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4:28:02

광목

1. 개요2. 설명

1. 개요



날실과 씨실을 무명실로 짠 무명천의 일종. 베틀로 짠 조선 전통의 무명천과 구별하여 개화기 이후 들어온 일본식 기계방직 무명천을 주로 일컫는 말이다.

2. 설명

흡습성과 보온성이 있고 튼튼하여 가격이 저렴한 편이었지만 본 바탕이 누레지는 현상이 있고 광택이 없어서 구겨지기가 쉬운 단점이 있다.

생광목은 표백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누른빛을 띄고 있는데 옷감보다는 주로 돛, 부대자루, 장터 등에서 사용하였고, 수건으로도 썼다. 옷감의 경우 비누소다를 첨가한 표백제로 표백하여 바탕을 하얗게 처리한 후 사용하였다.

일제강점기 동아일보의 사주이자 경성 방직의 지주로 있었던 인촌 김성수 중앙학교에 있던 시절 중앙학교 학생들의 교복이 일본산 광목 재질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학생들에게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함양시키기 위해 일본산 광목 대신 조선 무명으로 교복재질을 바꾸라는 권고를 내렸던 적이 있었다. 이를 보고 사람들은 인촌이 오히려 이상해진 것도 모자라 투박하기 짝이 없는 천쪼가리인 무명으로 만든 교복을 학생들에게 입혀서 뭐하겠냐고 불평불만을 늘어놓았다. 그러자 그가 이렇게 말하기를 조선 사람이 조선의 무명을 이용하지 않으면 누가 이용하겠는가. 왜놈들이 그 따위 조선놈이 만든 투박하고 보잘것도 없는 무명 따위를 이용할리가 있겠느냐. 나는 학생들에게 교복의 재질을 무명으로 바꾸면서 조선에 대한 애국심을 키울 것이다라고 얘기하였다. 동아일보에서 1980년대에 발행했다는 인촌 김성수 전기에서 그렇게 나왔다고 한다.

파일:jAjRHj7.jpg

1920년대에 들어서 인촌 김성수는 경성방직 지주명의로 일본산 광목과 경쟁하기 위해서 조선산 광목의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었는데 이 때 조선산 광목에 들어갈 상표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느끼면서 태극기를 본떠 태극기의 4괘 대신 조선 8도를 상징한다는 검정별 8개에 태극을 'S' 자로 변형시켰다는 '태극셩(太極星)'[1] 이라는 상표를 만들어 일본 현지 특허국의 허가하에 조선산 태극성 광목 판매를 시작하였다. 물산장려운동에 대해 학교에서 배우게 되면 바로 떠오르게 되는 바로 그 자쓰가리우것든만가리우 광고가 이 태극성 광목의 신문광고.

태극기 일제강점기 이후 애국가와 함께 사용금지 목록에 오르게 되면서 이 와중에 태극기를 볼 수 없었던 조선 양민들에게는 최고의 호응을 얻어갔는데 일제의 입장에서는 태극기와 약간 비슷해 보이는 탓에 일본 순사나 헌병들이 장터만 둘러봐도 장터 곳곳에 펄럭이는 태극성 상표 광목을 보고 태극기로 오인하기도 하였을 정도였다. 결국 일제가 경성방직 관계자를 소환하여 조사까지 하였지만 일본 특허국의 허가를 받은 것이라 완전히 사용을 막지는 못하였다.

6.25 전쟁 당시에도 국군 전투복은 대부분 광목으로 만들었다. 낙동강 전선을 제외한 전국이 북한군에 점령되면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원단을 생산하고 있었던 부산의 조선방직이 안전한 후방에서 전쟁 내내 한국군 군복을 수백만 벌씩 찍어내는 원천이 되었다.

[1] 실제로 물산장려운동 광고에 실린 표기는 태극성이 아니라 태극셩이였다. 어차피 상품 이름은 고유명사이기 때문에 오뚜기 케’찹’이 아니라 오뚜기 케’챺’인 것처럼 태극셩 또한 고유명사로 볼 필요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