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5:00:43

현대로템

주식회사 로템에서 넘어옴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color:#ffffff,#000000;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2c5f; 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c83><colcolor=#ffffff> 그룹사
완성차 현대자동차 ( N · 아이오닉) · 제네시스 · 기아
제조업 현대제철 ( 현대ITC · 현대IMC · 현대ISC · 현대IFC · 현대스틸파이프 · 현대IEC) · 현대비앤지스틸 ( 현대첨단소재 · 현대머티리얼) · 현대종합특수강 · 현대로템
건설 현대건설 · 현대엔지니어링 ( 현대 테라타워) · 현대스틸산업 · 현대도시개발
부품 현대모비스 · 모트라스 · 유니투스 · 현대트랜시스 · 현대위아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 · 현대엠시트 · 현대케피코 · 현대아이에이치엘 · 현대파텍스 · 에이치그린파워 · HTWO
금융 현대카드 · 현대캐피탈 · 현대커머셜 · 현대차증권
기타 광고 이노션 | IT 현대오토에버 · 지아이티 · 포티투닷 · 모셔널 | 로봇 보스턴 다이내믹스 | 물류 현대글로비스 · 지마린서비스 | 가스 그린에어 | 철도 메인트란스 · 동북선도시철도 · 로템SRS · 에스트랜스 · 김포골드라인SRS | 도로 울산하버브릿지 · 화성도시고속도로 | 전기차 충전소 E-pit | 산학 협력 현대엔지비 | 호텔 해비치 호텔&리조트 ( 제주) | 농업 현대서산농장 | 항공 슈퍼널
해외 지사 기아기차유한공사 · 화치 · 베이징현대 · 현대상용차 · 럭키 자동차 · 현대트랜스리드 · 베링 트럭(폐지)
합자 법인 쓰촨현대 · 치도 · 다임러 현대 상용차 주식회사(폐지) · GEMA(폐지) · HLI그린파워
그룹사 외
사회 공헌 해피무브 글로벌 청년봉사단
스포츠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 · 현대 모터스포츠 · 현대 N 페스티벌 · 현대 양궁 월드컵 · 현대자동차 정몽구배 한국양궁대회
시설 신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 | 연구소, 연수원 남양연구소 · 의왕연구소 · 환경기술연구소 · 현대자동차그룹 인재개발원 · 현대인재개발원 · 글로벌상생협력센터
현대자동차 공장 울산 · 아산 · 전주 · 튀르키예 · 인도( 첸나이) · 중국 · 앨라배마 · 체코 · 러시아 · 브라질 · 인도네시아 · 에티오피아 · 기아 오토랜드 광명 · 화성 · 광주 · 조지아 · 질리나 · 몬테레이 · 아난타푸르 · 럭키 자동차 · 쿤디나마르카 · ADM-지자흐 · 옌청 · 기타 시작 공장 · 동희오토 · 광주글로벌모터스 ·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자동차 전시장 현대 모터스튜디오 · KIA 360 · 제네시스 전시장 · N 시티 서울 | 자동차 정비소 현대 블루핸즈 · 오토큐 | 자동차 충전소 현대 EV 스테이션 강동 | 기타 HMG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센터 · 케이-시티
}}}}}}}}} ||
현대로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방위산업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svg 파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 화이트.svg
파일:한화오션 CI.svg 파일:한화오션 CI_다크모드.svg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세로.svg 파일:현대로템 CI.svg 파일:현대로템 CI 화이트.svg
파일:현대위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LIG넥스원 CI.svg 파일:LIG넥스원 로고 화이트.svg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svg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로고.svg 파일: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로고 화이트.svg 파일:SNT모티브 CI.svg
파일:SNT다이내믹스 CI.png
파일:풍산그룹 CI.svg
※ 그룹 내 방산 계열사 시가총액 총합이 1조원 미만인 방위산업체는 문서 참고 }}}}}}}}}


