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20:33:15

현대건설

현건에서 넘어옴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color:#ffffff,#000000;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2c5f; 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c83><colcolor=#ffffff> 그룹사
완성차 현대자동차 ( N · 아이오닉) · 제네시스 · 기아
제조업 현대제철 ( 현대ITC · 현대IMC · 현대ISC · 현대IFC · 현대스틸파이프 · 현대IEC) · 현대비앤지스틸 ( 현대첨단소재 · 현대머티리얼) · 현대종합특수강 · 현대로템
건설 현대건설 · 현대엔지니어링 ( 현대 테라타워) · 현대스틸산업 · 현대도시개발
부품 현대모비스 · 모트라스 · 유니투스 · 현대트랜시스 · 현대위아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 · 현대엠시트 · 현대케피코 · 현대아이에이치엘 · 현대파텍스 · 에이치그린파워 · HTWO
금융 현대카드 · 현대캐피탈 · 현대커머셜 · 현대차증권
기타 광고 이노션 | IT 현대오토에버 · 지아이티 · 포티투닷 · 모셔널 | 로봇 보스턴 다이내믹스 | 물류 현대글로비스 · 지마린서비스 | 가스 그린에어 | 철도 메인트란스 · 동북선도시철도 · 로템SRS · 에스트랜스 · 김포골드라인SRS | 도로 울산하버브릿지 · 화성도시고속도로 | 전기차 충전소 E-pit | 산학 협력 현대엔지비 | 호텔 해비치 호텔&리조트 ( 제주) | 농업 현대서산농장 | 항공 슈퍼널
해외 지사 기아기차유한공사 · 화치 · 베이징현대 · 현대상용차 · 럭키 자동차 · 현대트랜스리드 · 베링 트럭(폐지)
합자 법인 쓰촨현대 · 치도 · 다임러 현대 상용차 주식회사(폐지) · GEMA(폐지) · HLI그린파워
그룹사 외
사회 공헌 해피무브 글로벌 청년봉사단
스포츠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 · 현대 모터스포츠 · 현대 N 페스티벌 · 현대 양궁 월드컵 · 현대자동차 정몽구배 한국양궁대회
시설 신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 | 연구소, 연수원 남양연구소 · 의왕연구소 · 환경기술연구소 · 현대자동차그룹 인재개발원 · 현대인재개발원 · 글로벌상생협력센터
현대자동차 공장 울산 · 아산 · 전주 · 튀르키예 · 인도( 첸나이) · 중국 · 앨라배마 · 체코 · 러시아 · 브라질 · 인도네시아 · 에티오피아 · 기아 오토랜드 광명 · 화성 · 광주 · 조지아 · 질리나 · 몬테레이 · 아난타푸르 · 럭키 자동차 · 쿤디나마르카 · ADM-지자흐 · 옌청 · 기타 시작 공장 · 동희오토 · 광주글로벌모터스 ·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자동차 전시장 현대 모터스튜디오 · KIA 360 · 제네시스 전시장 · N 시티 서울 | 자동차 정비소 현대 블루핸즈 · 오토큐 | 자동차 충전소 현대 EV 스테이션 강동 | 기타 HMG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센터 · 케이-시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대 건설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삼성물산 로고.svg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우건설 CI.svg 파일:현대엔지니어링 로고.svg 파일:DL E&C 로고.svg 파일:DL E&C 로고 화이트.svg
파일:GS건설 로고.svg 파일:GS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포스코이앤씨 CI.svg 파일:포스코이앤씨 흰색 CI.svg 파일:롯데건설 로고.svg 파일:SK에코플랜트 로고.svg 파일:HDC 현대산업개발 CI.svg
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svg 파일:한화 건설부문 로고_White.svg 파일:호반건설 CI(영문+국문).svg 파일:DL건설 CI.svg 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 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 파일:제일건설(주) CI.svg 파일:제일건설(주) CI 화이트.svg
파일:중흥토건 로고.svg 파일:중흥토건 로고 화이트.svg 파일:계룡건설산업 CI.svg 파일:계룡건설산업 CI 화이트.svg 파일:서희건설 로고.svg 파일:코오롱글로벌 로고.svg 파일:금호건설 CI.svg
파일:아이에스동서 CI.svg 파일:동부건설 로고.svg 파일:대방건설 CI.svg 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 파일:태영건설 로고.svg 파일:KCC건설 로고.svg 파일:KCC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쌍용건설 로고.svg 파일:쌍용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우미건설 로고.svg 파일:한신공영 로고_상하.svg 파일:반도건설 로고.svg 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 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svg 파일:HL디앤아이한라 영문 로고 화이트.svg
}}}
||<-3><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0,#fff><color=#fff,#000> 도급순위가 산정되지 않는 공기업 ||
파일:한국토지주택공사 CI.svg 파일:서울주택도시공사 로고.svg 파일:경기주택도시공사 로고.svg
※ 본 틀은 매년 도급 순위(=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개 건설사를 등재한다. 매년 순위는 당해 8월 1일에 발표해 이듬해 7월 말까지 적용하며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다. 단, LH와 SH, GH는 순위에 포함되지 않으나 인지도를 고려해 본 틀에 등재한다.
}}}}}} ||


