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5:38

B세포

B림프구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면역계/세포
,
,
,
,
,

면역계의 세포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em"
<rowcolor=#fff> 골수계 세포 림프계 세포 양쪽에서 분화
과립구 단핵구 대식세포 적혈구 [A] 거대핵세포 B세포 T세포 선천성 림프구 세포 수지상세포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비만세포 조직 상주 큰포식세포 혈소판 NK세포
[A] 가장 큰 역할은 기체교환이기 때문에 완전히 면역계의 세포라고 보기는 힘드나 보체수용체를 통한 면역복합체 제거에 기여하며, 다른 골수계 세포들과 같이 골수계 전구세포에서 유래하므로 표에는 포함.
}}}}}}}}} ||
B세포
B cell
파일:Blausen_0624_Lymphocyte_B_cell_(crop).png
인간 B 세포를 3D 렌더링한 사진
1. 개요2. 발달 과정
2.1. Ig 유전자의 재배열2.2. 골수에서의 음성선택
3. 활성화4. 종류
4.1. B-1 B 세포4.2. B-2 B 세포4.3. 가장자리구역 B 세포

[clearfix]

1. 개요

B림프구라고도 부르는 B 세포 백혈구의 일종이다. 쉽게 말해 항체(면역글로불린)를 만드는 세포이며. 분화해서 항체를 분비하는 형질세포(Plasma cell)가 된다.

B세포가 처음 발견된 곳이 조류의 파브리시우스 점액낭(Bursa of Fabricius)이라, 앞글자를 따서 Bursa-유래세포 또는 B세포라고 부른다. 골수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골수(Bone marrow)의 머릿글자를 따서 B세포라고 명명된 것이 아니라 과거 조류에 대한 초창기 항체- 항원 반응에 대한 실험에서 파브리시우스낭(Bursa of fabricius)이 항체 합성을 일으킴이 밝혀지고 그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 사람의 골수에서 B세포가 만들어진다는 것은 B세포라는 이름이 붙은 이후에 밝혀졌다. 실로 기묘한 우연이라고 할 수 있다. 포유동물은 낭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인체의 경우 골수에서 생산, 성숙이 이뤄진다.

주요 마커로는 MHC II, CD80/86, CD40이 있다. B세포에 특이적인 표지 단백질로는 CD10, CD19, CD20 등이 있다. 또한, 활성화된 B세포는 공통자극분자를 분비하는데, 이러한 예로 B7, CD40, ICOSL 등이 있다.

2. 발달 과정

파일:B세포발달과정.jpg
B 세포의 발달 과정
이하의 B 세포 발달 과정은 체내에서 가장 흔한 B-2 B 세포의 발달 과정이다. 다른 아형의 B 세포 발달 과정은 밑에서 각 문서를 참조하자.

항체를 만드는 세포이기 때문에 B 세포의 발달과정 중 핵심은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Ig)의 유전자 재배열과 발현에 있다.[1] 크게 HSC( 조혈모세포, Hematopoietic Stem Cell) → Progenitor → Pro-B → Pre-B → Immature B → Mature B의 과정으로 발달(성숙) 하는데, 아마 그 중 제일 중요한 과정 몇 가지를 뽑으라면(다 중요하지만);
(1) Ig 유전자의 재배열, (2) 음성선택(Negative Selection), (3) 양성선택(Positive Selection) 을 뽑을 수 있다.

2.1. Ig 유전자의 재배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D)J 재조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체의 유전자는 한정되어 있는데 반해, 항체가 인식할 수 있는 항원(Epitope)의 개수는 엄청나게 많다. 이를 설명하는 이론이 바로 1987년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進) 박사가 노벨상 #을 받은 Ig 유전자의 체성 재조합(Ig Somatic recombination), 또는 V(D)J 재조합과정이다. 즉, 한정된 유전자조각(gene segment)를 가지고 조합적인 방법을 통해 항체 유전자를 암호화한다는 것이다.

2.2. 골수에서의 음성선택

파일:B세포말초부선택.png
B 세포의 말초부위 선택 과정
항체가 자기항원을 인식하게 된다면 자기면역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흔히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비정상적인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자기항원을 인식하는 항체를 자기반응성(self-reactive), 자가반응성(auto-reactive) 항체라 부른다.

이렇다보니 T세포와 똑같이[2] 골수에서 만들어진 미성숙 B세포는 발달 중에 음성선택이라는 과정을 거쳐 성숙 B세포로 분화하게 된다. 이 과정은 골수 안에서 벌어지며 미성숙 B세포가 골수 세포 표면에 있는 자기항원(Self-antigen)과 반응하는지 테스트하게 된다.

만약 자기항원에 반응하는 세포들은 수용체 편집(Receptor Editing)을 통해 Ig의 경쇄 유전자(Light Chain)을 다시 재배열을 시도하는데 실패할 경우 해당 세포는 아포토시스로 제거된다.

3. 활성화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면, 분열을 하면서 당장 항체를 만들어내는 형질세포(Plasma Cell)와, 같은 항원이 다음에 올 경우를 대비한 기억 B세포(Memory B Cell)로 나뉘어 분열하게 된다. 백신같은 체액성 면역 자극제는 이것을 이용한 것이다. 불어난 기억 B세포가 다음에 항원이 들어왔을 때 반응하기 때문에 첫번째 침투때와는 달리 몇배나 되는 항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혹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다발성 골수종이 일어나기도 한다.

4. 종류

파일:B세포종류.png
B 세포의 종류

4.1. B-1 B 세포

아래 서술할 B-2 세포와는 다른 발생적 경로를 거쳐 나온 세포로, 태아일 때 만들어진다.
B-1 Ig VH(Heavy chain variable region)영역의 유전적 다양성은 B-2세포의 Ig의 다양성보다 낮다. 또한 면역기억(Immunological Memory)가 거의 없거나 없다. 항체를 만들고, 항원제시세포의 역할을 하며, 면역조절 기능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2. B-2 B 세포

Folicular B cell
보통 B세포라 한다면 얘네를 가리킨다. 기억(Memory)작용이 있으며, 모든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4.3. 가장자리구역 B 세포

Marginal Zone B cell, MZ B cell
비장의 가장자리구역에 주로 위치하는 B 세포의 일종이다.


[1] 자세한 사항은 면역계/세포 참고. [2] 단 T세포와는 다르게 자기MHC 분자인식능력 테스트는 거치지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 ( 이전 역사)
문서의 r137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