 是 人?
[분석] | 너 + 敢 + 이다 + 사람
[대라병음]| lí kám sī lâng
[한국어] | 너 사람이니?
[민남어] | 你 敢 會曉 講 臺語?
[분석] | 너 + 敢 + can + 말하다 + 대만어
[대라병음] | lí kám ē-hiáu kóng tâi-gí
[한국어] | 대만어 할 줄 아세요?
[민남어] | 敢 敢
[분석] | 敢 + 감히-하다
[대라병음] | kám kánn
[한국어] | 감히 하겠는가?

6.3. 乎 의문문

어기조사 honnh 乎를 문장 끝에 붙여 의문을 표시하는 방법. 중국어의 吧 의문문처럼 ‘확신의 어조’, ‘반문’을 나타낸다.
[민남어] | 你 是 人 乎?
[분석] | 너 + 이다 + 사람 + 乎
[대라병음]| lí sī lâng honnh
[한국어] | 너 사람이지?
[민남어] | 你 會曉 講 臺語 乎?
[분석] | 너 + can + 말하다 + 대만어 + 乎
[대라병음]| lí ē-hiáu kóng tâi-gí honnh
[한국어] | 대만어 할 수 있죠?
[민남어] | 你 今仔日 欲 去 𨑨迌 乎?
[분석] | 너 + 오늘 + ~하려 하다 + 나가다 + 놀다 + 乎
[대라병음]| lí kin-á-ji̍t beh khì tshit-thô honnh
[한국어] | 너 오늘 나가서 놀거지?

7. 진행형

동사 앞에 teh 咧 혹은 tng-teh 當咧를 붙여 진행을 표시한다.
[민남어] | 阮 當咧 釣 魚。
[분석] | 우리 + 하고 있다 + 낚다 + 물고기
[대라병음]| gún tng-teh tiò hî
[한국어] | 우리는 물고기를 낚고 있다.

8. 단어 구조

8.1. 첩어

첩어(reduplication)은 어떠한 단어를 두 번 이상 중첩하여 강조 등의 의미를 만드는 것을 일컫는다. 민남어에서는 한 단어를 3번 조합하여 강조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 예를 들어, âng 紅 [붉다] 의 경우 다음과 같이 강조의 의미를 나타낸다.
âng | 붉다
âng-âng[4] | 붉디붉다
âng-âng-âng[5] | 시뻘겋다

9. 명사

9.1. 대명사

대만어를 비롯한 민남어에서도 마찬가지로 대명사가 존재하며, 그 세분화되는 분류에 상관하지 않는다면 총 7개의 대명사가 존재한다.

한국인에게 특이한 점은 포괄적(inclusive) 인칭 개념과 개인적(독점적, exclusive) 인칭 개념이 등장한다는 것 정도인데, 언어 그대로 포괄적인 '' 개념과 개인적인 '' 개념이 존재하는 것이다.

한국어로 치면 우리, 그리고 나 와 같이 볼 수 있다. 아래에 대만어/민남어의 대명사들을 총괄해놓은 를 첨부한다.
단수 복수
개인적 1인칭 guá 我 gún(guán) 阮
포괄적 1인칭 lán 咱
2인칭 lí 你 lín 恁
3인칭 i 伊 in 怹[6]

각각의 대명사는 그 자체로 가능하나, 역시 대만어나 민남어에서는 서술조 겸 명령조로 권유( 명령)를 표시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즉, 이런 경우에서는 대명사가 생략될 수 없지만, 구어에서는 자주 생략된다.
[민남어] | 你 做伙 過來 咧
[분석] | 너 + 함께 + 들르다 + (명령형 어미)
[백화자] | lí tsò-hué kuè-lâi leh
[한국어] | (너) 함께 들러라.

이와 연관지어, 현대 한국어 '서로(with each other)' 에 포함되는 개별 어휘가 민남어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어에서 '서로' 에 대응되는 단어의 부재로 인하여 대만어 및 민남어에서는 주로 ‘sann 相’ 등의 접두사를 사용한다. 이 요소는 한국어의 그것과는 완전히 달리 접두사로 취급받으므로, 주로 동사 앞에 붙어 '서로 ~하다' 정도의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민남어] | 相 拍.
[분석] | 서로 + 치다/싸우다
[대라병음] | sann phah
[한국어] | 서로 싸워라.

9.2. 지시사

민남어에도 영어의 demonstrative this, that에 해당하는 지시사가 존재한다. 아주 많은 종류의 지시사들이 있으며, 그 지시사들이 각각의 용법에 따라 정확히 사용되는데, 여기에서는 우선 this, that에 해당하는 두 가지의 지시사부터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것) 저(것)
tsit/tse[7] hit/he 彼
이것들 / 이곳 / 이렇게[8] 저것들 / 저곳 / 저렇게[9]
tsia 遮 hia 遐

