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0-01-23 20:24:02

나인서클류/맵 목록


파일:NINCRCLwav.png
나인써클류 맵의 시초가 된 Nine Circles 웨이브 구간.

1. 개요2. 데몬이 아닌 맵3. 데몬인 맵
3.1. Hyper Paracosm(Hacked)
3.1.1. 구간
3.2. Arctic Lights
3.2.1. 구간

1. 개요

나인서클 디자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맵
이 맵들의 디자인의 시초는 Nine Circles이다.
나써류 맵들은 Auto 1☆부터 무려 Sonic Wave(과거 1위 익스트림 데몬)까지 있다.
문서 폭주를 막기 위해 별이 붙거나 유저들 사이에서 유명한 맵만 나열한다.

2. 데몬이 아닌 맵

원래 1초당 1000번 연타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최근 어느 지메인의 계산결과, 초당 33번이면 충분하다고 한다. 10월 2일 Temporum이 Freaklin에게 베리파이되기도 전에 클리어하였다. # 다만 그에 의하면 Sonic Wave보다는 쉽다고 한다.
결국 11월 3일에 Freaklin이 Verify하였다. 이 맵의 존재로 별이 아직 붙지는 않았지만 Bausha Vortex를 밀고 형식상 2위를 차지하고있다.
수많은 MLG 드립들이 들어간 나인써클류 맵이자 예능맵. 노래는 저작권 위반으로 아쉽게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브금
레이팅을 받기 힘든 맵이지만 오토맵(1☆)로 레이팅이 되었다(!) 롭트롤

3. 데몬인 맵

하지만 포탈이 많아서 올라가다가 뒤집히고, 뒤집힌다. 중력적응과 암기가 꽤 필요한맵.
여담으로 프로듀스 101 시즌 2 주제곡 나야 나에 맵이 꼭 맞는다[15]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Nine Circles 문서의 r273 판, 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3.1. Hyper Paracosm(Hacked)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Demon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789123 42117203 1분 11초 41541 2018.02.10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14.06
데몬리스트 점수(52%) (공식포럼) 28.5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73.066
Hyper Paracosm by TheRealSneaky and iIiViRuZiIi, verified by Dr. Joe, published by EndLevel
Verified by Dr. Joe, Video on his YouTube Channel!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2% 이상이 필요합니다.
1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9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7%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Combined 100% Youtube
Skullo 100% Youtube
JakeM2436 100% Youtube
Atomic 100% Youtube
XyIOL 100% Youtube
RG 100% Youtube
Technical 100% Youtube
nSwish 100% Youtube
iNeo 100% Youtube
Latent[?] 100% Youtube
Sunix 94% Youtube
IcEDCave OG 90% Youtube
benji8080 80% Youtube
Kapinapi 55% Youtube
}}}}}}||

ViruZ가 옛날에 대부분을 디자인 했지만 버려졌으나, 후반을 TheRealSneaky가 완성한 합작으로, Bausha Vortex의 느낌이 나는 나인써클류이다. 가는 길 벽면에 가시가 박혀있어 실제로 보이는 길보다 더 좁다.

난이도는 Sonic Wave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보통이다[21][22]. 어둡고 좁은 가시길을 지나야 하는, 변칙적 웨이브 구간은 말할 것도 없고, 초반 난이도와 후반의 비행기 난이도, 극후반의 칼타이밍 난이도까지 어디 하나 방심할 수 없는 맵이다.

Sunix가 베리파이를 맡았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스트리밍에서 36%, 38~85%를 갔었다.

2018년 2월 9일 EndLevel이 베리파이했다. 원래는 그냥 재미용으로 클리어만 했으나, TheRealSneaky가 업로드를 허락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Sunix가 Endlevel의 버전을 깰때 94%를 먹었는데 이 94%가 마지막 검은공점 부분에서 누르고 떨어질때 1도트로 블럭에 걸쳐서 벽에 걸려서 죽었다! 그러나 지금은 클리어했다.
또한, 무명 한국인 유저인 Audiam (구 Latent)가 37~100%를 갔다. https://youtu.be/D9dWBIgnZSk 이정도면 왜 무명인지 신기할 정도

2019년 7월 25일에 레이팅되었다. 예상되로 Sonic Wave와 Arctic Lights보다는 더 낮은 순위인 13위에 자리잡았다.