<colbgcolor=#00a650><colcolor=#fff> 현대건설 주식회사
現代建設 株式會社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창립일 1947년 5월 25일([age(1947-05-25)]주년)
법인 설립일 1950년 1월 10일
전신 현대토건사
대표이사 윤영준
업종명 종합 건설업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유무 상장기업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 1984년~ )
편입 지수 코스피 지수
KRX100
KOSPI200
종목 코드 000720 (보통주)
000725 (우선주)
자본금 5,620억 5천 2백만 원(2022)
매출액 21조 2,390억 8천 2백만 원(2022)
영업 이익 5,749억 2백만 원(2022)
순이익 4,708억 7천 6백만 원(2022)
수주 35조 4,257억 원(2022.12.)
직원 수 6,902명(2022.12.)
도급 순위 2위(2024)
브랜드 힐스테이트, 디에이치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75 ( 계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newsroom.png 뉴스룸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국문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영문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역사
3.1. 지배 구조
4. 역대 로고5. 역대 임원6. 역대 사옥7. 현황
7.1. 시공능력평가 순위7.2. 국내 사업7.3. 해외 사업
7.3.1. 동남아시아7.3.2. 중동7.3.3. 아메리카7.3.4. 아프리카7.3.5. 기타
7.4. 특정 분야 사업
7.4.1. 넷제로 로드맵7.4.2. 원자력 발전소7.4.3. 브랜드 아파트
8. 스포츠단9. 관련 문헌10. 여담

[clearfix]

1. 개요

현대자동차그룹 산하의 건설사.

2. 상세

대한민국의 대표 건설사로, 2023년 기준 대한민국 건설업 Big 5에 해당한다.[1]

현대건설의 역사가 곧 대한민국 건설 산업의 역사일만큼 수많은 국내 최초 기록들로 국내 건설사의 맏형/큰형님으로 불린다.[2]

정주영 회장이 범현대가를 일으킨 모체 기업으로, 범현대가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기업이다. 왕자의 난 이후 현대자동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2011년 그 적통을 차지하게 되었으며[3],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가 되며 건설사들 중 탄탄한 자본력과 신용등급을 갖게 되었다.[4]

K건설의 위상을 보여준다. 해외진출의 선봉에 서 왔고, 중동과 동남아 지역에서 강세를 보인다. 후술하는 지역별 사업 문단 참고.[5]

K원전의 대표주자다. 후술하는 분야별 사업 문단 참고.

