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4:29:11

자진한잎

경풍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붕괴: 스타레일에 나오는 노래에 대한 내용은 붕괴: 스타레일/OS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국립국악원 자진한잎 연주모습

국악곡의 하나로 정악에 속한다. 한문으로는 삭대엽(數大葉)이라고 쓴다.[1] 이름의 뜻은 '빠른 곡조'. 향 피리 중심의 관악곡이라는 의미로 '사관풍류'라고도 한다.[2]

정악에 속하는 성악곡인 가곡의 반주 음악을 독립시켜 피리, 대금, 해금, 소금(악기) 장구만으로 연주하는 관악 합주곡으로 편곡한 음악이다. 가곡반주를 할 때는 노랫소리를 부각시키기 위해 피리는 향피리 대신 세피리를 쓰고, 대금도 저취를 주로 쓴다. 하지만 자진한잎에서는 노래가 없기 때문에 대금은 옥타브를 올려 역취로 불고 소금을 함께 편성하며, 피리도 세피리 대신 향피리를 쓰고 해금은 원산을 복판으로 내리고 음량이 작은 거문고 가야금을 제외시킨다.[3]

하지만 가곡 전곡을 이렇게 연주하는 것은 아니고, 평조(우조)두거·변조두거·계면두거·평롱·계락·편삭대엽 1, 편삭대엽 2 총 일곱 곡을 자진한잎에 포함시킨다. 또 악곡을 끝까지 연주하지는 않고 대여음을 빼고 연주하는 것도 특징.

아명은 '경풍년(慶豊年)'이라고 하는데, 다시 세분하면 평조두거와 변조두거는 경풍년, 계면두거를 염양춘(艶陽春), 평롱 계락 편삭대엽을 수룡음(水龍吟)이라고 한다. 궁중 연회때 사용되었다고 하며, 특히 임금님께 잔칫상을 올릴 때 연주하였다고 하여 '거상악(擧床樂)'이라고도 했다.

평조두거(경풍년)은 특히 대금 독주곡이 유명하며( 대금항목 참고), 염양춘이나 수룡음은 단소독주나 생소병주( 단소 생황의 이중주)가 들을 만 하다.

대금/ 소금연주자인 한충은은 이 곡을 소금 바이올린, 첼로 세 악기로 편성하여 연주한 바 있는데, 㵉 이상 올라가는 음에서 소금이 한 옥타브 내리는 원곡과 달리 㵜까지 역취로 불어제끼시는 위엄을 보여주셨다. [4]

평조두거(경풍년) 4장에서는 관악기가 무려 12정간만큼 쉬지 않고 㳞음을 불어야 하는 부분이 나온다. 참고로 평조두거는 박속이 1분 30정간으로 1정간이 2초정도 된다. 말하자면 24초가량 쉬지 않고 일정한 세기의 숨을 내쉬어야 한다는 것(…)

이후의 변조두거, 계면두거, 평롱 4장에서는 여기서 더 나아가 林 음을 13정간만큼 쉬지 않고 불어야 하는 부분도 나온다.[5]


수룡음, 생황 단소 이중주(생소병주)


경풍년 대금 독주

1. 청성자진한잎


자진한잎에 포함되는 음악은 아니지만, 자진한잎과 마찬가지로 가곡에서 파생된 기악곡으로 '청성자진한잎'이라는 곡이 있다.
한문으로는 청성곡(淸聲曲)이라고 쓰고, 아명은 요천순일지곡(堯天舜日之曲)이라고 한다.

청성곡은 가곡의 마지막 곡인 태평가의 반주음악을 변주하여 대금이나 단소로 연주하는 독주곡을 말한다. '청성(淸聲)'이라는 말은 원래 높은 음역을 뜻하는 말로, 이 곡이 전체적으로 고음역에서 연주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기본 멜로디는 같으나 연주하는 사람마다 제각기 장식음이나 끄는 음의 길이를 달리하여 연주하는 자유분방한 곡이다. 피리, 대금정악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곡으로, 이 곡을 들음으로서 피리와 대금 주자들의 기량을 파악할 수 있는 곡이다. 단소 대금등 순취악기 특유의 시김새와 피리의 길게 뻗어주는 음이 시원시원한, 국악의 명곡으로 꼽히는 음악 중 하나이다.


[1] 자진(잦은)=數, 한(큰)=大, 잎=葉으로, 數는 number의 뜻이 아니라 '잦다, 빠르다'의 뜻이기 때문에 수가 아닌 '삭'으로 읽어야 한다. 가곡의 편수대엽, 이수대엽 같은 경우도 잘못된 독법으로 편삭대엽, 이삭대엽으로 읽는 것이 정확하다. [2] 이 명칭의 '사관'은 향피리를 가리킨다. 피리 항목 참조 [3] 최근에는 원류인 가곡을 참고해 거문고와 가야금을 같이 편성시키는 경우도 간혹 있다 [4] 하기사 이 양반은 Morning이란 곡에서 소금의 음역을 뛰어넘는 초음파고음을 보여준 사람이니… [5] 피리의 경우에는 仲을 불때보다 林를 불 때 숨이 좀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두 배로 힘들다고 할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