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8-09-28 09:26:33

니드 포 스피드: 페이백/탄광



통합탄광에 대한 대략적인 파악을 할 수 있는 영상. 어려움 난이도이다.

1. 개요2. 통합탄광과 파츠탄광의 간단한 차이3. 통합탄광에 알아두면 좋은것4. 통합탄광
4.1. 통합탄광에 걸리는 내기4.2. 통합탄광 사용법
5. 파츠탄광
5.1. 레이스5.2. 오프로드5.3. 드리프트5.4. 드래그5.5. 아쉽게도 러너는...

1. 개요

본작의 자금과 자산을 필요한 만큼 확보할 수 있는 그나마 가장 확실한 수단. 쌩 딜러쉽과 튜닝샵으로만 충족하려고 하면 나가는 돈이 꽤 만만찮기 때문에 퀘스트라인 진행 도중 자연스럽게 곁들이게 된다. 공통 준비물은 충분한 시간이고 통합탄광 준비물은 난이도를 쉬움으로 변경하는 것[1]과 너무 높은 매치메이킹을 피하기 위해 탄광용 차량을 따로 준비해 놓는게 좋다.

2. 통합탄광과 파츠탄광의 간단한 차이

통합탄광은 돈을 많이 벌고, 파츠탄광은 파츠를 공짜로 벌 수 있다. 시간 대비 수익량은 통합탄광이 더 높다.

3. 통합탄광에 알아두면 좋은것

통합탄광은 페이백의 월드맵 중에 가장 짧은 거리와 가장 단순한 코너에 가장 자비로운 목표점수와 가장 적은 시간이 드는 코스이다.
통합탄광 미션을 계속 진행하다 보면 기본 보상이 14,699원으로 오른다! 따라서 기본 수익의 효율성을 좀 더 높이려면 기본적인 시간도 줄이는게 더 도움이 되는 편이다. 이게 난이도를 쉬움으로 바꾸는 이유. 페달링으로 최소기어를 찾다보면 모든 코너의 최소기어가 3~4로 나올텐데, 이 단순한 코너를 시속 120 안팎의 속도로 카운터스티어링한다면 대략 2초당 코너 하나라는 무식한 결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4. 통합탄광

도심지역과 초록색 드리프트 아이콘과 바로 밑의 작당/접선지 아이콘과 Drifting the block이라는 글자를 확인하자.

4.1. 통합탄광에 걸리는 내기

대체로 세개의 조건이 번갈아가며 등장한다.

4.2. 통합탄광 사용법

5. 파츠탄광

정확한 파츠를 맞추어야 하는 수고로움도 없고 마음에 안들면 팔 수 있기까지 하다. 노 리미트와 달리 파츠 수급 자체는 매우 착해졌다...고 볼 수 있겠다만 콘솔로서는 여전히 실격점. 아직까지는 모든 아이콘이 표시된 맵의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이벤트의 이름을 표기한다. 해당 이벤트를 포괄하는 큰 지역은 크게 도심(동남쪽), 녹림(서쪽), 산지(북동쪽) 크게 세 종류로 구분한다. 레이스와 오프로드는 자신에게 맞는 서킷형 코스를 탄광으로 쓰면 된다.
..어째선지 드리프트와 드래그(드씨) 탄광은 아무리 찾아봐도 한군데밖에 안나온다?!

5.1. 레이스

5.2. 오프로드

5.3. 드리프트

5.4. 드래그

5.5. 아쉽게도 러너는...

도심에서 시작하여 외곽으로 멀어진다는 것과 한판 당의 피로도로는 노가다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특성상 탄광을 정한다는게 상당히 무의미한 일이다.[3]통합탄광을 더 많이 해서 돈을 더 많이 벌어보자..
[1] 정 어려움으로 하고싶으면 기어를 수동으로 놓고 2와 3 사이만 왔다갔다 시키면 된다. 인코너보다 아웃코너를 구사해야 하며, 기어가 수동이어도 페달링 테크닉은 유효하니 유념할 것.빠른 기록 내기는 거절하기를 권장한다 [2] 일반적으로 드리프트 모드는 차선을 위반한 드리프트의 점수 획득을 인정하지 않지만, 내기 드리프트는 상관없이 인정된다. [3] 작당으로 해도 접선지 하나당 약 2분 정도가 소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