3. 역사

1947년 5월에 이 회사의 전신인 현대토건사가 세워지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주식회사가 아니었고, 1950년 현대자동차공업사[6]와 합병해서 주식회사로 전환, 현재의 현대건설이 되었다. 6.25 전쟁 당시 미군 숙소 등을 지으며 세를 확장하기 시작하여, 한강 인도교, 경부고속도로, 소양강댐, 고리 원자력 발전소 등을 지으면서 급성장했다. 1955년 현대상운을 합병한 후 1958년 충북 단양 석회석광을 사서 1964년 시멘트공장을 세워 시멘트제조업도 했다. 1965년에는 태국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를 따내어서 대한민국 건설업계 최초로 해외건설공사를 수주한 회사가 되었다. 1967년 단양 시멘트공장을 현대시멘트로 분리했다.

자타공인 이 회사의 역작은 1970년에 개통한 경부고속도로. 태국 고속도로 시공 경험 덕분에 경부고속도로 건설에 참여한 시공사들 중에 가장 많은 공구를 따내게 된다. 1976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주베일 산업항 공사를 따냈는데, 참고로 사우디 산업항 공사로 벌어들인 돈은 9억 3,000만 미국 달러로, 당시 대한민국 정부예산의 절반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액수였다고 전해진다. # 지금으로 치면 사업 하나 성공해서 250조를 벌어온 격. 그 외에 1971년 현대콘크리트를 합병한 후 1973년 조선사업부를 현대중공업으로, 1974년 기술사업부를 현대종합기술개발[7], 1976년 관악석산/주택사업부/콘크리트사업부를 한국골재개발/한국도시개발[8]/벽제콘크리트[9]로 각각 분사시켰다. 뒤이어 1977년 가구사업부를 금강목재공업, 1987년 알루미늄 사업부를 현대알루미늄, 1989년 중기사업부를 현대중기산업으로 각각 독립시켰다. 1999년 현대엔지니어링까지 합병하고 주상복합 브랜드 '하이페리온'과 아파트 브랜드 '현대 홈타운'을 각각 런칭했다.

빛이 있으면 어둠이 있듯, 1973년 1차 오일쇼크를 계기로 1975년 중동에 진출했고, 특히 이라크에서 많은 공사를 수주했는데 1990년 걸프전이 발발하고 이라크가 경제제재를 당하면서 1조원 이상의 공사대금이 미수금으로 남게 된다.[10] 이는 2005년에야 이지송 사장이 전체의 80%를 탕감하고 나머지 20%(6억 8,130달러)만 받는 걸로 끝맺음했다. #

거기에 1997년 외환위기 이후의 수주/분양 부진 등 수익성 악화까지 겹쳐 2000년 2조 9천 8백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면서 부도를 냈다. 하지만 다행히 그해 11월 1일 어음을 갚으면서 최종부도는 면했다. 같은 시기 2000년 왕자의 난으로 정주영 명예회장이 은퇴한 후 2001년에 정몽헌 회장은 경영권을 포기하고, 채권자들의 출자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관리했다. 그 후 워크아웃 절차를 밟으면서 엔지니어링사업부를 현대엔지니어링, 철구사업부를 현대철구(현 현대스틸산업), 영농사업부문을 현대서산농장으로 분리시키는 등 구조조정을 이행하여, 2006년 5년 2개월 만에 워크아웃을 조기졸업했으며 같은 해 IT기획부를 현건C&I로 분리시켰다. 2007년 현대서산농장 영빈관 옆에 '아산연수원'을 열었고 국내 최초의 기업도시 '태안기업도시'를 착공했다.

2010년 9월, 긴 워크아웃을 졸업한 현대건설 인수전이 열렸는데, 정주영 회장의 적통 계승의 상징성이 있다보니 다시금 대결이 일어났다. 정몽헌 회장 집안의 현대그룹이 더 높은 인수가격을 불러 우선협상대상자가 되었으나, 자금 조달능력에 의문이 제기되어 철회되었다. 2011년 4월, 정몽구 회장의 현대자동차그룹이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둘을 인수하게 되었다. 2014년 4월,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엠코를 합병했는데, 이로써 현대자동차그룹 산하에서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의 사업영역이 다소 겹친 채 공존한다. 2023년 기준 대략 현대건설은 토목/건축/주택/플랜트/에너지 쪽,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건축/인프라/자산관리 쪽이다.