파일:현대로템 CI.svg 파일:우진산전 CI.svg 파일:다원시스 로고.svg 파일:성신RST 로고.svg 파일:고려차량_로고.png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7a0><tablebgcolor=#0047a0> 파일:다누리 미션 패치.png 다누리
개발 참여 산업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본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본체
한화 추진시스템 제작
큐니온 통신분배장치 제작
아이원스 궤도선 상태정보 인터페이스 장치 제작 등
링스컴퓨터 시스템즈 시험용 장비(전기시험용 자세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KAI 구조체 시제작, 조립시험 지원 등
에이엠시스템 설계지원(도면제작) 등
티오엠에스 설계지원(설계모델 분석) 등
캠틱종합기술원 기계조립/검사용 장비 제작 등
AP위성 전장품(탑재컴퓨터 등) 개발, 시험장비 제작 등
JIT 전기시험 지원
솔탑 전기시험장비 제작 등
MTG 전기지상지원 장비 설계 및 제작
이이엠티 지상전기시험장비 제작
웨이브온 주파수 국제등록 기술지원
비엔씨텍 배터리 유지보수 장치 제작
모루기술 열 제어부 온도센서 제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탑재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본체/탑재체
이엘엠 고해상도카메라 열 제어부, 정전기방지 스크린 제작 등
탑재체
아이쓰리시스템 고해상도카메라 전자모듈 개발
한화시스템 고해상도카메라 전원공급유닛 개발
데크항공 고해상도카메라 고안정구조체 개발
그린광학 고해상도카메라 렌즈모듈 개발
루미르 우주인터넷 탑재체 전자부 제작
(주)샛별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광학계 제작
미래기술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열해석
인공위성연구소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전자부 제작
센서피아 자기장측정기 센서 제작
라컴텍 자기장측정기 CFRP 붐 제작
뉴케어 감마선분광기 전자부 제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심우주지상시스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심우주지상시스템
SK브로드밴드 심우주지상안테나 제작
케이씨이아이 비행항법시스템 HW 개발
쎄트렉아이 비행항법시스템 SW 개발
한컴인스페이스 지상국운영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비온디솔루션 해외와 연동가능한 통신지연 극복 장비 개발
제이아이티솔루션 달 궤도선 탑재 모듈 모사 SW 개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2단계 선행연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2단계 선행(로버/원자력전지)
스페이스솔루션 고성능 티타늄 연소관 개발을 위한 성형 및 용접공정 개발
현대로템 로버 구조 구동부 설계/제작
나노퓨어웍스 방사성동위원소 열원원료합성 공정설계
SE&T 저궤도시험용 원자력전지 시제품 제작 등
씨에스엔지니어링 ETG 구조체 및 복사열 차폐제 제작
에이스시스템즈 원자력전지 성능평가용 진공챔버 제작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기업명
51 파일:SK바이오팜 로고.svg
SK바이오팜
52 파일:포스코인터내셔널 CI.svg
포스코인터내셔널
53 파일:한미반도체_로고.svg
한미반도체
54 파일:DB손해보험 로고.svg
DB손해보험
55 파일:현대로템 CI.svg
현대로템
56 파일:HD현대마린솔루션 로고.png
HD현대마린솔루션
57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세로.svg
한국항공우주산업
58 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svg
아모레퍼시픽
59 파일:에코프로머티리얼즈 국문 로고.svg
에코프로머티리얼즈
60 파일:S-OIL 로고.svg
S-OIL
61 파일:HD현대 로고.svg
HD현대
62 파일:맥쿼리 그룹 로고.svg
맥쿼리인프라
63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한화시스템
64 파일:LIG넥스원 CI.svg
LIG넥스원
65 파일:LG생활건강 로고.svg
LG생활건강
66 파일:한진칼 로고.svg
한진칼
67 파일:미래에셋증권 로고.svg
미래에셋증권
68 파일:LG 디스플레이 로고.svg
LG디스플레이
69 파일:코웨이 로고.svg
코웨이
70 파일:삼성카드 로고.svg
삼성카드
71 파일: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로고.svg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72 파일:엔씨소프트 로고.svg
엔씨소프트
73 파일:HD현대미포.jpg
HD현대미포
74 파일:LG U+ 로고.svg
LG 유플러스
75 파일:효성중공업 신로고.svg
효성중공업
◀ 코스피 상위 26위~50위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 현대로템 주식회사
現代로템 株式會社 | Hyundai-Rotem Co.
파일:현대로템 CI.sv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1999년 7월 1일([age(1999-07-01)]주년)
업종명 기관차 및 기타 철도차량 제조업,방위산업
전신 현대차량 주식회사
( 1977년 7월 1일~ 1985년 5월 31일)
현대정공 철도차량사업부
( 1985년 6월 1일~ 1999년 6월 30일)
한국철도차량 주식회사
( 1999년 7월 1일~ 2001년 12월 31일)
주식회사 로템
( 2002년 1월 1일~ 2007년 11월 18일)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유무 상장기업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 2013년~ )
종목 코드 064350
자본금 5,457억 1,146만 5,000원(2023년 기준)
매출액 연결: 3조 5,873억 8,245만 3,000원(2023)
별도: 3조 4,989억 4,289만 8,000원(2023)
영업 이익 연결: 2,100억 4,659만 4,000원(2023)
별도: 2,052억 7,935만 1,000원(2023)
순이익 연결: 1,567억 7,897만 8,000원(2023)
별도: 1,666억 5,364만 7,000원(2023)
자산 총액 연결: 5조 2,414억 8,477만 5,000원(2023)
별도: 5조 1,529억 6,265만 3,000원(2023)
부채 총액 연결: 3조 5,945억 861만 9,000원(2023)
별도: 3조 5,329억 2,971만 9,000원(2023)
부채 비율 연결: 218%(2023년 기준)
별도: 218%(2023년 기준)
직원 수 3,889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대표이사 이용배
모회사 현대자동차
주요 주주 현대자동차: 33.8%
국민연금공단: 7.7%
(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회사 로템SRS
에스트랜스
김포골드라인SRS
메인트란스
기타 자회사 목록 보기
Hyundai Rotem USA Corporation
Rotem Equipments (Beijing) Co., Ltd.
Hyundai EURotem Demiryolu Araclari Sanayi ve Ticaret A.S
Hyundai Rotem Brasil Industria E Comercio De Trens Ltda.
HYUNDAI ROTEM COMPANY - HYUNDAI EUROTEM Demiryolu Araclari SAN. VE TIC. A.S ORTAK GIRISIMI
HYUNDAI ROTEM - HYUNDAI EUROTEM Mahmutbey Projesi ORTAK GIRISIMI
HR MECHANICAL SERVICES LIMITED
HYUNDAI ROTEM MALAYSIA SDN BHD
소재지 본사 -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37 ( 삼동)
창원공장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488 ( 대원동)[1]
당진공장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북부산업로 1480 (고대리)
삼척지점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언장1길 27, 206호 (교동, 에너지방재지원센터) [2]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로템지회

