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4:09

트윈트위스터

트트에서 넘어옴
유희왕의 속공 마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93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트윈트위스터,
일어판명칭=ツインツイスター,
영어판명칭=Twin Twisters,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서로 맞부딪히는 2개의 소용돌이같이 보이는 필드 파츠.
가끔, 그 안으로 말려들어 간 아이템이 엿보일 때가 있지만, 안에 들어간 카드는 그렇게 간단히 말려 올라오진 않는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필드 파츠 플레이버 텍스트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에서 추가된 트위스터의 새로운 변종 카드이다. 일러스트에는 트위스터가 2개 그려져 있지만 효과상으로 보면 2개의 싸이크론이 더 적절하다. 플레이어들은 종종 '트트'라는 약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싸이크론이 1:1 교환이라면 이쪽은 2:2 교환이다. 안 그래도 펜듈럼 소환 덕분에 상대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가 2장 이상 있는 경우가 드물지 않기 때문에 사용할 기회는 많다. 그리고 오히려 패를 버리는 것이 묘지 자원을 쌓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 단 2장으로 늘어났으니 2장을 파괴할 경우 스타라이트 로드 대혁명 반전을 조심하자.

또한 이 카드의 대상 지정은 임의 효과라서 1장만 있어도 파괴가 가능하며, 결정적인 순간에는 1장이라도 파괴해야 손해가 적다. 예를 들어 갓버드 어택이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2장을 파괴해야 한다는 게 걸리는 일이 종종 있는 반면, 이 카드는 어드밴티지 손해를 보기는 하지만 1장만 있어도 파괴는 가능하며, 상대 필드에 스타라이트 로드나 대혁명 반전이 있을 것 같을 때 꼭 부숴야 하는 카드 1장만 부수는 것도 가능하다.

속공성이 뛰어나고 마법 / 함정을 파괴하는 데 특화된 유령토끼와 비교해 보면
이러나저러나 유령토끼 못지않은 속공성으로 클리포트를 비롯해 견제 마법 / 함정 카드를 많이 사용하는 덱은 크나큰 타격을 받았다. 세트한 턴 엔드 페이즈 시에 이 카드를 갈겨버리면 대혁명 반전이고 스타라이트 로드고 모조리 파괴되기 때문. 그나마 파괴를 주저하게 만드는 아티팩트 정도나 아직 버티는 중이다.

EMEm이 대세였을 시절 일본에서는 오히려 해피의 깃털을 빼고 이 카드를 해피의 깃털의 자리에 끼워넣는 경우도 많았다. 일반 마법인 해피의 깃털은 No.16 쇼크 마스터에 의해 1턴 동안 바보가 되는 경우가 있지만 속공 마법인 이 카드는 상대 턴에도 발동이 가능해 쇼크 마스터의 효과에 체인하면 될 뿐더러 상대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싹쓸이할 수 있는 점은 해피의 깃털과 똑같기 때문. 특히 피안의 경우는 악귀가 이 카드의 발동 코스트로 버려져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채용되었다. 그야말로 정말 상대 턴에 발동하는 깃털인 셈이다.

결국 제왕은 이 카드 때문에 탑 티어의 입지가 잠시 주춤했던 적도 있다. 진제왕영역이 파괴될 확률이 더 높아졌기 때문. 또한 스타라이트 로드나 이 카드를 무효화할 수 있는 범용성도 괜찮고 무효화도 힘든 대혁명 반전의 가격이 급등하기도 했다. 이렇듯 이 카드 한 장이 환경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정작 EMEm이 몰락한 뒤 새로 등장한 EM룡검사에서는 메인에 넣는 경우가 잘 없었는데[1], 스케일 견제야 흔들리는 눈빛만으로 충분한 상황에서 상대가 세트 카드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함정 속으로는 어차피 플레시아의 충혹마로 발동하기 때문에, 굳이 패 1장을 버리는 이 카드보다는 그냥 싸이크론을 쓰는 게 나았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덱에서는 메인 덱에 넣는 경우도 흔하다.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 수록된 모래 먼지의 태풍과는 상호 호환 관계로, 속공성은 이 쪽이 빠르지만 패 코스트가 필요하며 그 쪽은 속공성은 떨어지고 발동 턴에는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지만, 노 코스트다.

일러스트에서 날아가고 있는 것들은 매지컬 실크햇, 희생양의 양 토큰(혹은 길 잃은 아기양), 죽은 자의 소생의 앙크, 빛의 뿔, 고대의 망원경 등이다. 트윈이 되었는데도 여전히 파괴하는 의미가 있는 것은 빛의 뿔 하나뿐이고[2], 그마저도 다시 덱 맨 위로 돌아간다(...)

해외 발매 시 앙크에 탄압을 하지 않았고, 이 카드를 시작으로 내수판 일러스트를 그대로 쓴 죽은 자의 소생이 2018년에 2월에 TCG로 발매되기도 했으며 기어이 내수판과 국제판 일러스트를 가지고 장난을 친 취사소생이라는 카드까지 나오는 등, 앙크가 일러스트 검열 대상에서 확실하게 제외되었다.

[1] 물론 사이드 덱에는 들어간다. [2] 속공 마법인 점을 고려하면 상대가 그 턴에 세트한 매지컬 실크햇과 희생양도 의미는 있다. 해당 카드들은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