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0:47:57

대리석

대리암에서 넘어옴
대리암() marble

1. 개요2. 어원3. 구조4. 활용
4.1. 유명한 대리석과 그 산지들
5. 기타

1. 개요

대리석은 재결정(再結晶)된 탄산염 광물로 이루어진 변성암이다. 주로 조각상의 재료나 건축 자재로 쓰인다. 지질학적으로 대리암(大理)이지만 대리석(大理)으로 칭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2. 어원

이름이 대리석인 이유는 바이족의 나라 대리국(현 중국 윈난성 다리시)의 특산품이었기 때문이다.

광물이 아니라 암석이기 때문에 대리암이 맞지만, 관습적인 이유로 대중 및 건축, 석재업계에서는 대리석이라고 부른다. 건축 및 장식에서 오랫동안 쓰인 관습적 명칭은 지질학적 명칭과 상충될 때가 많다. 석회석으로 잘못 불리는 석회암도 마찬가지.[1]

한국엔 인테리어로 쓰이는 화강암을 대리석이라 부르는 관습이 있다. 돌에 점이 많다 싶으면 십중팔구는 화강암이다.

영어로는 마블(Marble)이라고 하는데 이는 '빛나는 돌'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마르마로스(Marmaros)에서 유래했다.

3. 구조

대리석은 탄산염 성분의 퇴적암, 특히 석회석이나 백운석이 높은 압력을 받아 변성된 것이다. 변성을 거치면서 탄산염 광물의 재결정화가 일어나는데, 그 결과 대리석의 탄산염 결정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암석 구조가 생성된다. 변성 과정을 거치면서 탄산염 원석이 가졌던 최초의 퇴적 구조는 변형되거나 사라져서 찾아볼 수 없게 된다.

보통 뭉뚱그려 대리석이라고 하지만, 색이나 질감, 무늬는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흰색, 회색, 검은색(단, 검은 대리석은 점판암의 일종인 오석을 혼동한 경우도 있으니 주의. 같은 변성암이긴 하지만, 강도나 내구 부분에서 정 반대로 굉장히 튼튼하다.), 자주색 등의 여러 색이 있다. 각종 대리석의 색에 따라 생성 원인이나 원래의 암석이 각기 다르다. 흰색으로만 이루어진 대리석은 순도 높은 석회석이나 백운석이 변성된 것이다. 색조가 있는 대리석의 무늬는 진흙이나 실트, 모래, 산화물 등의 각종 광물이 불순물로 끼어서 생긴다.

파란색 대리석은 더 이상 자연적으로 채취할 수 없다. 바티칸 시티 내부 바닥에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4. 활용

EBS 극한직업 - 대리석 광산

대리석, 특히 흰색의 순수한 대리석은 그리스 로마 시대로부터 조각물의 재료로 가장 선호되어 왔다. 돌치고는 부드러운 편이고 균일한 방향성을 가지며, 재료의 균질성이 높고 깨지는 경향이 덜하기 때문에 섬세하게 조각하기 쉽기 때문이다.[2] 그리고 대리석의 주 성분 중 하나인 방해석이 약간은 왁스 같은 질감을 주기 때문에, 대리석으로 만든 조각물은 좀 더 생기를 띠게 된다.

하지만 산성비 때문에 실외에 노출되어 있는 대리석 제품들이 조금씩 부식되고 있다고 한다. 산에 취약한 석회질이 주성분인 대리석인 이상 상당히 골치아픈 문제. 굳이 산성비가 아니더라도, 비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용해시켜서 탄산을 지닌다. 즉 약산성이다.

건축 재료로도 쓰인다. 다만 건축이나 특히 규격 치수의 석재 업계에서는 대리석을 넓은 의미로 써서, 광택을 낼 수 있는 석회암은 무엇이든 대리석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백운석이나 사문석도 경우에 따라 대리석이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건축업에서 대리석이라 하는 것이 정확히는 대리암이 아닐 수 있다. 하여간 건축용 대리석 중 규격 치수로 팔리는 것의 가장 큰 용도는 대형 타일이다. 건물 안쪽의 벽이나 특히 바닥에 대리석 판을 붙인 것이 그 경우다. 광택 연마가공을 한 화강암조차도 대리석이라 불리며 계단 같은 곳에 쓰이고 있다. 진짜 대리석 대신 인조 대리석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대리석은 비싼데다 장마가 존재하는 한국 기후와도 안맞으니까 가루를 내서 다른 광물과 함께 시멘트나 합성 수지로 굳혀 인조 대리석을 만들어 쓰는 것이다. 대리석 가루는 ' 테라초(terrazzo)'라는 복합재료의 한 성분으로도 쓰인다.

대리석이 풍부한 유럽에서는 욕실을 대리석으로 만드는 일이 많고, 심지어는 보도블럭도 대리석으로 만드는 경우도 많다. 이러하다보니 조금만 물기가 생겨도 엄청 미끄러워져서 특히 아시아 여행객들중 욕실이나 길에서 미끄러져서 다치는 일이 의외로 많이 일어난다. 한번도 서양에 나가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사실이겠지만, 기본적으로 서양 욕실은 기본적으로 바닥에 배수구가 없고 욕조 내에서만 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룰이라 그런 것인데,[3] 이런 것을 알리가 없는 아시아인들은 아무 생각없이 대리석 바닥에 물을 흘려놓고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것.

상위 4개국이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탈리아가 세계 1위의 대리석 생산국으로 세계 생산량의 20%를 차지하고, 그 다음은 중국 16%, 인도 10%, 스페인 6% 순이다. 이탈리아에서 생산되는 대리석 중에서 카라라에서 캐낸 대리석을 고대 로마 때부터 오늘날까지 최상품으로 친다.

4.1. 유명한 대리석과 그 산지들

5. 기타

동물용 쿨메트로 쓰일 때도 있다. 만지면 시원하기 때문에 체온이 사람보다 높은 개, 고양이들이 여름에 배깔고 누워있는 걸 좋아한다.

대리석은 돌이 원재료이기 때문에 여름에 시원하다는 장점이 있다. 바닥에서 올라오는 냉기가 집안을 시원하게 만들어준다. 또한 열전도율도 우수해 난방을 하면 집안이 빠르게 따뜻해지고, 식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온돌과 비슷한 역할을 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


[1] 말하자면 '석회암 석재'가 석회석이란 이름으로 굳어졌다고 보면 된다. [2] 반면 한반도 화강암은 조각하기 상당히 어려운 암석이다. 고대 그리스 조각상과 한국의 고대 불상들의 품질의 차이나 남아있는 개수 차이도 이런 이유 때문이고, 석굴암이 유명한 것도 화강암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3] 서양의 욕실에서 필수 아이템인 샤워커튼이나, 서양의 규격을 따르는 고급 호텔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욕실타월 같은 요소들이 욕실의 바닥에 물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들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