8월 24일 15위에서 13위로 오르면서 Sonic Wave보다 순위가 더 오르게 되었다. Teahnical49가 이 맵을 깬 뒤에 높은 평가를 주었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9월 29일날 Audiam이[23] 11542 어템을 들여
한국 최초로 클리어 했다!! https://youtu.be/oK_UHXrNLgk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Demon 문서의 r2621 판, 2.1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3.1.1. 구간

* 스테이지를 구간별로 나누어 서술합니다.
1구간
0~16%
2구간
17~63%
3구간
63~100%

3.2. Arctic Lights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Demon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2919433 59초 44594 2019.02.1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30.80
데몬리스트 점수(50%) (공식포럼) 32.70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84.328
Arctic Lights by EndLevel and iIiViRuZiIi, verified and published by Metalface221
The hardest circles level, created by ViRuZ and Endlevel.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0% 이상이 필요합니다.
7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38%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ullsy 100% Youtube
Dr. Joe 100% Youtube
nSwish 100% Youtube
SkyJax 100% Youtube
BlakeJM 90% Youtube
rWooshi 70% Youtube
Kay 68% Youtube
VoTcHi[?] 44% Youtube
}}}}}} ||

Viruz와 TheRealSneaky가 만든, Hyper Paracosm의 후속작이자 Sonic Wave보다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 나써류 맵이다.

Endlevel이 맵의 반을 제작했으며 얼마 안 가 베리파이했지만 ToshDeluxe가 핵 의심 영상을 올려 정식 베리파이로 인정되지 않았고, 결국 Endlevel은 이 맵의 베리파이, 그리고 이전의 수많은 익스트림 데몬을 클리어하는데 핵을 사용한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Metalface221이 새로운 베리파이어가 되었으며 57%까지 갔다. 그에 따르면 Top3 안에도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난이도라 한다. 그 후 7월 29일 84%를 갔다. 후반부 일자비행에서 걸려 죽은 것, 그후 상당히 빡쳤는지 Fuck!! 이라고 크게 소리쳤다....[25]

그 이후 2019년 1월 24일 89%를 간 영상을 올리며 아직 이 맵을 파고 있다는걸 증명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고 2019년 2월 15일, 드디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26]8달 동안이나 걸린 베리파이를 증명하듯 Metalface 자신도 이 맵이 가장 어려운 나써맵이 될것이라 당당히 말했다.[27] 본인 말로는 이제는 자신이 드디어 자유로워졌으니 다른 작업을 할수 있다고 했다.
이후 2019년 6월 18일 레이팅 되었다.

기존 Endlevel이 올린 맵에서 엔딩아트가 새로이 추가되었는데, Arctic Lights가 북극성(혹은 북극광)을 의미하는것을 이용해 북극의 느낌을 잘 살린 엔딩아트를 만들어냈다.

사용된 노래는 Nightkilla의 Untitled Beat.

한국유저 VoTcHi가 44%를,
또다른 한국유저 Rainstorm은 58~100%을 달성했다.
무명 한국유저 Latent도 58~100%를 달성했다. https://youtu.be/648UZlE_KOE

2019년 12월 16일 무명 한국유저 audiam[28] 13203 어템을 쓰고 드디어 한국 최초로 100%를 달성했다!
참고로 썸넬이랑 제목은 낚시다(...)

6월 18일 마침내 익데로 레이팅 되고 7월 5일에 6위에 배치되면서 마침내 Sonic Wave를 나써맵 1위에서 끌어내는 것과 동시에 top 10에서 퇴출되게 만들었다! Sonic Wave가 별이 붙은지 무려 약 3년이 지나서의 일이다.

