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07 13:36:48

강수형(원나라)

1. 개요2. 생애


康守衡
(? ~ 1289)

1. 개요

원나라의 인물. 진주(晉州) 출신 고려인으로 요양행성에서 활동했다.

2. 생애

강수형은 어려서 몽골군에 포로로 잡혔고, 몽골에 들어가서 원래 이름인 강화상(康和尙)에서 강수형으로 개명한다. 1260년(몽골 중통 원년, 고려 원종 원년) 쿠빌라이 칸의 명으로 속리대(束里大)와 함께 고려에 다루가치로 파견된다. 강수형 등은 고종이 죽고 왕위에 오른 원종을 수행하며 고려로 향했는데, 한참을 걸어 몽골군이 주둔한 고려 서경을 지났는데도 새 왕과 다루가치들을 영접하러 나오는 고려 대신들이 없었다. 참지정사 이세재, 동지추밀원사 황보기, 우부승선 채정 등은 서경에서 영접해야 했지만 원종 일행이 이미 통과한 뒤였고, 속리대는 영접이 늦었다며 대노한다.

강수형과 속리대는 강화도에 머무르는 한달간 후한 접대를 받는다. 강수형 등의 파견 목적에는 강화도로 수도를 옮긴 고려가 개경으로 환도하도록 하는 것도 있었는데, 3월 1일 고려는 출배도감을 설치해 강화도에서 나갈 준비를 했으나 한달여간 환도는 이뤄지지 않았다. 28일 두 다루가치는 적접 원종을 만나 개경으로 환도하라는 쿠빌라이 칸의 뜻을 넌지시 전달했고, 며칠 뒤 4월 3일부터 순차적으로 개경 환도가 이뤄진다.

7월까지 개경에 궁궐, 민가가 재건되는 모습을 보던 속리대와 강수형은 몽골로 돌아간다. 서경에 이르자 쿠빌라이 칸의 조서가 내려지니 이를 따라 강수형과 개경으로 돌아와 원종과 함께 조서를 받든다. 속리대는 다시 8월에 몽골로 떠났는데, 강수형도 함께 돌아갔을 것이다.

원종 3년(1262) 9월 몽골의 접반사로서 안탈릉철아(按脫夌徹兒), 예부시랑 유헌과 고려에 와서 요자(鷂子, 새매)·호동(好銅)을 요구한다. 원종 5년(1265) 5월 7일에는 관인 호도(胡都), 다을자(多乙者), 예부원외랑 조태(趙泰)와 고려에 와서 이튿날 8월 고려 왕이 친조할 것을 요구하는 조서를 전한다. 15일에 호도와 강화상이 먼저 돌아가는데, 원종은 국자좨주 장일, 낭장 강윤소와 동행시키며 그들을 통해 친조를 거부하는 표문을 전한다.

1269년 임연이 원종을 폐위하고 안경공을 옹립한다. 몽골에 이 소식이 전해져 원종과 안경공, 임연 모두 와서 사실을 밝히라고 엄포한다. 임연은 아들 임유간과 자기 심복들을 원종에게 딸려보내 왕이 폐위된 정황을 말하지 못하게 하려고 한다. 임유간은 먼저 강수형에게 얼버무리며 해명해봤지만, 이미 입조한 세자(훗날의 충렬왕)와 재상 이장용을 통해 원종의 폐위 배경을 충분히 파악하고 있던 쿠빌라이 칸에게는 변명이 통하지 않았다. 임유간은 묶인 채 수감됐으며 임연은 고려에서 화병으로 죽는다.

원종은 몽골 공주와 혼인을 요청한 뒤 귀국길에 몽골 병력 지원을 요청하는 글을 올린다. 강화상은 영녕공, 홍다구와 함께 원종에게 가서 쿠빌라이 칸의 뜻을 전한다. 군마의 지원은 그대로 허락이 내려졌으나 통혼의 경우 허락은 하겠지만 고려에 돌아가서 나라를 안정시킨 뒤에 사신을 보내 다시 요청하라는 내용이었다.

충렬왕이 즉위한 뒤 고려로부터 추밀원부사 판위위시사 상장군 관직을 받는다. 충렬왕 원년(1275) 10월 악탈연(岳脫衍)과 함께 쿠빌라이 칸의 조서를 받들고 고려에 온다. 이 조서의 내용은 고려 왕족들의 동성혼을 금하고 왕실에서 사용하는 명칭을 제후국의 예에 맞춰 격하하는 것이었다. 홍다구의 요청에 따라 충렬왕 4년(1278) 지첨의부사에 임명된다. 7월 충렬왕이 원에 입조한 때 원세조는 강수형에게 고려의 복식에 관해 자문을 구했고, 카바(哈伯)가 고려 백성을 안정시킬 방법을 물으니 강수형은 호구조사를 먼저 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다.

강수형은 요양행성에서 대녕총관을 지내면서도 고려 사신과 황제 사이에서 통역을 맡았는데, 고려 사람 중 몽골어에 능숙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후일 조인규가 능숙한 몽골어로 황제의 물음에 답하니 이후로 강수형이 통역할 필요는 없어진다. 1278년 만주 옷치긴 왕조의 나얀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는 동경총관으로 만주에 있었다. 참전을 제안한 충렬왕이 병력을 보내오지 않자 강수형은 요동선위사와 함께 출병을 독촉하며 군사 1천이라도 먼저 보내라고 요구한다. 찬성사에 올랐던 강수형은 1289년 1월 20일 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