보통은 분류사(classifier)라 불리는 몇몇 단어들 등을 후행하며 지시사로써의 역할을 기능한다.
한국어의 '이' 와 '저' 와 비슷한 단어라고 생각하면 훨씬 편한데, 각각이 독립적이지 못하고 '이것은~' 그리고 '저것은~' 으로 쓰여지는 걸 생각하면 좋다. 별개로 수사(numeral) 또한 지시사 뒤에 선행할 수 있다.
[민남어] | 這个 代誌
[분석] | 이 + 일
[대라병음] | tsit-ê tāi-tsì
[한국어] | 이 일
[민남어]] | 共 遮 的 糞埽 捎 去 摒
[분석] | ~를[10] + 이곳 + 의 + 쓰레기 + 들다 + 가다 + 버리다
[대라병음] | kā tsia ê pùn-sò sa khì piànn
[한국어] | 이곳의 쓰레기를 갖고 가서 버려라
[민남어] | 彼 蕊 花
[분석] | 그 + 송이(양사) + 꽃
[대라병음] | hit luí hue
[한국어] | 그 꽃
[민남어] | 遐 是 啥貨
[분석] | 저것들 + 이다 + 무엇
[대라병음] | hia sī siánn-huē
[한국어] | 저것들은 무엇이야?
[민남어] | 遮爾仔 媠 的 人
[분석] | 이렇게 + 예쁜 + 의 + 사람
[대라병음] | tsiah-nī-á suí ê lâng
[한국어] | 이렇게 예쁜 사람

9.3. 수사(數詞)

수사의 종류도 다양하며,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왼쪽의 란에는 구어(口語), 오른쪽의 란에는 문어(文語)를 표기한 것이다. 발음 오른쪽에 각 수사의 한자 표기를 병행해놓았다.
구어 문어
0 khang 空 khong 空
1 it 一
tsi̍t 一
2 [11]
nn̄g 兩 lióng 兩
3 sann 三 sam 三
4 sì 四 sù 四
5 gōo 五 ngóo 五
6 la̍k 六 lio̍k 六
7 tshit 七
8 p(u)eh 八 pat 八
9 káu 九 kiú 九
10 tsa̍p 十 si̍p 十

한국어, 한문과 같이 이십일, 이십이 등으로 수를 센다. 이를 한자로 나타내면 二十一, 二十二 가 된다. numeral=numeral=numeral 의 형식을 이용하여 무한히 수사를 만들어낼 수 있다. 아래는 10 이상의 수사 단위들을 모아둔 것이다.
더 큰 수사들
pah 百 tshing 千 bān 萬 ik 億

9.4. 소유격

소유격의 경우, 아주 간단하게 [명사와 명사] 혹은 [대명사와 명사] 를 합성시키면 된다. 표준 중국어에서 的을 이용하는 것과 대조되는 것이다.
[민남어] | 伊 頭殼
[분석] | 그 + 머리
[백화자] | i thâu-khak
[한국어] | 그의 머리
[민남어] | 我 目鏡
[분석] | 나 + 안경
[백화자] | guá ba̍k-kiànn
[한국어] | 나의 안경

표준 중국어의 的과 대응되는 단어 또한 존재하는데, 소유격 표지 ê (ㄟ)로 한국어의 [의], 일본어의 [の] 를 나타내어준다. 이를 이용하면 훨씬 확실한 느낌을 내어줄 수 있지만, 보통 이 표지는 일반 명사(common noun) 내지 신체 표현 명사(body noun)에서만 사용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민남어] | 伊 ㄟ 頭殼
[분석] | 그 + 의 + 머리
[백화자] | i ê thâu-khak
[한국어] | 그의 머리

또한 의미상으로 '가지다' [have] 를 나타내는 ū 有 를 이용하면 의미론적 소유문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 경우 [명사 + 有 + 명사] 의 형태로 이용되며, 명사 자리에는 역시 대명사 등이 들어올 수 있다.
[민남어] | 伊 有 頭殼
[분석] | 그 + 가지다 + 머리
[백화자] | i ū thâu-khak
[한국어] | 그는 머리를 가졌다.

10. 부가어

10.1. 전치사

아래는 민남어의 전치사와 그 활용들을 정리해두었다.

● teh 咧
at, 그리고 목적지를 나타내는 to 의 의미로 쓰이며, 전에 설명한 ing 기능 말고도 전치사로써 기능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 tī 佇
특이하게 be at(~에 있다) 의 뜻을 나타내주는 동사이다. 문법적으로도 명백한 동사이지만 여기에서는 그 의미를 파악해 전치사 파트에 넣기로 한다.
[Subject + 佇 + Noun] 의 형태로 쓰여 [Subject가 Noun에 있다] 라는 뜻을 지니게 만든다.

● tiàm 踮
佇와 동일한 뜻

[1] 표준어의 可以와 같은 용도. [2] ~할 줄 알다 [3] 방법 등이 사용 가능할 때 사용 [4] 성조 변화시 āng-âng [5] 성조 변화시 äng-āng-âng [6] 중화민국 교육부는 亻因을 표준으로 삼고 있으나, 유니코드에 없는 글자이다. [7] 홀로 쓰일 때는 tse, 다른 글자 앞에 붙어 쓰일 때는 tsit으로 읽는다. [8] 이때는 tsiah라고 읽는다. [9] 이때는 hiah라고 읽는다. [10] 중국어의 把/將 구문과 같은 문법이다. [11] J성모는 L 성모로 바뀔 수 있기에, lī로도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