1. 개요2. 역사
2.1. 기원2.2. 창립
3. 지배 구조4. 역대 로고5. 역대 대표이사6. 사업
6.1. 철도 운영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2022년 담합 적발7.2. 남성혐오 논란
8. 제품 목록
8.1. 철도
8.1.1. 철도 차량
8.1.1.1. 전동차
8.1.1.1.1. 국내용8.1.1.1.2. 수출용
8.1.1.2. 자기 부상 열차8.1.1.3. 노면 전차8.1.1.4. 디젤 동차8.1.1.5. 기관차8.1.1.6. 객차
8.1.2. 철도 서비스
8.2. 방산
8.2.1. 군 관련 생산품
9. 노동조합 현황10. 여담
10.1. 지멘스 매각설(사실무근)

[clearfix]

1. 개요

Creative Innovation for a Better Future
현대로템(주)의 캐치프레이즈
<nopad> <nopad>
▲ 현대로템(주) 지속가능한 또 하나의 모빌리티 ▲ 현대로템(주) 현대로템 탄소중립 로드맵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철도차량 및 플랜트, 방산제품 제작 업체.

크게 철도, 플랜트, 중기(방산)와 같은 3개 사업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역사

2.1. 기원

범 현대 역사상 최초로 철도 차량 사업에 나선 것은 1976년 현대중공업이 철도차량사업부를 발족하면서부터였다. 1978년 현대차량으로 분사됐다가 1985년 현대정공에 합병된 후 한동안 현대정공 철도차량사업부가 맡아 왔다.

2.2. 창립

파일:attachment/현대로템/factory.gif
의왕시 본사 겸 연구소[3]

1997년 외환 위기가 터지면서 추락하던 대한민국 경제를 재편하기 위한 빅딜 1호[4]의 결과로 1999년 7월 1일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의 철도차량 생산 부문을 합친 통합 법인 한국철도차량(주)(영문 명칭 KOrea ROlling Stock, "KOROS")으로 출범한다. 설립 당시에는 세 기업 모두가 지분을 가지고 있었으나, 2001년 10월 현대자동차그룹에서 대우종합기계 측 지분을 인수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다. 태생 자체가 3사를 짜깁기하여 만들어진 탓에 초반 분위기는 개막장이었으나[5], 대한민국 내 열차 제조 분야를 모두 통합한 탓에 1990년대~2000년대 초까지는 현실적으로 국내 철도차량 분야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군림하였다.

그러나 설립 당시 이름의 영어 약칭 KOROS가 일본어'죽인다(殺す, Kill)'는 뜻이었던 탓에 협력 관계이던 일본 업체들과 문제가 생기고, 일본어를 아는 사람들로부터 나쁜 인상을 받아 2001년 12월 28일에 사명을 Rotem으로 변경했다. Rotem은 Railroad Technology Systems의 약어라고 하나, 당시 근무하던 사람들의 확인되지 않은 뒷소문에 의하면 그냥 어감이 왠지 맘에 들어서 채용한 말이며 Railroad 어쩌고는 나중에 끼워 맞춘 것이라는 소문도 있다. 2004년 우주산업 부문을 현대모비스로부터 양수받았다. 2006년 10월 16일에 한진중공업이 로템 보유 지분을 포기했고 2007년 11월 15일에 현대로템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대 중후반부터는 K-AGT 기반 고무차륜 경전철을 생산하는 우진산전이나 틸팅차량 한빛 200 및 고무차륜 iMax를 개발한 한국화이바, 열차 개조 사업으로 시작하여 슬금슬금 열차 제조 영역까지 발을 넓혀 보려는 TEC를 라이센스 생산했던 SLS 중공업 다원시스, 로윈, 우진산전 같은 경쟁사가 생겨나서 사실상 설립 당시의 독점이 깨졌다.[6]

주로 생산하는 것은 철도 차량과 프레스 장비, 중기(특히 군수 장비, 전차 등)이며 판매 비중은 철도 차량이 제일 크나 실질적인 수익은 프레스 장비와 중기 쪽의 이익률이 더 높다. 탱크 한 대 값이 장난아니게 비싸기 때문이다.

3. 지배 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현대자동차
33.8%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국민연금
7.7%

4. 역대 로고

파일:현대정공 로고.svg 파일:한국철도차량 로고.svg 파일:현대로템 로고(2002).svg 파일:현대로템 CI.svg
1985년 1999년 2002년 2007년

5. 역대 대표이사

6. 사업

파일:external/www.segye.com/20080406000663_0.jpg
▲ 창원 공장[7]

현재 운영 중인 공장은 옛 현대정공에서 이어진 신창원역 근처의 창원공장과 당진공장이다. 창원공장 내부에는 미카형 증기기관차 1대가 실외에 전시되어 있으나, 외부인은 관람할 수 없다. 당진공장은 주로 현대제철의 플랜트 사업을 중시하여 운영되고 있다.

