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08:32:59

일반화학

일반 화학에서 넘어옴
화학의 분과
Chemistr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C143C><colcolor=#fff> 물리화학· 분석화학 광화학 · 계산화학 · 분광학 · 양자화학 · 이론화학 · 열화학 · 전기화학 · 표면과학 · 핵화학 · 물리유기화학 · 생물물리화학 · 재료과학 · 고체물리학 · 응집물질물리학 · 습식화학
분자화학 유기화학(생유기화학 · 약학 · 의약화학) · 무기화학(고체화학 · 뭉치화학 · 생무기화학 · 유기금속화학) · 고분자화학 · 초분자화학(나노화학) · 클릭 화학
응용화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 화학생물학 · 신경화학 · 농화학) · 지구화학(녹색화학 · 생물지구화학 · 광지구화학 · 점토화학) · 환경화학(대기화학 · 해양화학) · 탄소화학 · 우주화학( 천체화학 · 항성화학) · 식품화학 · 화학교육학 · 화학공학 · 재료공학
화학 연구 화학자 · 화학 관련 저널 · 화학 미해결 문제
틀:물리화학 · 틀:과학의 범위 · 화학 관련 정보 }}}}}}}}}


1. 개요2. 배우는 것들3. 교재
3.1. Zumdahl (줌달)3.2. Brown (브라운)3.3. Oxtoby (옥스토비)3.4. 기타
4. 문과생의 수강5. 수험 과목으로서의 일반화학

1. 개요

General Chemistry [1]

대학 1학년 대상의 화학 기초강좌.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 등 광범위한 화학의 지식을 폭넓고 얕게 배운다. 일반물리와는 다르게 누가 강의하는지, 어느 교재를 보는지에 따라 배우는 내용과 순서가 상당히 달라진다. 물리의 경우 학습의 테크트리가 어느 정도 정형화되어 있으나, 화학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교재 문단 참조.

일반적으로 두 학기에 걸쳐서 두꺼운 책 한 권을 배우게 되며 보너스로 일반화학실험을 강제로 듣게 하는 학교도 있다. 광운대학교, 경희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충북대학교, 한양대학교[2], 영남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등에선 일반 시리즈는 아예 이론과 실험이 한 과목으로 묶여 있다.(그리고 이럴 때 일반물리 역시 시리즈로 묶인다.)

말 그대로 일반화학이라 모든 화학 분야를 조금씩 맛보게 된다. 따라서 배우는 내용의 범위가 상당히 넓다. 고등학교 화학Ⅰ, 화학Ⅱ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 때 화학Ⅱ를 제대로 공부해 두었다면 상당히 도움이 된다.[3] 특히 화학을 좋아하는 일부 과학고를 준비하는 중학생[4]이나 고등학교 이과 학생들의 경우 일반화학을 선행학습하는 경우도 많다.[5]

당연히 수강생 수도 매우 많으며 웬만한 학교에서는 한 학기에 수백 명은 가뿐히 넘는다. 자신의 전공이 화학과는 별로 관련이 없다고 해서 방심하면 안 된다. 이공계라면 전공이 뭐든 얄짤없이 일반화학(+ 일반물리학, 미적분학)을 무조건 듣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워낙 많은 학생이 듣다보니 다 똑같은 일반화학 수강생이라도 배경 지식이나 기대하는 수업의 수준은 개인에 따라, 그리고 자신의 전공에 따라 매우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화학 전공자들이나 기타 심화 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해 고급반, 혹은 그와 반대로 세부 내용보다는 기본 개념에 중점을 두고 훑듯이 가르치는 개론반을 따로 개설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나는 이미 고등학교 때 일반화학을 지겹게 공부해서 여기서 또 듣느라 시간 낭비할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학생들을 위해 일반화학 시험을 쳐서 합격점 이상을 받으면 일반화학 수업을 면제해주는 제도를 시행하는 대학도 있다. 포항공과대학교, KAIST, 성균관대학교, 서강대학교[6]에서 시행중이다.[7]

과학고의 경우 고급화학을 배우는 곳도 있고 AP과정으로 일반화학을 미리 듣는 곳도 있다. 고급화학 구성도 일반화학과 거의 비슷하다. 영재학교의 경우에는 고급화학이 개설 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지만 AP 일반화학은 거의 항상 열리는 편이고 많은 학생들이 수강한다.

