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02:53:47

G형 주계열성

황색 왜성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주계열성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태양 대비 상대 질량 온도에 따른 분류 분광형
<colcolor=#000>0.07 ~ 0.08배M 1700K ~ 2400K L형 주계열성· L형 준왜성
0.08 ~ 0.5배 2400K ~ 4000K M형 주계열성· M형 준왜성
0.5 ~ 0.8배 4000K ~ 5500K K형 주계열성· K형 준왜성
0.8 ~ 1.03배 5500K ~ 7000k G형 주계열성· G형 준왜성
1 ~ 1.4배 7000K ~ 9000K F형 주계열성
1.4 ~ 2.1배 9000k ~ 15000K A형 주계열성
2 ~ 16배 15000K ~ 20000K B형 주계열성
15배 ~ 120배 20000K ~ O형 주계열성
* M: 금속 함량에 따라 이 범위 내여도 갈색왜성일 수 있으며, 비확장 분광형에서는 M형으로 간주된다.
}}}}}}}}}

파일:고래자리 타우.jpg
차가운 G형 주계열성인 고래자리 타우[1]
뜨거운 G형 주계열성인 태양[2]

1. 개요2. 상세3. 별의 색4. 생명체의 거주가능성5.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G형 주계열성

[clearfix]

1. 개요

G Type Main Sequence Star

G형 주계열성 혹은 G V 분광형 G에 속하는 주계열성이다. K형 주계열성보다는 크고 F형 주계열성보다는 작은 이들의 질량은 태양의 0.8 ~ 1.03배이며, 표면 온도는 5,300~6,000 K 정도이다. 황색 주계열성[3]이라고도 불린다.

G형 주계열성은 모든 주계열성들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완료된 항성인데, 그 이유는 우리 지구와 인류의 모항성인 태양이 바로 전형적인 G형 주계열성이기 때문이다.[4] 그래서인지 F형 주계열성 이상 등급에는 적색거성, 백색왜성, 중성자별, 블랙홀 등으로 최후를 맞이하여 나무위키에서 취소선이 그어진 별이 몇 개 있지만 G형 주계열성 밑으로는 취소선이 그어진 별이 없다시피하다.[5]

2. 상세

이들은 최하위인 G9조차도 주계열성들 중 상위 2.5%일 정도로 희귀한 별들이다.[6] G형 주계열성의 수명은 보통 약 100~150억 년이며,[7] 수명을 다한 G형 주계열성은 주계열 상태에서 이탈한 뒤 스스로 덩치를 크게 부풀리면서 적색거성으로 진화한다.

이후 적색거성은 수평가지를 거친 후 점근거성가지에 진입하며 이후 외곽의 가스층을 항성풍을 통해 우주 공간으로 날려 보내면서 행성상성운을 형성한다. 외곽이 벗겨진 후 남겨진 중심핵은 밀도가 높은 백색왜성이 된다.

3. 별의 색

G형 주계열성은 간혹 황색별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사실 정확하지 않은 표현이다. G형 주계열성은 일관된 색을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이들은 실제로 우주에서 관측할 시 흰색을 띤다. 예컨대 G형 중 뜨거운 쪽[8]은 실제 푸른색이 약간 섞인 흰색에 가까우며, G형 중 차가운 쪽[9]의 색은 완벽한 흰색이다.

파일:Suncolor.jpg

즉, 태양 또한 황색이 아니며 실제로는 위 사진과 같이 엄연한 흰색이다.[10] 이처럼 잘못된 명칭이 붙은 이유는 지구의 푸른 하늘은 태양을 노란색으로 착각하게 만들며, 특히 해가 질 때는 레일리 산란의 영향으로 태양을 붉은색에 가깝게 보이게 만들기 때문이다.