현재 본사인 의왕연구소에는 옛 대우중공업 철도차량 제조부문의 의왕공장도 있었다. 따지고 보면, 이 의왕공장이 현 창원공장보다 역사가 오래 된 곳인데, 전신은 1966년에 설립된 부곡차량이다. 1973년에 부곡차량을 당시 한국기계공업 주식회사가 인수했고, 이 한국기계공업 주식회사가 이후 대우중공업이 된 것이다. 의왕공장은 2005년 11월에 폐쇄되었다. # 공장은 폐쇄되었지만, 이후 2014년경 본관 건물을 15층에서 20층으로 증축 개수하여 2021년 현재는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대부분의 연구소로 사용 중이다.(연구개발본부 소속 의왕연구소)

의왕 연구소 내에 아직 로템의 연구 부서가 꽤 남아 있으며(본관에 중역실 등 본사 고위 부서가 있으며, 본관 바로 앞에 한 개 동 전체, 그 와 연구소 여러 곳에 개발 및 시험 부서가 흩어져 있다. 군수용 차량과 장비를 개발하는, 연구소 타 부서 인원도 출입금지인 곳도 있다.), 규모가 꽤 큰 현대로템 전장품 제작 공장[8]도 있다. 2006년 이전에는 의왕 부지 내에 과거 철도 차량을 제작하고 옮기던 선로도 남아 있었는데, 이후 건물이 새로 들어서고 바닥을 새로 포장하며 거의 다 묻혔기에 과거 철도차량 공장이었던 흔적은 남은 것이 거의 없다. 그래도 연구동 건물 높은 충에서는 바로 앞의 거대한 의왕역과 부곡차량사업소, 코레일 승무원 숙소 전경과 철도박물관 일부, 부곡 물류센터 내의 플랫폼, 뒤로는 오봉역 일부까지 잘 보인다. [9] 현대차 의왕 연구소는 건물이 계속 증축되고 있다.

의왕역에서 약 1km, 걸어서 15분이라는 가까운 거리다. 의왕시 철도 특구에 포함되며, 의왕연구소 근무자는 왕송호수 레솔레 파크의 레일바이크, 집라인, 캠핑장 등 시설 할인이 된다.

한진중공업 부지는 부산 사하구 다대동 370-6 일대에 연 250대 규모의 다대포 공장이 있었다.[10] # 원래는 1996년경부터 상주 청리공단으로 이전할 계획이 있었으나 # 경제위기로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현대로템으로 합병된 뒤 2001년 폐쇄되었다. 철도차량 제조공장이 폐쇄된 이후에도 한진중공업의 일부 사업부문을 담당하는 공장으로 남아있었으나 2017년 매각되어 폐쇄된 후, 현재는 재개발이 논의 중이다. 부산광역시에서는 해양관광개발벨트 계획에 포함하여 재개발을 추진하려 했으나, 소유주들은 주거단지로의 개발을 원하고 있어 갈등이 있다. 2022년 시점까지도 명확한 착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생산 가능하거나 생산 중인 철도 차량은 기관차, 전동차, 디젤동차, 고속열차( KTX, SRT), 노면전차, 경전철, 자기부상열차, 틸팅열차 등이다. 철도 건설용 차량 등 일부 차량은 아직까지 제작한 적이 없다. 세계에서 고속열차를 만드는 몇 안 되는 회사에다가, 생산할 수 있는 열차도 많으므로 그야말로 대한민국에 한해서는 킹왕짱.

남미 쪽 철도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했고[11], 그리스 아테네 지하철 3호선 및 튀르키예 이스탄불 지하철, 캐나다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Canada Line의 모든 전동차를 현대로템에서 생산했다. 이들 전동차를 타보면 패찰에 영문으로 Rotem, Korea라고 쓰여 있다. 2010년 독일 언론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약 10억 유로의 매출을 올려 세계 8위에 올랐다. 7위인 CAF(11억 유로), 9위인 가와사키 중공업(10억 유로)과 큰 차이가 없다. 현재 철도차량의 확실한 선두주자는 Big3라는 봄바르디어, 지멘스, 알스톰 3사[12]이고, 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중공업, 일본차량제조 등 일본 회사와도 꽤 격차가 있지만 그 사이에서도 저렴한 가격과 중국보다 나은 품질을 무기로 나름 2군급으로서의 위치를 굳히며 선전하고 있는 편. 회사 규모에 비해서 공장 규모가 딸랑 창원 공장(년 최대 800량 생산) 하나로 작지만, 철도 차량의 사용 연한이 3-40년 수준으로 길기 때문에 매년 생산 수요가 많은 편이 아니다.

기관차의 경우 8500호대처럼 자체생산하기도 하지만 오이로슈프린터 EMD GT26, GE 파워홀처럼 면허 생산하는 경우도 많다.

한때 철도 동호인에게 자주 까다. 가장 큰 이유는 디자인 철학이 사실상 똑같고, KTX-산천 등 새로 개발한 차량들에서 결함이 많이 발견되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디자인 측면은 로템측에서 선택하는 권한은 없고 발주하는 곳에서 도안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는 잘못된 평가다. 디자인이 비슷하고 맨날 우려 먹는 이유도 최저가 경쟁입찰제의 영향으로 공급단가를 후려치게 되다 보니 기존 부품을 재활용하거나 호환되게 설계 단계부터 원가 절감이 진하게 들어갈 수밖에 없는 것. 인천 도시철도 1호선 2차분 차량부터 수도권 전철 1호선 코레일 신형 차량(통칭 뱀눈이, 동글이),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최신 차량, 경춘선 전동차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이 동일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 투입되는 열차끼리도 디자인이 똑같다. 심지어 품질 문제로 현지에서 갖은 욕을 먹었던 우크라이나 간선형 전동차와 코레일 368000호대 전동차의 디자인도 같고 2003년에 동글이 열차와 거의 똑같다 싶을 정도로 유사한 디자인의 열차를 마닐라 LRT에 수출했던 적이 있다. 게다가 KTX-산천의 결함 및 제작 차량의 결함, SRT 차량 내 심한 진동 등을 이유로 그룹 모회사에 빗대어 흉기 로템이라고 까고 있다.[13] 2015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3차분 입찰에서 다원시스가 낙찰되었던 당시 철갤과 철도 동호회, 철도 동호인들의 반응이 " 풍악을 울려라!"였던 이유도 바로 이것. 콘크리트 내수독점의 붕괴로 경쟁을 통한 품질 향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14]