2. 배우는 것들

제대로 된 교재의 경우 현대에는 미시 세계로부터 거시 세계로, 물질에 대해 먼저 배우고 그 뒤에 반응을 배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학에 필요한 양자역학과 원자 구조, 분자와 결합, 상(phase) 순서대로 크기 순서대로 물질을 배운 뒤, 화학 반응의 중요한 두 유형인 산염기 및 산화환원 반응[8]에 대해 배우고, 핵반응과 전이금속 화학을 약간 다룬 뒤 유기화학을 마지막에 간단하게 넣는 것이 전형적인 일반화학 교재의 구성이다. 그러나 줌달 일반화학과 같은 책은 이런 이해를 위한 순서를 전혀 배려하지 않고 순서가 거의 분배가 안 되어 있다.[9]

대부분의 내용이 고등학교 화학1 및 화학2의 연장선이며 각 책마다 전체적으로 다루는 내용은 대게 비슷하나 내용의 배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유기화학에서 마지막에 꼭 생화학 단원을 삽입하는 것처럼 일반화학에서는 높은 확률로 마지막에 유기화학 단원을 첨부한다. 물론 이걸 무시하고 종강하는 교수들도 많다. 어차피 유기화학 가면 처음부터 다시 배워야 하고, 유기화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고작 챕터 한둘에 끼워넣으면 단순 암기과목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한다.

개인마다 어렵게 느끼는 부분은 모두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일반화학에서 학생들이 어렵게 느끼는 챕터를 꼽으라면 다음과 같다.

3. 교재

화학 자체가 세부 분야가 확실히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물리학과와는 달리 책마다 내용 구성과 순서가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특정 분야를 매우 깊이 있게 다루는 일부 교재를 제외하고는 대동소이하다.

3.1. Zumdahl (줌달)

Zumdahl, Steven and Susan Zumdahl. Chemistry. 9th ed., international ed. Boston, MA: Cengage Learning, 2013.
원서
Zumdahl, Steven, Susan Zumdahl. 줌달의 일반화학. 제10판. 화학교재연구회 역. 서울: 사이플러스, 2019.
번역본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보는 교재이다.[11] 일년 내내 계산기를 벗삼아 분석화학만 건드리고 물리나 양자는 사이사이에 쉬어가는 코너처럼 들어가 있다.

전공자가 아니라도 화학2 수준의 선행학습만 되어 있다면 대부분의 챕터를 큰 어려움 없이 배울 수는 있다. 일단 옥스토비보다는 쉬우니까... 때문에 고등학생들의 선행학습용으로도 자주 쓰인다. 그리고 중등 화학올림피아드 하는 사람들이 이것을 많이 본다.

하지만 '배우는 내용' 문단에서 알 수 있듯이, 챕터 순서가 체계적이지 않고 뒤죽박죽인 느낌이 있다.

고려대학교[12], 성균관대학교, 홍익대학교, 국민대학교 공학대학, 단국대학교, 전북대학교, 부산대학교 등의 대학과 부산일과학고등학교, 광주과학고등학교, 경기과학고등학교,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전북과학고등학교, 충북과학고등학교,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등의 고등학교에서 쓰인다. 경북대학교가 오랫동안 줌달을 써서 간혹 부교재로 줌달을 찍어주는 교수들이 있다.

3.2. Brown (브라운)

Brown, Theodore et al.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in SI Units. 15th ed., global ed. Harlow, England: Pearson Education Limited, 2021.
원서
Brown, Theodore 외. 일반화학. 제15판. 화학교재연구회 역. 파주: 자유아카데미, 2023.
번역본
국내에서 줌달 다음으로 많이 보는 책이다. 구성이나 난이도도 줌달과 비슷하다. 유튜브에 이 교재 번역본의 무료 강의가 있다.

미국 고등학교의 AP 화학 과정에서 애용되어 많은 학생들의 이를 갈리게 하는 주범...

챕터마다 연습문제가 매우 많지만 모든 예시문제마다 차근차근 설명이 되어 있으니 이해를 하기가 수월하다고 평할 수 있다. 줌달이 7판과 8판 사이에 한국어판 출판사가 변경되면서 줌달 쓰던 학교가 브라운으로 바꾸는 경우가 있었다.

현재 GIST[13], 건국대학교, 고려대학교[14], 국민대학교, 서강대학교, 연세대학교, 충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경북대학교, 광주과학고등학교, 가천대학교가 사용 중.

3.3. Oxtoby (옥스토비)

Oxtoby, David, H. Gills, and Laurie Butler.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8th ed. Boston, MA: Cengage Learning, 2016.
원서
Oxtoby, David, H. Gills, Laurie Butler. 옥스토비의 일반화학. 제7판. 화학교재연구회 역. 서울: 사이플러스, 2018.
번역본
브라운 다음으로 많이 보는 교재인데, 베스트셀러 교재 중에 난이도가 가장 높다. 물리화학 양자화학 분야를 다른 교재들에 비해 매우 깊이 다루기 때문이다.[15] 초장에 책 이름부터가 Principles of Modern[16] Chemistry다. 위에서 말한 고급반에서 교재로 채택하기도 한다.[17] 화학 전공자가 아닌 이상 손대기가 좀 꺼려지는 책이다. 이런 류의 교과서를 쓰는 강의에 걸리면 일년 내내 물리화학 쪽만 건드리다가 끝난다.[18]