3.1. 지배 구조

<rowcolor=#ffffff>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현대자동차
20.9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현대모비스
8.7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기아
5.24%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국민연금
8.46%
2024.03.31 기준

4. 역대 로고

現代土建社 파일:현대 심볼.svg
<rowcolor=#ffffff> 1947년 1957년 ~ 현재

5. 역대 임원

1947~1987년 정주영 창업주의 친정 시기, 1988~2000년 회장 체제, 2001년 이후 사장 체제[11]의 3단계로 나눠볼 수 있다.

6. 역대 사옥

파일:1961무교동.jpg
1961년 무교동 사옥[16]
파일:1976 세종로.jpg
1976년 세종로 사옥[17]
파일:1983 계동.jpg
1983년 계동 사옥[18][19]

7. 현황

2020-2022년 평균 연 매출비중 기준, 지역별로 국내 63.5% : 해외 36.5%, 분야별로 건축-주택 55.5%[20] : 플랜트-전력 26.0% : 토목 12.1% 순이다.

7.1. 시공능력평가 순위

<rowcolor=#fff> 연도 시공능력평가 순위
<colcolor=#fff><colbgcolor=#00a650> 1965년 <colbgcolor=#fff,#1f2023> 1위
1969년 1위
1970년 1위
1971년 1위
1972년 1위
1973년 1위
1974년 1위
1975년 1위
1976년 1위
1977년 1위
1978년 1위
1979년 1위
1980년 1위
1981년 1위
1982년 1위
1983년 1위
1984년 1위
1985년 1위
1986년 1위
1987년 1위
1988년 1위
1989년 1위
1990년 1위
1991년 1위
1992년 1위
1993년 1위
1994년 1위
1995년 1위
1996년 1위
1997년 1위
1998년 1위
1999년 1위
2000년 1위
2001년 1위
2002년 1위
2003년 1위
2004년 2위
2005년 3위
2006년 3위
2007년 4위
2008년 3위
2009년 1위
2010년 1위
2011년 1위
2012년 1위
2013년 1위
2014년 2위
2015년 2위
2016년 2위
2017년 2위
2018년 2위
2019년 2위
2020년 2위
2021년 2위
2022년 2위
2023년 2위
2024년 2위

7.2. 국내 사업

7.3. 해외 사업

현대건설은 1965년 이후 2023년 4월 기준 62개국 881건의 글로벌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그 중 대표 사례를 정리한다.

7.3.1. 동남아시아

7.3.2. 중동

7.3.3. 아메리카

7.3.4. 아프리카

7.3.5. 기타

7.4. 특정 분야 사업

현대건설은 토목 건축 플랜트 에너지 주택 등을 사업 분야로 해 왔다. 건설 전 분야를 아우르는 Total Solution Creator를 목표로 EPC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상풍력, 소형모듈원전(SMR), 수소 생산기지,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전력중개거래사업 등 관련 기술을 확보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7.4.1. 넷제로 로드맵

현대건설은 ‘2050 글로벌 그린 원 파이오니어(Global Green One Pioneer)’로 도약하고자 친환경 경영전략과 목표를 수립하고, 2022년 10월 26일 ‘2045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또 관련 비전을 담은 보고서 < Global Green One Pioneer: Net Zero by 2045>를 발표했다.
파일:G-OPIS.jpg
현대건설 탄소중립 추진전략은 ‘G-OPIS’로 요약할 수 있다. 출처-현대건설 홈페이지

7.4.2. 원자력 발전소

7.4.3. 브랜드 아파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아파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현대아파트(~1998)가 이후 힐스테이트, THE H로 브랜드가 분화되었다. 해당 문서 참고.

