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3 02:01:04

전선을 간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창모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전선을 간다(창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가사3. 기타

1. 개요

대한민국 국군 군가 중 하나.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공군으로 복무한 사람이라면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특히, 공군 기훈단에서는 훈련병들에게 다른 군가는 잘 안 가르쳐줘도 '전선을 간다' 와 ' 푸른 소나무' 만큼은 대부분 가르쳐준다. 특유의 비장한 음악과 가사 덕분에 전방사단에서는 최후의 5분과 함께 가장 인기 있는 군가다.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에서 1980,81년에 군가 및 진중가요를 공모했을 당시 군가 부문에서 가작으로 선정된 작품이었다. # 이후 국군홍보관리소에서 제작한 영화 <종군수첩>에 삽입되었고, 임권택 감독 신일룡 정윤희 남궁원 주연 영화 <아벤고 공수군단>의 주제가로도 쓰였다.

작곡자는 로보트 태권 V의 주제가를 작곡한 최창권[1]. 비단 그 때문만은 아니겠지만, 다른 군가들과 비교해 보아도 오케스트레이션이 상당히 박진감 있게 잘 짜여져 있다.

작사가 우용삼에 대해서는 알려진 정보가 많지 않다. 다만 박종세 아나운서의 회고에 따르면 본인이 국방부 홍보관리소에서 <국방뉴스> 해설을 담당할 당시(1966~1996) 우용삼이 감독이었다고 한다. # 이런 기록으로 미루어볼 때, 아마 우용삼은 국방부 직원 신분으로 최창권과 함께 공모전에 응모했던 것 같다.

2. 가사

의정부 콘서트 콰이어 합창 버전
(지휘:배윤경)
제3 회 국방부장관상 군가합창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한 제21보병사단의 합창
대한민국 국군에서 공식적으로 사용 중인 버전
전선을 간다


1절
높은 산 깊은 골 적막한 산하
눈 내린 전선을 우리는 간다
젊은 넋 숨져간 그 때 그 자리
상처 입은 노송(老松)은 말을 잊었네[2]

2절
푸른 숲 맑은 물 숨쉬는 산하
봄이 온 전선을 우리는 간다
젊은 피 스며든 그 때 그 자리
이끼 낀 바위는 말을 잊었네

후렴
전우여 들리는가 그 성난 목소리
전우여 보이는가 한 맺힌 눈동자
최후의 5분이 강렬하다면, <전선을 간다>는 비장하다. 내용은 어느 겨울, 혹은 어느 봄, 배치된 전선에서 죽어간 어느 전우를 추억하며 그 원한을 되새김질한다는 것.

3. 기타



[1] 세 아들 최명섭, 최귀섭, 최호섭도 모두 음악을 했는데, 이들이 바로 그 ' 세월이 가면'을 작사, 작곡, 노래한 주역들이다. 최명섭과 최귀섭은 콤비로 활동하며 원준희의 '사랑은 유리 같은 것'을 작사, 작곡하기도 했으며, 최명섭은 1980년 MBC 대학가요제에 밴드 '샤프'로 출전해 직접 작사, 작곡한 ' 연극이 끝난 후'로 은상을 수상했다. [2] 과거에 그 곳에서 전투를 목격했을 오래된 소나무, 민족의 조상, 젊은 장병들의 희생을 지켜본 고위 지휘관 등으로 해석된다. [3] 전선을 교체한다라는 뜻이 그냥 전선을 간다라고 말해도 되기 때문이다. [4] 장석조 감독이 직접 불렀다. 다만 가사 대신 허밍으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