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3:12:22

제2외국어(교과)/러시아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외국어(교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러시아어(교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교과 체계가 아닌 고등학교 과목 <러시아어Ⅰ>을 출제 범위로 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제2외국어·한문 영역/러시아어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제2외국어 교과 목록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1. 개요2. 교육과정
2.1. 중학교 생활러시아어2.2. 고등학교 제2외국어
3. 매체

1. 개요

중등교육기관의 제2외국어 교과의 한 과목에 속한다.

한국에서 가르치는 러시아어는 모스크바 지역의 방언을 기초로 한 표준 러시아어이다.

러시아어 교과는 기본적으로 강원특별자치도 교육청 인정 교과서를 사용하며, 회화/독해/작문 부분은 경기도 교육청 인정 교과서를 사용한다.

2. 교육과정

2.1. 중학교 생활러시아어

파일:중학교 생활러시아어.gif
중학교에도 '생활 러시아어'라는 이름의 과목이 있으나 편성되어 있는 학교는 안산 선일중학교 단 한군데 뿐이다. 사실상 러시아어 과목의 학습량이나 난이도를 고려했을때 국영수사과 과목이 고루 분배되어 있는 일반고나 일반중 교육과정에서 운영하기가 쉽지 않다.

2.2. 고등학교 제2외국어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준 러시아어 교과
파일:고등학교 전공 기초 러시아어.gif
파일:고등학교 러시아어I.gif
파일:고등학교 러시아어II.gif
파일:고등학교 러시아어 회화I.gif
전공 기초 러시아어 러시아어I 러시아어II 러시아어 회화I
파일:고등학교 러시아어 회화II.gif
파일:고등학교 러시아어 독해와 작문I.gif
파일:고등학교 러시아어 독해와 작문II.gif
파일:고등학교 러시아 문화.gif
러시아어 회화II 러시아어 독해와 작문I 러시아어 독해와 작문II 러시아 문화

수원외고, 대전외고, 청주외고, 울산외고, 대일외고, 명덕외고, 서울외고[1], 대구국제고 그리고 북평고, 북평여고, 묵호고, 속초고, 서연고, 와우고 에서 전공어과목 또는 제 2 외국어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러시아어는 제1차 교육과정이 수립되기 이전인 교수요목기 시절에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와 함께 중학교(당시 6년제) 외국어 교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남북분단, 한국전쟁, 냉전과 반공정책으로 인해 적성국 소련의 언어인 러시아어는 남한의 외국어 교육에서 퇴출되었고, 경성제국대학 시절에 개설되었던 노어 강좌가 미국식 학제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언어학과에 흡수되면서 한동안 남한에서 러시아어 교육의 명맥이 단절되었다. 이후 한국외국어대에 노어과가 개설되면서 대학 과정에 한해서는 러시아어 교육이 재개되었지만[2]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다가 소련이 붕괴되고 냉전이 종식된 후인 제6차 교육과정부터 러시아어가 다시 고등학교 제2외국어로 편입되기에 이른다.
한편 북한에서 러시아어는 영어와 함께 선택 과목이었으나 이후 영어가 제1외국어가 되면서 러시아어는 중국어, 일본어 등과 함께 주요 제2외국어로 지정되었는데, 러시아어가 상당히 마이너한 남한에 비해 북한에서는 러시아가 과거 사회주의 동맹국에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인접국이기에 남한에 비해 학습 인구가 많다.

3. 매체



[1] 서울외고의 경우 러시아어 주전공 학급이 있지는 않다. 영러과 학생들만 러시아어를 부전공으로 배운다. [2] 이조차도 엄격한 통제 하에서 이루어져 러시아어 원문 자료들은 설령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원전이라 해도 중정/안기부의 까다로운 불온문서 검열을 받아야 했기에 냉전 시기 러시아어 전공 수업은 미국 등 영어권에서 번역된 2차 자료 위주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