여담으로 LDM을 키지 않으면 최후반부에 엔딩아트가 나타나지 않고 대신에 Lenny face[29]만 덩그러니 남겨진다. 보통은 엔딩아트 정도는 무슨 경우에든 나타나게 하거나 LDM을 켰을 때 엔딩아트가 나타나지 않게 하는데 이 맵은 왜 반대인지 의문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Demon 문서의 r2622 판, 2.7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3.2.1. 구간


[1] 파일:사일런트서클.png 참고로 소형 웨이브 상태이고, 위아래로 있는 가시의 간격은 Bloodbath 의 중반 비행 [2] 0.0303030303초에 한번 클릭은 [3] Cyrillic의 계정에 둘 다 올라와 있으며, 오토가 아닌 것은 별이 없는 인세인이다. [4] 오토가 아닌 맵은 오토로만 가능한 맵이 아니라, 오토 버전의 하향 버전인 클리어 가능한 버전이다 [5] 정확히는 7칸. [6] 길이가 Long인 맵들이 맵 정보이 Tiny로 표시되는 것. 그리고 별도 박탈당한다. 맵팩 데몬 중 하나인 Buck Force도 당했으나 지금은 고쳐졌다. [7] 그의 대표작으로는 그 유명한 Bausha Vortex가 있다. [8] 포럼에도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이 있을 정도이니 말 다했다. [9] 나써류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할 정도로 상당한 난이도를 지닌 맵이다. [10] 대충 Down bass 정도라 생각하면 된다. [11] Sonic Wave, Bausha Vortex, Down Bass, Future Circles, Crimson Clutter [12] 이 유저가 Conical Depression, Phobos 를 Verify 한 그 Krazyman50 가 맞다 (.....) [13]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아이콘이 정말 안 보인다 배경에 흰색 실선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볼 수 있다. 그래도 웨이브 구간은 정말... [14] 후에 실선을 없애는 모드도 생겼는데, 이 모드를 키면 검은색은 아예 보이지 않는다. [15] 훅이 시작될때쯤 맵이 끝난다. [16] 옛날에는 최고봉이였으나 지금은 Arctic Lights와 Hyper Paracosm의 등장으로 나써류 최고봉의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다. [17] 총 5개의 단어가 나오는데, 그중 4번째가 陰茎이다(...) [18] 다만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는 편, 특히 나써 파트의 색감이 갈리는 편이다. [19] 나써 경사면 블럭을 보이지 않게 하여 배경색이 보이도록 하고, 플레이어가 지나가는 길은 배경을 가리는 정말 참신한 생각을 담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백문이불여일견,백견이불여일문 직접 확인하자. [?] 한국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으나 공식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음. 한국포럼과 공식포럼의 등재 기준이 다르거나 fps bypass의 사용 혹은 한국포럼에만 등재되어 있는 기록이기 때문이다. fps bypass를 사용한 기록은 한국포럼에서는 인정되나, 공식포럼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21] ThatJ4ke는 게임플레이 자체는 소웨보다 어렵지만 길이 때문에 소웨랑 비등하다고 평가하였고, Endlevel은 소웨보다 어렵다는 평가를 내렸다. [22] 현재 Unrated Demon List에서는 Sonic Wave를 Hyper Paracosm 이상으로 평가하고 있다. 유저들 사이에서의 평가는 보통 Arctic Lights, Sonic Wave, Hyper Paracosm의 순서가 나써류 맵의 순위인 모양. [23] Latent와 동일 인물 [?] 한국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으나 공식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음. 한국포럼과 공식포럼의 등재 기준이 다르거나 fps bypass의 사용 혹은 한국포럼에만 등재되어 있는 기록이기 때문이다. fps bypass를 사용한 기록은 한국포럼에서는 인정되나, 공식포럼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25] 영상 코멘트도 hhhhhhhhhhhhhhhhhhhh이다. 실성한 듯... [26] 리액션만으로 Knobbelboy를 압도한다. 한 번 들어보자. [27] 예전 베리파이어였으나 핵 논란으로 인해 잠시 잠적한 Endlevel은 블러보다 어렵다고 했으나, Wooshi가 답글로 이 맵은 블러보다 어렵지는 않을거라고 답했다. 그러나 Arctic Lights를 직접 판 이후로는 블러보다 살짝 어렵다고 하였다. [28] 전 Latent [29] ( ͡° ͜ʖ ͡°) 이 얼굴 표정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