물론 기업 입장에서는 하나의 디자인을 계속 우려 먹으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최저가 경쟁입찰제 하에서는 이게 유리한 방식이기도 하다. 과거에 열차 전면부를 제작할 때에는 철판을 일일이 용접하고 곡선을 넣기 위해서 수작업으로 공구를 사용해서 휘어 주어야 했으나, 지금은 금형 하나를 만들어 놓고 거기에서 계속 찍어내면 되기 때문이다. 디자인을 바꾸려면 금형을 새로 만들어야 하지만 국내 차량의 금형비가 '최소' 2억, 단순히 유선형으로 찍어내도 7-8억이 넘게 들어가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으로 찍어내려면 신차 구매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차량 편성당 가격이 내수 차량은 8~10억, 수출 차량은 15~28억 정도이며, 최대한 원가 절감을 위해 가능한 기존 금형을 수정해서 이용하기 위해 디자인이 비슷해지고 있다. 한 번 취역하면 20-30년간 굴리는[15] 수명이 매우 긴 (=같은 디자인의 차량이 수십 년을 돌아다닌다는 뜻.) 철도 차량의 특성 때문이기도 하고. 가까운 예로는 EMD의 기관차를 보면 된다. 소유 회사가 여러 번 바뀌었음에도 40년 전 것이나 최신형이나 딱 보면 그 회사 것이라 알 수 있을 만큼 비슷하다. 그렇다고 욕하는 사람도 없다. 사실 고속 열차를 제외한 철도 차량의 전기, 기계적 기술은 적어도 60여년 전에 완성되었다. 이후에는 안전 장치가 들어가고 디스플레이, 조종 장치, 신호 체계와 연동하는 제어 장치가 디지털 기반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기본적인 기계, 전기 부분은 더 바꿀 이유가 없고, 같은 디자인, 구조의 차량을 오래, 많이 생산할수록 그 부품 단가는 더욱 떨어지므로 원가 경쟁력은 더 높아진다.

그러나 2024년 현재는 다원시스 ITX-마음 전동차 서해선 전동차의 납기를 1년이 넘도록 지연시킨 데다 납기한 전동차 또한 각종 결함을 보였고, 중국제 부품에 의존하는 등 여러 결함을 보였으며, 우진산전 또한 여러 전동차의 납기를 지연시킨 데다 1호선 코레일 전동차가 지속적인 결함을 일으키면서 다시 재평가되는 분위기이다. 반대로 디자인으로 까였던 로템의 2호선 VVVF 4차분 전동차는 량당 8.2억원의 단가 후려치기에도 불구하고, 성능에서는 다원시스 3차분보다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는 점 덕분에 좋은 쪽으로 재평가를 받고 있다. # 위에서 지적받았던 디자인 문제 또한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인한 CEM 의무 적용 때문에, 코레일과 서울교통공사 둘 다 전동차 디자인이 변경되면서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최저가 경쟁입찰제로 후려치는 내수용 차량의 원가절감과 비싸게 파는 수출용 차량의 좋은 질은 여전히 대비되지만, 근본적인 원인이 현대로템이 아닌 최저가 경쟁입찰제다 보니 대부분은 이해하는 반응이다. 특히 이 문제는 철도차량 3사 경쟁체제가 걸려 있다 보니 더욱 해결이 어려울 전망이다. 실제로 한국철도공사가 최저가 경쟁입찰제의 문제점을 인지했는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신차를 도입할 때 시범적으로 최저가 경쟁입찰제가 아닌 기술평가를 포함해 여러가지 항목을 정해 평가하는 종합심사 낙찰제를 적용했고 현대로템이 낙찰받았는데, 우진산전과 다원시스는 자신들의 기술력으로는 이길 수 없는 대기업 현대로템만을 위한, 정부가 나서서 중소기업 죽이는 정책이라며 반발하였다. 그러나 대량수송을 하는 철도운송에서 기술력은 곧 국민의 편의와 안전과 직결된다. 지속적으로 문제를 일으켰음에도 기술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내놓기는 커녕 자신들이 약자라는 이유만으로 대기업과의 불공정만 부르짖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런 회사들은 입찰 제재를 받고 망해야 정신차리는데

철도 차량 3사 경쟁 체제로 다시 돌아간 현재는 KTX-청룡의 소음 문제로 인한 재설계 등 새로 개발한 차량에서 결함은 존재하지만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준고속 이상 철도 차량을 제작할 능력과 기술을 가진 유일한 철도 차량 업체라는 점에서 철도 동호인에겐 여러모로 애증의 관계다.