8. 스포츠단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축구 야구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파일: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엠블럼.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KIA
타이거즈
농구 배구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로고.svg 파일: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엠블럼.svg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양궁 럭비
파일:현대제철 남자 양궁단 엠블럼.svg 파일:Hyundai Mobis Women's Archery Team.jpg 파일:현대글로비스 럭비단 엠블럼.svg
현대제철
남자 양궁단
현대모비스
여자 양궁단
현대글로비스
럭비단
* Dplus KIA의 경우 기아 네이밍 스폰서일 뿐, 공식 스포츠단은 아니다.
}}}}}}}}} ||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여자 배구단을 인수해 1977년부터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9. 관련 문헌

10. 여담



[1] 대우건설, 삼성물산, 현대건설, DL E&C, GS건설. Big 5의 순위는 등락이 있다. 2000년대엔 대우건설과 삼성물산이 앞서나가 이빨 빠진 호랑이 취급을 받기도 했지만, 2009년부터 도급 1위를 재탈환해 2013년까지 유지하고 2015년부터 3년 연속 1조원 클럽에 가입하는 등, 정주영 회장 이후 제2의 전성기라 불릴만큼 과거의 명성을 다 되찾았다. 빅데이터를 비롯한 건설업 브랜드 평판에서 줄곧 1위를 차지한다. #1 #2 #3 근 3년간 동일한 달의 자료이며, 조금만 찾아 보더라도 월을 불문하고 줄곧 현대건설이 브랜드 평판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2] 국내 최초 해외 시장 진출(1965년), 국내 최초 해외 공사 누적 수주액 1000억 달러 돌파(2013년), 국내 최초 영업 이익 1조원 달성('1조원 클럽' 3년 연속 진출) (2015년), 국내 최초 '2045 탄소중립' 선언(2022년) 등. [3] 정몽구 회장이 왕회장의 자취가 진하게 남아있는 현대건설을 각별히 아낀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1, #2 그리고 현대건설이 빠져나간 기존의 현대그룹은 이제 밀어줄 만 한 사업이 엘리베이터 사업밖에 안 남았는데, 현대차그룹이 이것까지 합병하게 되면 완전히 같은 집안 그룹 하나를 통째로 먹어버릴 수도 있다. [4] 현대건설의 강점 중 하나가 탄탄한 재무건전성인데, 건설 회사 중 신용등급이 가장 높고, 부채비율 또한 매우 낮다. # [5] 주요 실적을 꼽자면 세계 최장급 해상교량 '쿠웨이트 자베르 코즈웨이' 세계 최초 하이브리드 교량 '터키 보스포러스 제3대교' 남미 최장 현수교 '칠레 차카오 교량' 파나마 역대 최대 인프라 공사 '파나마 메트로 3호선' 세계 최대 대관람차 '아인 두바이' 동남아 최대 유류비축기지 '주롱 해저유류비축기지' 카타르 최초 ITS 고속도로 '루사일 고속도로' 등이 있다. [6] 현재의 현대자동차가 아닌 일제강점기부터 운영하다가 일제의 기업정비령으로 일진공작회에 강제합병된 자동차정비업체 아도 서비스(Art Service)를 해방 후 반환받아 이름을 바꾼것이다. 현대라는 명칭은 여기서 처음 쓰였다. [7] 현대엔지니어링 [8] HDC현대산업개발 [9] 아이에스동서 [10] 2007년 17대 대선을 2달 앞두고 국회 금감위 감사에서 김영주 당시 대통합민주신당 의원이 당시 현대건설 대표이던 이명박 후보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 [11] 중간중간 일시적 부회장 체제 [12]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인 그 이명박이 맞다. [13] 현장통으로, 7년을 재임하며 건설업계 최장수 CEO 기록을 세웠다. [14] 재무통으로, 회사 차원의 리스크 관리 및 수익성 증진에 기여했다. [15] '정통 현건맨'으로, 국내에서는 프리미엄 브랜드 THE H를 선보였고, 도시정비사업에 집중하여 수주액을 사상 최대 수준으로 매년 갱신한다. 