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 나라의 영공방위를 책임지는 공군을 상징하는 군가로, 공군에 소속된 장병들의 동질감을 고취시키고 사기를 고양하기 위하여 부른다. 여기서는 대한민국의 공군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2. 대한민국 공군의 공군가
육군가 |
해군가 [[나가자 해병대| 나가자 해병대 ]]
|
공군가 |
트로트 버전
6.25 전쟁이 한참이던 1951년, 대한민국 공군의 정신적 지주라고 불리는 최용덕 장군[1]이 작사하고, 김성태 교수[2]가 작곡하였다.
공군 내에서의 위상은 애국가에 필적하며, 공군의 모든 공식 행사는 시작할 때 국민의례와 함께 애국가를 부르고 끝날 때는 공군가를 제창한다.
공군은 기본군사훈련을 수료하고 나면 군가를 부를 일이 거의 없지만, 이 공군가만큼은 예외이다.[3] 여담이지만 고등비행 수료식 때만은 예외로, 빨간 마후라를 받는 행사인지라 공군가 대신 빨간 마후라를 부르기도 한다.
해군가는 뜀걸음할 때 부르지 않는 반면, 공군가는 육군가와 동일하게 뜀걸음 시 부르기도 한다.
여담으로 육군가, 해군가와 달리 '공군'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는다.[4] 일부 역사가 오래된 학교의 교가에 교명이 안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그거랑 비슷한 듯.
[5]
(1절) 하늘을 달리는 우리 꿈을 보아라 하늘을 지키는 우리 힘을 믿으라 죽어도 또 죽어도 겨레와 나라[6][7][해] 가슴 속 끓는 피를[해] 저 하늘에 뿌린다 (2절) 하늘은 우리의 일터요 싸움터 하늘은 우리의 고향이요 또 무덤 살아도 되살아도 정의와 자유[해] 넋이야 있고 없고 저 하늘을 지킨다 |
3. 여담
과거 돌았던 비디오에는 적기 격추 장면이 있는데, 탑건의 MiG-28을 요격하는 장면이다.
4. 해외의 공군가
[1]
광복군 참모처장, 초대
국방부 차관, 이후 제2대
공군참모총장직을 역임한다.
[2]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였으며, 이후 학장 및 명예교수직을 역임한다.
[3]
다만 대개 1절만 부르기 때문에 2절을 부를 일은 좀처럼 없으며, 공군 장병들도 대부분이 1절은 부르라고 하면 조건반사처럼 튀어나올만큼 숙지하고 있지만, 2절은 모르는 장병들이 더 많다.
[4]
"그 이름 용감하다 대한 육군", "우리는 해군이다 바다의 방패"와 같은 가사. 해병대도 후렴에 "조국건설 위하여 대한 해병대"라는 가사가 있다.
[5]
영상의 악보는 사장조이나 영상 속의 음원은 내림 나장조이다.
[6]
굉장히 톤이 높은 부분으로 삑사리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아예 톤보다 발음을 세게 부르는 편이 좋다.
[7]
이 파트가 톤이 상당히 높아서 간혹 군악대병이 훈련병 군가교육할 때 삑사리 내는 경우도 다소 있다고 한다(...)
[해]
해군가와 겹치는 가사이다.
[해]
해군가와 겹치는 가사이다.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