이후 우즈벡 아프로시욥 KTX-이음급 열차 7량 6편성(42칸)을 도입하게 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한국 철도 역사상 최초의 고속철도차량 해외 수출이다. 낙후 지역인 카라칼팍스탄에 교육용 컴퓨터를 지원해주기로 하는 등, 한국-우즈베키스탄 관계 증진에도 같이 힘을 쏟고 있다. #

2024년 9월 9일, 현대로템이 개발한 수소전기트램의 상세 제원을 알 수 있는 공식 홈페이지를 공개했다. 기사 공식 홈페이지

수소전기트램은 1회 수소 충전으로 150㎞ 이상 달릴 수 있으며 충전에 필요한 시간은 약 15분 정도이다. 기존 배터리 방식의 트램이 1회 충전으로 20㎞ 이내로만 달릴 수 있고 충전에 1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편리성이 뛰어나다.
또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해 동작 과정에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공기정화 효과가 있으며, 주행에 필요한 전력을 직접 생산해 전력 공급을 위한 별도의 전차선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설계 최고 속도는 시속 70㎞이며, 열차를 이끄는 회전식 구동대차와 고정식 부수대차 등 5개 모듈로 구성된다. 수소 탱크 확장을 통해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고 최대 승차 인원은 300명 이상이다. 인포그래픽

수소전기트램은 지난 2023년 10월 울산에서 성능 검증을 완료했다. 오는 10월부터 대전 도시철도 노선 공사를 시작하고 2028년 12월 중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기사

6.1. 철도 운영

2020년대 들어 자회사로 철도 운영에 발을 뻗고 있다.[16]

7.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IMG_2946.jpg
파일:HRCS2-004_разъезд_328_км_07-2016.jpg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6818194169_5878908177_b.jpg
파일:KTX-청룡 602.jpg

7.1. 2022년 담합 적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철도운영기관 발주 철도차량 입찰담합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남성혐오 논란

르노코리아 남성혐오 표현 사용 논란이 발생한 지 1개월도 안 되어, 2024년 7월에 현대로템 의왕 전장품 공장에서 남성 혐오를 뜻하는 ‘ㄷ’ 자 손모양이 담긴 안전 관리 포스터가 발견됐다. 포스터 속 인부는 사고와 동시에 안전모 옆에 ‘ㄷ’ 모양의 손짓을 취하고 있다. 포스터는 외주 업체에서 제작되었으나, 이를 제공한 업체도 손짓의 뜻을 몰랐다고 한다. 이를 인지한 현대로템 측은 즉각 삭제 조치를 내려 일단락 됐다.

8. 제품 목록

8.1. 철도

8.1.1. 철도 차량

녹색 글씨는 현대정공 시절에 제작된 차량이다.
8.1.1.1. 전동차
8.1.1.1.1. 국내용
8.1.1.1.2. 수출용
8.1.1.2. 자기 부상 열차
8.1.1.3. 노면 전차
8.1.1.4. 디젤 동차
8.1.1.5. 기관차
8.1.1.6. 객차

8.1.2. 철도 서비스

8.2. 방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방위산업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svg 파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 화이트.svg
파일:한화오션 CI.svg 파일:한화오션 CI_다크모드.svg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세로.svg 파일:현대로템 CI.svg 파일:현대로템 CI 화이트.svg
파일:현대위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LIG넥스원 CI.svg 파일:LIG넥스원 로고 화이트.svg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svg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로고.svg 파일: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로고 화이트.svg 파일:SNT모티브 CI.svg
파일:SNT다이내믹스 CI.png
파일:풍산그룹 CI.svg
※ 그룹 내 방산 계열사 시가총액 총합이 1조원 미만인 방위산업체는 문서 참고 }}}}}}}}}



파일:external/www.donga.com/200902060503.jpg

전차()뿐만 아니라 전차()도 만드는 방위산업체다. 주로 ADD가 개발하면 현대로템이 생산을 담당하는 식이다.

국내 라이벌 업체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있다. 말이 라이벌이지 협력하는 분야도 적지 않은 편. 차륜형 장갑차 사업에서 피튀기는 경쟁을 하고 있다.

사실상 대한민국 유일의 전차 제작 업체이다.

공장이 창원시에 있어 한국전쟁 발발 시 창원이 서울 다음으로 폭격당할 이유로 지목받고 있다고 한다. 물론 가능성은 낮다.

현대로템 창원공장 중 일부는 진해선이 지나가는 곳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어 창원시 의창구, 성산구, 진해구에 볼 일이 있어 갈 때 보면 보인다.

종종 진해선 신창원역~ 창원역사이나 해당 역으로 가면 선로 위에 전차들이 줄 지어 지나가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34]

8.2.1. 군 관련 생산품

9. 노동조합 현황

10. 여담

플랜트부문은 제철설비, 시멘트설비, 물류설비, 발전설비, 환경설비, 프레스, 자동차생산설비, 공항설비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현대자동차의 플랜트 부문은 유지, 보수의 개념이고 현대로템은 시공의 개념으로 보면 된다.

자동차 생산설비 같은 경우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포드, GM, 테슬라 등에 공급하고 있다. 원래는 현대차, 기아차 등의 그룹내의 일감이 많았지만 점차 해외기업의 일감 비중을 늘리고 있다.

의장 도장 차체 등 거의 모든 자동차 생산라인의 제작이 가능한 세계에서 몇 없는 업체이다.[36]

광주형 일자리로 잘 알려진 광주글로벌모터스의 의장 공장 생산 설비를 만들어 설치하기도 했다.[37]

현대자동차그룹이 그룹 스스로 제철부터 제작, 판매까지 전 부문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것에 크게 기여한다. (현대차그룹은 제철에서부터 시트, 내비게이션, 전자, 전기, 신호, 운영체계, 부품, 플랫폼, 엔진, 미션, 광고, 건설[38], 물류, 중고차 등 자동차에 관한 전 분야에 계열사를 두고 있다.)

