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6 18:33:08

국제경영론

국제경영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국제학
, 경영학
,
,
,
,

국제학
International Studie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국제경제학 국제무역론 · 국제금융론
<colbgcolor=#4b92db> 국제정치학 국제정치이론 · 국제안보학 · 국제관계 · 외교정책 · 국제정치이론 · 지역연구
국제경영학 기업의 국제화 · 국제경영이론 · 국제경영환경 · 현지경영 관리/전략
국제법 국제법의 형성과 이론 · 국제법의 법전 · 국제법의 연원
국제개발협력 국제개발( 공적개발원조 개발경제학· 프로젝트 관리 및 평가 }}}}}}}}}

경영학의 세부전공
회계 재무 인사 / 조직 생산 / 서비스 관리
마케팅 정보시스템 전략 / 국제경영 기타 분야

1. 개요2. 기업의 국제화
2.1. 진입 시장 선택2.2. 진입 방법 선택
3. 국제경영이론4. 국제경영환경
4.1. 제도 기반 관점
4.1.1. 법4.1.2. 문화
4.2. 정치적 위험
5. 현지경영 관리/전략, 글로벌 관리/전략6. 기타

1. 개요

국제경영학(International Business / Global Management)은 기업의 해외진출시의 국제사업, 현지 경영전략 및 관리, 본사의 글로벌 관리에 대한 노하우를 연구하는 경영학의 한 분야이다.

보통 이 과목은 4학년을 대상으로 개설되는데, 4학년 과목인 이유는 세계 시장에서 기업이 주어진 환경에 어떻게 경영을 하였는지 배우는 과목이기 때문에 다양한 경영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 다른 과목에 비해 부담스러운 면이 있기 때문에 고려대학교에서는 경영전략 과목과 함께 계절학기에 인기가 많은 과목이다. 고려대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기준으로는 3학년 2학기에 개설되고 있다.

학부 4학년에서 이 과목을 수강한 다음에 추천하는 과목은 대학원 전략경영/국제경영론이다.

전략/국제경영 분야의 '전략경영, 국제경영론'은 둘 다 4학년급 과목이다.

그러나 비수도권 대학 중에서 계명대학교 경영학부에서는 '글로벌경영'이라는 이름으로 이 분야의 과목을 2학년 1학기 전공필수로 지정해 놓았으며, '전략경영론' 과목 또한 3학년 2학기 전공 과목으로 지정해 놓았다.

2. 기업의 국제화

다국적 기업은 글로벌화와 현지화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글로벌화를 통해 보편재에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보편재(Universal needs)는 소비자 수요가 국가에 상관없이 동일한 경우를 말한다. 철강, 공업용 전자기기, 대용량 화학 원료 등은 국가에 상관없다. 규모의 경제를 이용해 연구와 생산에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요즘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해외 직구 등이 가능하고, FTA 등으로 무역장벽이 붕괴하면서 글로벌화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지화 역시 매우 중요하다. 국가별 맞춤전략을 수립하면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맞춤전략이 중요한 국가에서 그냥 글로벌 스탠다드대로 하다가는 짐싸고 집에 가야 한다. 월마트가 한국에 진출하려다 이마트에 발리고 도망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국가별로 소비자 취향과 선호, 인프라, 기업 관행, 유통 채널 등이 차이를 보이기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글로벌 전략을 고민할 때는 다음을 고민해야 한다.

2.1. 진입 시장 선택

예를 들어, 세계 최고 수준의 투자를 해놓은 호텔을 짓는데 그 호텔이 교통이 불편한 후진국에 지어져 있다면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파산하기 십상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클러스터, 지역경제, 국가경제, 세계경제의 관점에서 경쟁력 결정요소를 알아야 한다.

2.2. 진입 방법 선택

경영전략을 세울 때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요인과 외부 환경요인을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3. 국제경영이론

해외시장 진출 방법에는 다음이 있다. 처음부터 FDI부터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간접수출 → 직접수출 → 라이센스, 프랜차이즈 → 생산계약 → FDI 하는 식으로 점진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경우가 많다.