난이도는 높지만 꼼꼼히 정독해 보면 내용 구성과 논리 전개 흐름이 정말 뛰어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챕터 순서부터 '배우는 내용' 문단의 내용 순서와 비슷하게 짜여 있으며,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도록 챕터들을 유닛으로 묶어 놨다.[19] 다른 교재에서 대충 넘어가서 잘 이해가 되지 않거나 찝찝하게 느낀 부분들을 확실히 짚어줄 때가 많다. 다른 책으로 강의를 듣는데 교수님이 갑자기 책에 없는 내용을 설명하신다면 여기 있는 내용들이다. 또한 쉽게 설명하기 위해 일부러 논리를 왜곡하는 부분이 거의 없는데, 이 책이 어려운데도 꾸역꾸역 읽는 사람들 중에는 이것 때문에 그러는 사람이 많다.

2014년 기준 KAIST, 포항공과대학교, 고려대학교[20][21], DGIST, UNIST, 한국과학영재학교, 인천과학고등학교 세종과학고등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 강원과학고등학교, 광주과학고등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 하나고등학교, 제주과학고등학교, 울산과학고등학교, 전남과학고등학교, 민족사관고등학교 등 다양한 대학교, 고등학교에서 교재로 사용 중이다.

3.4. 기타

4. 문과생의 수강

서울대학교에는 특이하게도 인문계 학생만 수강할 수 있는 일반화학 강의가 있었다. 이름하여 인문사회계를 위한 화학(약어로는 인사화). 인사화는 지나치게 어렵다는 이유로 수강생들의 강한 항의를 받아 왔는데 강의평가 사이트에 가면 별점이 10점 만점 중 2점대로 주어져 있고, 수강평은 온갖 하소연과 읍소로 도배되어 있다. 개중에는 '차라리 이공계를 위한 화학으로 이름을 바꿔주세요' 같은 풍자도 있다. 그럴 법도 한게, 문과 상대로 하는 단학기짜리면서, 정작 가르치는 내용은 이과에서 두 학기에 나눠 가르치는 옥스토비를 오히려 아득히 뛰어넘는 수준이라 문과생들을 상대로 기말고사 범위 내내 물리화학과 양자화학을 강요하는 강의이다. 심지어 진도 나가는 속도도 폭풍이면서 수준까지 깊게 나가다보니, 이과 친구들에게 도움을 받고 싶어도 못 받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다른 인사 시리즈들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인사화의 밸붕이 워낙 독보적이라 묻혀버렸다..오히려 이런 악평에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샘솟아, 졸업 전 저 강의만은 정복하고 가야겠다는 식으로 달겨드는 괴수들도 간간이 보였으나 너무 평이 안 좋아 결국 2011년 2학기 이래로 2년간 단 한 번도 개설되지 못해서 이들이 도전할 곳 자체가 없어져 버렸다. 다른 인사 시리즈 강의들은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개설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화학부에서는 다시는 이 강의를 개설할 계획이 없다고 한다. 이 외 다른 인사 시리즈로 인문사회계를 위한 수학, 인문사회계를 위한 물리학, 인문사회계를 위한 생물학 등이 있다. 다행히 이 과목들은 인사화와는 달리 그럭저럭 운영되고 있는 듯. 특히 인사수의 경우 학생이 넘쳐나서 학기당 서너 개의 강좌가 꼬박꼬박 열린다.

서울대처럼 문과 전용 일반물리/일반화학/일반생물학 강의가 없는 학교에서는 간혹 인문대생이 일반화학을 들으러 오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굳이 인문계 화학이라고 문과생 전용처럼 써있지 않더라도 일반화학은 난이도를 얕보고 낚이는 학생들이 상당히 많다. 다른 1학년 핵심교양 수준에서는 물리학보다는 쉬울 것이라고 생각하여 달려들었다가 실제로는 공통과학을 훨씬 뛰어넘는 심오함과 방대함 때문에 지치는 것. 그래서 시험기간이 다가오면 "내가 왜 일반화학을 신청했을까" 하고 진지하게 고민하는 문과생들이 생기곤 한다.

연세대학교의 경우, 전교에서 개강하는 모든 과목을 통틀어서 유일하게 필수교양 중에서 두 영역(자연과 우주/생명과 환경) 중 선택이 가능한 과목이다.