항만에서 사용되는 대형 기중기, 계열사인 현대제철이나 현대하이스코 공장 내부에서 가동되는 천장 크레인이나 TLC 같은 특수철도 차량, 공항 내에 설치되어 있는 탑승교 또한 이 회사에서 제작한다. 심지어 인천국제공항에 있는 항공기 탑승 시설( 보딩 브릿지)도 이 회사의 작품이라 하니... 제주국제공항에 쓰이는 탑승교도 로템제 제품이다. 탑승교뿐만이 아니라 수하물 컨베이어 시스템도 제작한다. 현대제철에서 가동되는 천장 크레인의 경우 신형 크레인의 경우는 대부분 로템 제품이다. TLC[39]의 경우에는 현대위아와 공동으로 제작/관리를 맡고 있는 듯.[40] 그 외에도 정수처리시설과 폐수처리시설도 구축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당진공장에 있는 구형 크레인은 한보 철강 시절에 도입된 기종으로 우성, 경도 제품이 많다.

제작 중인 건 아니지만, 강화복이나 견마형 로봇 등도 연구 중이라고 한다. 현대차는 보행형 로봇 기술의 선두 주자인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했다. 기술 개발을 같이 하고, 제조를 로템에서 할 가능성도 다분하다, 군납에 노하우가 있는 기업이다 보니 상당히 유리하다.

여기 덕분에 전동차가 기계중 유일하게 창원시 특산물에 이름을 올렸다.

2013년 기업공개를 추진하였으며, 주식시장 상황이 워낙 나빠서 CJ헬로 같은 데도 실권주가 넘쳐난 판에 현대로템이 무사히 주식시장 상장을 할 수 있을지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으나, 2013년 10월 30일에 예정대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이 되었다. 우려와 달리 첫날부터 상한가로 시작하며 화려하게 출발하였으며, 포털 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도 오를 정도로 관심을 끌었다.

2016년 초 대구 도시철도 지하역의 스크린도어 설치 수주를 따냈으나, 불법 하도급 비리 의혹에 휘말려 말이 많은 편이다.

한편 2018년 남북 정상 회담으로 인해 철도 연결 등으로 인한 기업 성장이 기대되자 네이버 실검 10위권을 돌파하고 주식은 20% 이상 상승하는 등 상당한 수혜를 입었다.

철도차량과 전차를 함께 제조한다는 점으로 인해, 현대로템의 주식은 남북경협주이자 방산주라는 유일무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철도 테마주라는 편견과는 달리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북한 이슈가 터질 때마다 주가가 오른다. 남북관계가 좋아지면 북한 철도 사업에 대한 기대가 반영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국군의 군비 확대에 대한 기대가 반영되는 식이다. 그래서인지 2024년 8월 현재 47,000원까지 올랐다.

차기 사업으로 수소 충전소와 자율주행차량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2021년 10월 6일 강원도청에서 도지사, 삼척시장, 대표이사가 함께 액화수소산업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2020년 6월 9~10일, 기존 주주들을 대상으로 2,4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

2023년 우크라이나가 피난민 수송 공로로 감사패를 수여했다. # 우크라이나에서 도입 직후 논란이 되었던 그 열차로 10년이 지나 설욕하게된 셈이다.

10.1. 지멘스 매각설(사실무근)

2021년 4월에 갑자기 현대로템이 지멘스에 매각된다는 루머가 올라왔다. 결론부터 말하면 매각할 이유도 없고 무엇보다 현대가 마음대로 매각할 수도 없다.

고속철도차량분야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이라 매각 시 산업부 장관의 허가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방산 분야를 포함한 회사의 경영권이 넘어가는 주식 매매의 경우 방위사업청의 허가도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와 협의 없이는 매각이 불가능하다. 상식적으로도 방위산업 관련 기술은 국가에서 엄중히 관리하는 특급 기밀이고, 지금 당장 주력 전차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기업은 현대로템 밖에 없다. 군사장비와 고속철도시스템이라는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고부가가치의 고급기술을 두 종류씩이나 가진 기업을 고스란히 외국에 내주는 것을 방관할 정도로 한국 정부가 생각이 없지는 않다. 어차피 전차나 장갑차는 내수 노후교체/정비 수요만으로도 꽤 돈이 되는데 대한민국의 기갑/포병 장비 수량은 군 인원 당 세계 최대이다. 내수를 제외해도 한국이 만들어 전 세계를 상대로 상당한 외화를 벌어들이는 효자 상품을 경쟁자인 외국에 팔 이유가 없다.

