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6:28:36

Friday Night Funkin'/모드/Hit Single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riday Night Funkin'/모드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각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1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각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1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
토론 - 파생 모드는 이 문서 내 '파생 모드' 문단의 하위 문단으로서 등재하기
토론 - 모드의 주소는 공식 사이트와 한글 패치 주소 외에는 기재가 불가능하나\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파일:fnflogo.png
게임 정보 등장인물 | 스테이지 | 더미 데이터
모드 목록
(단독 문서)
2020년 · 2021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2022년 ( 1분기 · 2분기 · 3~4분기) · 2023년~
논란 및 사건 사고 2021년 · 2022년 · 2023년
기타 마이너 갤러리 | 팬덤 | 템플릿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Hit Single
파일:sillybaby.jpg
[ Fake Baby 업데이트 섬네일 펼치기 • 접기(공포 주의) ]
파일:fakebabydl.jpg
제작 Churgney Gurgney[1]
Marco Antonio[2]
vxilius
Bagel
Neutroa
Phantasmuh
Honkish
duccly
TapWater/Funny Robot
Lyfer
Gary Gilbenson
scrumbo
Ironik
SPACENAUTICA
Dahleag
JoggingScout
Aperatus
Undyingrose
Triki_Tr0y
Iseta
Zink99
분류 실행파일
출시 2023년 9월 21일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 53.18만 회[3][4]
관련 사이트 파일:게임바나나.ico 모드 주소
1. 개요2. 등장인물3. 스테이지
3.1. Silly Billy3.2. Fake Baby3.3. Darnell Wet Fart3.4. Joyous
4. 기타

[clearfix]

1. 개요

온라인 모드의 챌린지처럼 각종 모드의 취소된 캐릭터들을
재구성해서 만든 모드이다

2.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riday Night Funkin'/모드/Hit Single/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스테이지

3.1. Silly Billy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Silly Billy}}}
길이 6분 14초
BPM 173[5]
조성 G Minor[6]
G# Minor[7]
작곡 Sturm/Churgney Gurgney, Ironik, duccly, SPACENAUTICA, & honkishHershey

Silly Billy 노래에선 yourself가 거울을 바라보는 보프에게 마이크를 던지고 앞에서 튀어나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상대의 채보는 yourself의 후방에 있는 거울에 비쳐서 나오는게 특징이다.[8]

곡의 길이가 무려 6분인데다가 채보를 칠때마다 체력을 흡수하는 시스템을 가졌기 때문에 상당한 끈기를 요구한다.

노래를 부르다가 도중에 키가 보프처럼 비슷하게 변하며 후반부에는 다시 본모습으로 돌아오고 난 뒤 1인칭 시점으로 변하며 엄청난 가창력을 선보이며 가사를 뱉는다.[9] 이후 원래 시점으로 복구될 때는 거울 유리가 깨져버리며 전체적인 색상과 채보도 푸른색으로 바래진다.

캐릭터부터 곡 자체가 전반적으로 divide에 대한 헌정이 담겨져 있는 곡으로, 가사 또한 divide를 기리는 의미에서 만들어진 곡임을 밝혔다. 덕분에 퀄리티와 별개로 'divide도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며 애도를 보내는 글도 속출한다.

이 노래가 공개되고 난 뒤 다음날에 프나펑에 week-1 공식 업데이트가 나왔다. 이로써 3년간 수많은 각종 모드 캐릭터들과 상대하던 보프는 마지막 상대를 보프 자신으로 장식하게 된 셈이다. #


성우 알레한드로 사브 # 던 M. 베넷 #도 놀라운 반응을 보이고 원작자 PhantomArcade 역시 Weekend 1 출시전 마지막으로 봤던 모드라고 밝혔으며 개쩔었다고 극찬하면서 공식 축전을 그려주었다. #

노래가 끝나면 garn47이 실행된다.

3.2. Fake Baby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Fake Baby}}}
길이 4분 56초
BPM 127 > 151 > 156[10]
조성 F# Minor
작곡 Sturm/Churgney Gurgney

yourself랑 마찬가지로 sonic.exe에서 취소된 컨셉을 그대로 가져왔다.

대디 디어리스트와 no more innocence는 한 때 친척이었지만, 디어리스트는 no more innocence를 배신하고 알 수 없는 이유로 소닉 게임에 가두었다.
복수를 위해 no more innocence는 여자친구가 아직 아기였을 때 납치하여 보복했고, 디어리스트는 딸을 구하기 위해 no more innocence의 세계로 들어가고 디어리스트 답게 여자친구를 되찾으나, no more innocence는 "넌 딸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조롱하곤 사라져버린다.

3.3. Darnell Wet Fart[11]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Darnell Wet Fart}}}
길이 4분 11초
BPM 163
조성 A# Minor[12]
B Minor[13]
C Minor[14]
작곡 Sturm/Churgney Gurgney, HassenX Animations & LYMPHH
Mistful crimson 모드에 나올 예정이였으나 취소되고 옮겨진 스테이지. 스폰지밥과 진주가 징징이에게 먹히자 집게사장은 이 사실을 듣고 귀신 쫒는 옷차림과 부적을 입은뒤 징징이 집에 찾아가 상대를 하게 된다. 싸움 이후 집이 무너지면서 징징이가 비명을 지르는것으로 마무리.

징징이가 노래를 부를 때마다 공포 측정기가 올라가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집게사장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미터가 내려간다. 공포 측정기가 최대치에 도달하면 즉시 게임오버.

3.4. Joyous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1 Joyous}}}
길이 6분 5초
BPM 143 > 151 > 159 > 135
조성 F Minor[15]
G# Minor[16]
B Minor[17]
작곡 Sturm/Churgney Gurgney, HassenX Animations & LYMPHH


자기의 창작자를 직접 죽이러 현실세계로 나온 Lord X와 대결하는 컨셉으로 3D 모델링에 디자인 질감도 실사화된 소닉과 동일하게 변했다. 1인칭 시점이며 중간에 cycle 멜로디가 나오며 스테이지도 바뀌는게 특징. 마지막에 불길이 커튼처럼 휩싸이며 불에 타는것으로 마무리

4. 기타


[1] 디랙터이자 작곡가 그리고 Yourself의 성우 [2] Mario Madness의 디랙터이자 보프의 스프라이트 및 애니메이션 담당 [3] 2024년 6월 17일, 게임바나나 기준 [4] 조회수 부분은 약 16만 회정도 나오지만 다운로드 수는 53만회이다. 아마 단기간에 너무 많은 조회수를 얻은 것때문에 프리징이 걸린 듯 하다. [5] 일반 난이도 [6] 2분 58초까지 [7] 2분 59초 이후 [8] 덕분에 yourself의 시점으로 바꾼다면 플레이어의 채보도 마찬가지로 보프의 후방에 나타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인게임에 있는 요소를 마치 거울상처럼 대조되도록 만들어낸 꽤나 영리한 연출. [9] 노래 도중에 Mario Madness의 Ultra M과 비슷한 포즈를 짓는데 이는 Mario Madness의 디랙터인 마르코가 컷씬과 스프라이트를 제작했기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10] 일반 난이도 [11] Bold or Brash로도 알려저 있다. [12] 0:00 - 2:03 [13] 2:04 - 3:13 [14] 3:14 - 4:11 [15] 0:00 - 1:53 [16] 1:54 - 2:30 [17] 2:31 -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