4. 국제경영환경

국제경영환경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크게 산업조직론(I/O) 관점, 자원 기반 관점, 제도 기반 관점 3가지가 있다.

통상, 금융, 국가투자

4.1. 제도 기반 관점

거래비용의 주요 원천은 기회주의다. 이 불확실성을 제도가 감소시켜준다. 수용 가능한 행동의 범위를 정해 놓음으로써 행동에 대해 사전 규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공적 제도에는 법률, 규정, 규칙 등 공권력이 있고, 비공식적 제도에는 규범, 문화, 윤리 등이 있다. 공적/비공식적 제도가 결합하여 기업의 행동을 규제한다. 기업과 경영자들은 공식, 비공식 제약 내에서 합리적으로 이익을 추구하고 선택을 한다. 따라서 선진국 기업들이 자기 나라에서 매우 클린-한 행동을 한다고 해서 부러워할 필요가 없다. 그들도 공식적 제도가 다른 우리나라에 오면 마음대로 이기적인 행동을 저지르기 때문이다.

공식 제약이 불명확하거나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비공식적 제약이 경영자와 기업들에게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데 더 큰 역할을 한다.

4.1.1.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1. 경쟁의 법칙: 기업 간의 결탁 내지 단합,구매자에 대한 차별화, 촉진 방법, 차등 가격, 시장의 분할과 특약 판매 등
2. 소매 가격 규제
3. 계약의 해약
4. 품질, 규격, 안전
5. 포장
6. 보증 및 애프터 서비스(A/S)
7. 가격 통제, 이익 폭의 통제
8. 지적재산권 (특허, 상품 및 저작권)

4.1.2. 문화

문화를 정의하면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학습되는 행위의 총체, 사회 구성원의 가치관/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규범/믿음이라 할 수 있다. 언어, 종교, 가치체계, 사회 제도, 관습, 예술, 미학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다.

국제경영에 있어 한국의 문화가 자기에게 익숙하다고 하여 타국에 가서 한국의 문화가 옳다, 우월하다면서 강요하는 편협한 가치관을 가져서는 안 된다. 이를 자기준거기준 [6]이라 한다. 문화는 천성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생활을 통해 반복적으로 습득된 것일 뿐이다.

문화를 분석하는 모형에는 크게 Hall, Hofstede, Cluster approach의 3가지 모형이 있다.
종교의 경우, 신앙심이 높은 국가에서는 회계 부정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8]

4.2. 정치적 위험

예측이 어렵다.

규모에 따라 거시/미시 나눌 수 있다.
평가와 분석은 질적, 계량적, 통합적 분석이 가능하다.
가급적 투자 전에 분석을 통해 회피하는 게 좋다. 그 외에 투자 전에 취할 수 있는 전략은 보험, 협상[9] 등이 있다.

투자 후에 쓸 수 있는 방법으로는 현지인/외국 금융기관의 주주를 참여시키는 것, 현지 자회사의 공급처를 다변화시키는 것이 있다. 그리고 안 되겠다 싶으면 핵심기술이나 R&D를 현지 이전시켜서는 절대 안 되고, 가급적 단기 이익 극대화 후 철수해야 한다.

5. 현지경영 관리/전략, 글로벌 관리/전략

해외법인 설립시 현지 마케팅, 현지 생산관리( 구매 포함), 현지 조직관리 (노무, 글로벌 조직관리 통제 포함) 등에 대해 알아야 한다.

6. 기타

당연하지만 국제협상 등에 대해서도 알아두어야 한다.

무역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국제 통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차이가 있다. 다만 국제경영론을 다루는 학과는 대부분 무역학과인 경우가 많다.


[1] 연구소 역시 중요하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취향이 글로벌 스탠다드와 큰 차이가 있는 국가가 있다면 그 국가에 연구소를 배치해 그 국가 소비자에 딱 맞는 제품을 생산할 필요가 있다. [2] 미국, 일본 등 [3] 무역회사. trading company [4] export agent [5] 생산업자의 브랜드, 특허, 영업권 [6] self reference criterion [7] low context. 저배경이라고도 함 [8] McGuire, Omer and Sharp, 2012 [9] 해외 진출 이전에 현지국 정부와 협정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