아울러 태양의 경우 분광형 G2에 속해있어 G형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해 있는 별에 해당하며, 청록색 영역(약 500 nm)에서 빛의 세기가 최대이다. 그것과 별개로 태양의 광구인 6000K의 최대파장은 500nm 정도의 청록색 파장이지만 녹색은 빛 합성과정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삼원색 중 녹색이 압도적으로 강하지 않고 청녹적 모두 섞이는 비중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4. 생명체의 거주가능성

G형 주계열성은 지구와 같은 생명체를 품을 수 있는 행성의 모항성으로 가장 이상적이라고 알려져 있다.[11] 이들은 M형 주계열성과 달리 플레어가 특별히 강하지 않으며, F형 주계열성 이상의 별들과 달리 수명도 길고,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스펙트럼도 가장 적당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외계 행성 탐사에 있어 주요 관측 대상이 된다.

G형 주계열성 전체가 생명체 거주에 적합하지는 않다. 일부 G형 주계열성은 태양보다 훨씬 강력한 슈퍼플레어를 주기적으로 분출하기 때문이다.[12] 이들의 생명체 거주가능성은 태양과 같이 안정적인 G형 주계열성에 비해 떨어진다.[13] 한편으로는 태양과 가장 비슷한 질량의 항성이라도, 뜨거운 목성이 있으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의 존재는 매우 희박하다. 이 뜨거운 목성이 중력으로 암석형 행성을 항성계 밖으로 튕겨내거나, 기조력으로 부수기 때문이다.

단, 이는 외계생명체가 지구의 생명체와 유사하다는 전제하에 유효한 가정이며, 외계 생명체가 G형 주계열성계와는 전혀 다른 항성계에 잘 적응하여 생존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생명체를 품는 데에 이상적인 또 다른 항성으로는 K형 주계열성이 존재한다.(단, K형 주계열성은 온도는 적당하나 태양같이 G형 주계열성처럼 식물들의 산소성 광합성을 하기 위한 필수 조건인 800nm 이하의 짧은 파장을 방출하는 K형 주계열성 또한 태양 같은 G형 주계열성 숫자 만큼 우리 은하 내에선 극히 드물다.)

5.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G형 주계열성


[1] 상세한 분광형은 G8V. G는 분광형을, V는 광도계급을 뜻한다. 즉, G형 주계열성 중 표면온도가 낮은 편에 속하는 항성이다. [2] 상세한 분광형은 G2V. G는 분광형을, V는 광도계급을 뜻한다. 즉, G형 주계열성 중 표면온도가 높은 편에 속하는 항성이다. [3] Yellow main sequence star [4] 때문에 G형 주계열성에 관한 내용은 이 문서보다 태양 문서에 더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5] 다만 후술할 G형 주계열성의 최소 수명이 105억년이고 현재 우주의 나이가 138억년인지라 과거 G형 주계열성이었으나 현재는 G형 주계열성이 아닌 별도 존재한다. [6] 참고로 태양은 상위 1% 정도로 상당히 체급이 큰 항성이다. [7] 태양은 약 45억 년 전에 탄생했고 앞으로도 80억 년의 수명이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되니 124억 년 정도이다. 다만 태양의 주계열성 단계는 109억년 정도이므로 앞으로 60억년 조금 더 남았다. [8] 예: 태양 [9] 예: 고래자리 타우 [10]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우주 공간에서 태양을 촬영한 사진이다. [11] 애초에 우리가 사는 지구의 모항성인 태양이 바로 G형 주계열성이다. [12] 사실 태양 정도면 G형 주계열성 중 플레어 활동이 잠잠한 계열이다. [13] 강력한 슈퍼플레어가 수시로 발생하는 G형 주계열성은 자전이 빠르고 생성된 지 오래되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따라서 태양도 형성 초기에는 강력한 슈퍼플레어가 자주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으나, 초기 태양의 슈퍼플레어 활동이 지구 대기의 진화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영역이다. [변광성] 변광성이다. [15] 형성되었을 당시엔 태양과 동일한 G2V의 주계열성으로 추측되며, 이 별의 질량도 약 1 태양 질량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태양의 미래라고 볼 수 있다. [변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