당시 현대로템은 2018년 1962억원 적자, 2019년 2799억원 적자를 보면서 재무구조가 급속히 악화되는 상황이었기에 나온 루머였다. 연구개발과 제조 시설 확충에 투자가 엄청나게 되던 때이니, 매출액이 많아도 적자가 될 수밖에 없었던 시기였다. 2020년부터 부실을 정리하고 흑자 전환을 한데다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으로 K2 전차 수출 4조 4992억원을 계약하면서 최근 매출액의 156.6%에 달하는 대박이 나면서 더더욱 가능성이 없어졌다.
[1] 상법상 본점 [2] 액화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2021년 7월 15일 설치되었으며 7월 23일부로 법인 등기부에 정식 등록되었다. 또한, 2021년 10월 6일 강원도청에서 도지사, 삼척시장, 대표이사가 함께 액화수소산업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3] 기존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사옥에서 이전함. 본 건물 디자인은 양재 본사와 흡사하다. [4] 2호는 KAI이다. [5] 사내(社內)에서 현대 출신, 한진 출신, 대우 출신 간의 편가르기와 알력 다툼이 상당히 심했다. [6] 다만 SLS중공업은 파산했고, 로윈은 다원시스에 인수합병되었다. 그리고 한국화이바는 현재 이렇다할 철도차량을 생산하지 않고 있다. [7] 공식 홈페이지에서 본사는 의왕시라고 기재했지만, 상법상 본점은 창원시다. 로템 사이트에서도 본점 소재지라고 표기한 상태. [8] 추진제어용 VVVF 인버터, SIV, 견인전동기 등을 만드는 곳. 다만 이곳에서 로템제 전장품을 모두 만드는 것은 아니고, VVVF 인버터나 SIV는 주로 경기도 군포에 위치한 협력업체인 브이씨텍에 생산을 위탁하기도 한다. [9] 의왕연구소 구내에 잘 찾아 보면 화단에 뜬금없이 레일이 꽂혀있는 곳 정도는 있다. [10] 당시 다대포공장에는 인입선이 없어 만들어진 열차를 배를 통해 부산항으로 운반 후, 부산항 인입선을 통해 부산역을 거쳐 회송했다고 한다. [11] 다만 남미 쪽에는 멕시코시티 도시철도처럼 언어적으로 동질감이 있는 스페인의 CAF가 수주한 것이 많아서 현대로템의 진출에 어려움이 있다. [12] 빅3 중 가장 낮은 매출을 올린 지멘스는 2배에 가까운 22억 유로로 세계 5위.(1위, 3위는 중국 회사였다. 2위와 4위는 각각 봄바르디어와 알스톰.) [13] 다만 KTX-산천의 초기 잦은 결함은 짧은 시운전 기간 때문이 더 컸다. SRT는 선로 문제 원인도 있었다. [14] 실제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4차분에서 2차분 대비 대격변에 가까운 내/외관 변경이 이루어져 철도 동호인들한테서 매우 좋은 반응을 받은 바 있다. [15] 우리 나라의 차량 연한이 그렇다. 개발도상국이나 빈국의 경우에는 기관차도 30년 이상, 객차, 화차 같으면 60년 이상 되어도 잘만 굴린다. 국내에서 쓰다 25-30년의 내구 연한이 다 차서 퇴역한 차량을 그런 나라에 중고로 수출하면 거기서 또 수십 년을 굴린다. [16] 메인트란스는 차량 유지보수만 하므로 서술하지 않음. [17] 스코다 트랜스포테이션. [18] 현대로템 기술력이 확실히 중국보단 뛰어난 기술력이고 차체도 튼튼하지만 꽤 발생하는 결함들이다. 물론 이건 가와사키 차량같은 외국기업에도 해당된다. [19] 원본은 일리야 레핀의 '볼가 강의 배 끄는 인부들'(Бурлаки на Волге)이다. [20] 당시에는 로윈과 다원시스의 컨소시엄으로 참가했다. 그리고 2017년 2월에 두 회사가 합병하여 통합 다원시스로 발족했으며, 2호선 신차는 김천공장에서 출고됐다. [21] 한국철도공사는 2018년 이전까지 다원시스를 완성차 업체로 인정하지 않아, 주로 화차를 도입하거나 전동차 불연재 개조만 다원시스에 맡겼다. 그러나 2018년 다원시스 ITX-마음을 수주했으며, 2020년에는 우진산전도 1, 3호선 전동차 대차분을 수주했다. [22] 어천고속연결선 등의 선로가 있어도 운행할 KTX 열차가 없기 때문. [23] 라이센스 제작 편성 한정
013~046호기(1C1013~ 1C1046편성)
[24] 상기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르비우 - 키이우 노선 등에서 피난민 수송 열차로 활약하고, 한국인 기술진들이 우크라이나 국내에 남아 정비 지원을 계속했다고 한다. 출처 [25] ITX-새마을차량을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다 # 경춘선 2차분 갑종회송 당시 신창원역에서 목격되었다. # [26] 뉴사우스웨일스주 교통국 [27] 지멘스 오이로슈프린터 ES64F 모델 라이선스 생산. [28] EMD 엔진 사용. 차체는 현대정공에서 자체적으로 설계한 것이다. [29] EMD GT26CW 라이선스 생산. [30] GE 파워홀 라이센스 생산. [31] EMD 설계 및 엔진 사용. [32] EMD제 GT38ACL을 한국에서 생산해 판매한 분량이다. [33] 2002~2003년 생산분 [34] 대부분은 육군종합정비창을 오가는 열차들이다. [35] 2012년에 개발기업으로 선정되었다. [36] 모기업이 현대자동차그룹이다. 전동차/객차와 공통되는 부분이 아주 많으며 수많은 협력업체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로템은 디자인 부서를 갖고 있으나, 현대자동차그룹의 거대 부품 업체인 모비스에는 디자인실이 따로 있다. [37] 이러한 생산 설비 기술은 결코 만만한 것이 아니다. [38] 현대건설은 기술로는 이 분야의 일인자이다. 남북경협이 잘 풀려 북한에 철도가 들어간다면 로템이 차량을 만들고, 현대건설이 철로를 놓게 돨 수도 있다. [39] Torpedo Laddle Car, 고로에서 뽑아낸 쇳물을 담아서 제강공장까지 실어나르는 특수철도차량. 이거 없으면 제선->제강 공정이 많이 힘들어진다 포항제철 내부에 선로가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이유. [40] 근데 다리 만드는데도 참여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