5. 수험 과목으로서의 일반화학


[1] 줄여서 Gen Chem [2] ERICA캠도 해당 [3] 이는 일반물리, 일반생물학도 마찬가지. [4] 실제로 중학생화학대회 때문에 하는 중학생들도 제법 된다. [5] 하지만 선행학습을 하지 않았더라도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일반화학 교재들은 (그 어려운 옥스토비마저) 고등학교 수학 이외의 배경지식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선행을 안 했다면 교재를 앞에서부터 꼼꼼히 읽어보자. [6] 신입생/편입학생만 가능하며 (당연하겠지만)학기 시작 전에 친다. [7] 그 반대로 시험 성적이 아주 형편 없으면 기초 화학을 먼저 듣고 와서 일반화학을 듣게 만드는 경우도 있으며, 수업 면제까지는 아닌데 일정 성적이 넘으면 고급 과목 신청 자격을 주고, 그 대신 이 과목을 듣는 학생은 상대 평가 의무를 풀어줘서 학점 따기 좋게 만드는 학교도 있다. 사실 선택형 수능제가 도입된 이후 수능 과목으로 화학을 쳤느나 다른 과목을 쳤느냐에 따라 기초 학력의 차이가 너무 커서(거기에 상위권 대학의 경우 과학고/영재학교 출신이라는 괴수까지 범위가 더 넓어진다.) 각 학교에서 고심끝에 도입한 제도들이다. [8] 고등 과정 및 일반화학에서 배우는 모든 반응은 산/염기 혹은 산화/환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일반화학에서는 Arrhenius 산/염기와 간단한 형태의 전지에 대한 계산만 다루기 때문에 이를 깨닫기 어려울 뿐. [9] 과거에는 반응을 먼저 배우고 물질을 배우는 형태가 많았다고 하는데, 현 방식은 체계적이고 일관적이지만 처음 배우는 내용이 양자역학이다 보니 처음 배우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0] 첨가 반응, 제거 반응, 치환 반응 [11] 어느 정도냐면 아무 서점 사이트나 들어가서 '일반화학'을 검색한 다음 정렬 기준을 판매량순으로 하면 가장 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국가 시험도 이 교재를 바탕으로 출제한다. 해외에서는 줌달과 브라운이 양대산맥으로 인기가 많다. [12] 비이과대만 줌달이고 이과대학은 옥스토비 [13] 일반반 한정. 고급반은 논문으로 수업한다. [14] 생명과학대학 1학년 화학수업인 화학의 기초 및 연습에서 사용한다. [15] 심지어는 McQuarrie의 책과 별반 다를 것 없는 내용을 다루기도 하는 무시무시한 일반화학 교재이다. [16] 다들 알겠지만 현대라는 말이 붙는 순간 양자역학과 얽혀있다. [17] 지은이의 머리말에 대놓고 이 책은 고급반을 위한 일반화학 책이라고 나와 있다. [18] 사실 물리화학을 선호하지 않는 교수님들은 이 파트가 학부 1학년의 수준을 넘는다면서 간단히 배우고 넘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옥스토비도 처음부터 그렇진 않았다. 5판의 경우엔 분명히 그렇지 않았었는데... 너무 모던하지 않다고 생각했나보다. [19] 서울대 화학부 신국조 교수에 의하면, 이 책은 화학의 기본 원리를 가장 극명하게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단연코 일반화학 교재의 빼어난 모델로서 전 세계의 우수한 학생들에게 지적으로 도전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다른 일반화학 교재들은 대부분 이 책의 내용을 보다 쉽게 설명하려는 수준이지만 옥스토비의 교재에 비하여 짜임새가 뒤떨어지고 수준을 낮게 잡고 있다고 한다. [20] 이과대학만 옥스토비고 그 외에는 줌달 [21] 교수님마다 다른데, 일단 기본적으로 어떤 교재를 쓰든 영어 강의다... [22] 1년 써보고 불만이 폭주하여 다시 옥스토비로 회귀. [23] 일반화학 내용을 1,2학기로 나누어 가르치는 강좌로 대부분의 공대생들과 자연대생들은 통년 형태의 강좌를 듣는다. [24] 일반화학을 한 학기 만에 가르치는 과목으로, 화학의 활용 비중이 적은 일부 공대생 및 자연대생들, 화학이 중요하지만 단과대 내규 때문에 단학기 강좌를 듣는 농생대생들, 화학이 필요한 생활대생들과 일부 문과 출신 학생들이 듣는다. 통년 강좌에 비해 다루는 내용의 깊이가 얕다. 주로 해당 과목의 경우 일반화학이 아닌 교양화학으로 과목이 개설되는 경우가 많다. [25] 이전까진 줌달을 사용했지만 2019년부터 레이먼드 창을 사용한다. [26] 2019학년도 전에는 줌달을 사용했다. [27] 1학년 심화화학에서 쓰고, 2학년 고급화학에서는 옥스토비를 쓴다. [28] 주로 줌달의 교재가 해당 시험 준비에 많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