해외에서는 사우디 아미랄 프로젝트, 미국 SMR 프로젝트, 이외 수소플랜트, 전력중개사업 등 신성장사업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16] 현대자동차공업사(서울시 중구 초동 106번지)에 간판만 내건 것으로 시작해, 광화문 평화신문사 빌딩, 소공동 삼화빌딩으로 이어진 셋방살이를 청산했다. [17] '광화문 사옥'이라고도 불렀으며, 2000년 7월 현대해상에 매각했다. [18] 강남 8학군으로 휘문고등학교가 나간 자리에 건설했다. 이 건물이 들어서며 지하 수맥이 바뀌어, 인근 운현궁의 우물이 말라버렸다. [19] 2001년부터는 계동 사옥 별관으로 물러났고, 2014년 본관에 재입성했다. [20] 2020년 이후 주택정비사업 수주가 호조다. [21] 디에이치 한남.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으로 불렸다. [22] 현대건설의 리모델링 전담조직 첫 단독 수주. [23] 도시정비사업 1조원 돌파. [24] 부산광역시 북항재개발지역에서 엄궁교차로를 연결하는 터널 사업으로 엄궁대교, 장낙대교와 연결된다. 2010년대 초에 현대건설은 엄궁대교, 장낙대교까지 자신들이 건설 후 직접 운영할 계획을 제시했었으나 이후 엄궁대교, 장낙대교는 재정사업으로 변경되고 각각 2018년, 2017년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25] 이 경험을 살려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건설사가 되었다. [26] 싱가포르 건설부(BCA)가 매년 현지에서 준공됐거나 시공 중인 프로젝트를 평가해 품질, 건설 환경, 시공, 설계, 안전 등 다양한 분야로 구분해 수여하는 건설 관련 최고 권위를 가진 상 중 하나다 [27] FEED(Front End Engineering Design)는 EPC 계약 전 공사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는 것으로 견적 산출의 기준을 정하는 것으로 공사의 기반을 세우는 중요한 단계다. 프로젝트 경험과 프로세스에 대한 높은 이해가 필요하기에 FEED를 계약하면 EPC 수주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28] 에쓰오일이 발주한 국내 석유화학산업 사상 최대 규모의 석유화학 설비 공사 [29] 이는 왕회장 이후 최대 업적이라 불린다. [30] '금세기 최초 걸작', '중동의 새로운 아이콘' 등으로 불린다.직선, 직각이 거의 없는 기하학적인 형태로 건축계 대스타 장 누벨이 '사막의 장미'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했다. 관련 유튜브 링크 [31] UAE 송‧변전 현장에서 축적된 경험은 '국내 최초의 원전 수출'이라는 역사를 세운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수주에 보탬이 되었다. [32] 다리 이름은 쿠웨이트의 선왕의 이름을 땄다고 한다. 전체 공사비 중 현대건설의 비중은 78%인 2조 1000억원으로 1984년 리비아 대수로 공사 이후 국내 건설사가 수주한 해외 토목공사로는 최대 규모다 [33] 북미에서 가장 높은 매킨리(Mckinley)산의 허리케인 협곡을 가로지르는 171m 길이의 철도 교량으로, 미국 내 건설업자들조차 꺼릴 정도였다. [34] 장보고 과학기지는 세종 과학기지보다 공사 난이도가 높았다. 바람이 강하고 강설량이 많아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날이 1년에 65일이 채 되지 않았고, 블리자드에 발전기가 얼어 위기를 겪기도 했다. # [35] 세계에서 21번째, 동양에서 일본에 이어 2번째 원전이다. [36]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홀텍 소유의 인디안포인트 원전해체 사업에 PM 계약을 포함한 원전해체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