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0:59:16

구슬꽃나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중대가리나무 리다이렉트 존치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중대가리나무 리다이렉트 존치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구슬꽃나무(중대가리나무)
Adina
학명 Adina rubella
Hance
분류
식물계
분류군 속씨식물군(Angiosperms)
진정 쌍떡잎식물군(Eudicots)
국화군(Asterids)
용담목(Gentianales)
꼭두서니과(Rubiaceae)
아과 기나나무아과(Cinchonoideae)
나우클레아족(Naucleeae)
구슬꽃나무속(Adina)
구슬꽃나무(A. rubella)
1. 개요2. 식생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제주도에 자생하는 낙엽수로, 중대가리나무나 머리꽃나무로도 불린다. 햇볕이 잘 드는 계곡가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높이는 3m까지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편이다. 은 마주나며 길이는 4cm 정도의 계랸형 모양이다. 잎은 털이 있으며 광택이 나는 편이다. 은 여름에 개화하며 백색의 양성화가 핀다. 꽃이 구슬 모양과 닮아서 구슬꽃나무라고 이름이 지어졌다. 열매는 장타원형 모양이며 늦가을에 열리는데 열매가 스님들의 삭발한 머리를 닮았다하여 중대가리나무라고 불리기도 한다. 열매는 중풍에 좋다고 하여 한약재로 쓰인다.

2. 식생

구슬꽃나무는 양쯔강 이남의 중국 동남부 저해발지역과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주로 분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절대감시 1급 국가 식생자원이면서도 한속 한종만이 서식하는 중요한 식물이지만 구슬꽃나무의 주요 서식지인 하천 주변이 하천 정비 사업으로 개발됨에 따라 현존 면적과 잠재적 서식 공간이 크게 위협받고있는 실정이다.[1]

양지바른 계곡주변 등지에서 자생한다. 습한곳을 좋아하고 추위에 약한 특성상 제주도 내에서도 기후환경이 가장 온난하고 습윤한 서귀포시에 특히 집중적으로 분포해있다. 높이는 3~4m 정도로 자란다, 잎이 피침형으로 표면에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두상화로 7~8월에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며, 잎자루에 털이 있다. 열매는 장타원형의 삭과로 10월에 성숙한다.[2][3]

3. 관련 문서


[1] 최병기, 류태복 and 김종원. (2015). 제주도 하천의 중대가리나무 식생. 생태와 환경, 48(1), 68-76. [2] 【류시균 자연이야기】 까까중, 중대가리 나무라고? 피뢰침 모양 구술꽃나무 [3] 최병기, 류태복 and 김종원. (2015). 제주도 하천의 중대가리나무 식생. 생태와 환경, 48(1), 68-76.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