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5:30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공과대학

외대 공대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
미네르바교양대학
LD(Language&Diplomacy)학부 LT(Language&Trade)학부 KFL학부 AI융합대학(서울)
{{{#!wiki style="margin: -16px -11px"
}}}
{{{#!wiki style="margin: -16px -11px"
기타
폐지된 단과대학
융합전공 법과대학 }}}

College of Engineering

1. 개요2. 학과
2.1. 컴퓨터공학부 #2.2. 정보통신공학과 #2.3. 반도체전자공학부 #2.4. 산업경영공학과 #

1. 개요

파일:2BTnKrQ.jpg
한국외국어대학교 공학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외국어 교육하는 대학에 갑자기 공대(?)냐는 학내외의 선입견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잘하는 공돌이"라는 인재상 아래 나름대로의 내실을 가진 단과대학이다. 현재의 구성은 전자,통신,컴퓨터 등 ICT공학분야 위주로 특성화[1]되어 있으며, 시대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ICT분야 인재에 대한 사회적 수요덕분인지 준수한 취업률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외에 전직 총장의 공약인 의대 유치를 염두에 두고 바이오메디컬공학을 육성 중이다.[2]. 정부의 중점사업으로 세계최대 규모로 추진 중인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지정에 발맞추어 전자공학과를 반도체전자공학부로 확대개편하고 2024학년도부터 반도체공학 전공을 신설함.

2014년 부터 서울캠퍼스와 글로벌캠퍼스가 통합되어 대학본부도 본교에 이공계를 갖게 되었고, 학생들 또한 공대 이중전공을 통해 취업[3]시 메리트를 가져갈 수 있게 되었다.

공과대학 건물인 공학관은 신축당시 캠퍼스 내 최대연면적을 자랑하는 대형건물이었으나 현대적인 외관의 백년관이 바로 앞에 신축되면서 신구대조가 극명하여 리모델링 압박이 거세다. 그나마 규모가 어느정도 확보되어 답답함은 덜했으나, AI시대를 맞이하며 첨단학문 위주 전공확대 추세에 맞춰 추가적인 면적확보 필요성은 늘어갈 것임.

2. 학과

2.1. 컴퓨터공학부 #

Division of Computer Engineering
1982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문리과대학 전자계산학과
1983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문리과대학 전자계산학과
1983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전자계산학과
1992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전자계산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제어계측공학과
1994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컴퓨터공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제어계측공학과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전자제어계측공학과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컴퓨터 및 정보통신공학부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전자제어공학부 제어계측공학전공
2000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컴퓨터 및 정보통신공학부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전자정보공학부 디지털공학전공
2009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공과대학 컴퓨터 및 정보통신공학부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공과대학 전자정보공학부 디지털공학전공
2010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공과대학 디지털공학과
2014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디지털공학과
(본분교 통합)
2015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
2020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2015년에 기존의 컴퓨터공학과와 디지털정보공학과가 통합되며 학부로 개편된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가 2020년에 컴퓨터공학부로 명칭을 변경하여 설립된 학부. 글로벌캠퍼스가 본교로 전환된 이후 공대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학과(학부)이며 외대에서 경영학과 다음으로, 글로벌캠퍼스 전체에서 가장 학생수가 많은 학과( 학부)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학교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는 학과이다. 컴퓨터공학부의 전신인 컴퓨터공학과는 2015년 외대 서울캠퍼스, 글로벌캠퍼스 통틀어서 취업률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정확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모두 아우르는 인재육성을 위해 통합되었으며, 기존의 컴퓨터공학과와 디지털정보공학과의 커리큘럼을 전부 수강하며, 2학년때 쯤 컴퓨터 또는 전자트랙을 정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중 어느 쪽을 더 공부할지 정한다. 어느 트랙을 선택하든 다른 트랙의 커리큘럼도 어느정도 수강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외대에서 유일하게 언어를 전공으로 공부할수 있는 이공계 학과이다. 문과학생들이 취업때문에 이중전공을 많이 신청한다.

모바일 인증시 자주 볼 수 있는 PASS 라는 보안인증서 어플을 만들고 운영하는 IT기업 ATON의 김종서[4]대표가 한국외대 컴퓨터공학부 출신이다.

2.2. 정보통신공학과 #

Depart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Engineering
1994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정보통신공학과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정보통신공학과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컴퓨터 및 정보통신공학부
2009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공과대학 컴퓨터 및 정보통신공학부
2010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공과대학 정보통신공학과
2014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정보통신공학과 (본분교 통합)

1994년 정보통신공학과로 신설되었다. 통신기술과 컴퓨터기술이 종합되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통신장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하는 종합적인 학문을 배우는 학과이며, 통신공학의 원리에 대해서 공부를 한다.

쉽게 설명해서 커리큘럼을 보면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통신공학으로 구성되어 있고, 통신에 필요한 컴퓨터공학 관련 과목[5]과 통신에 필요한 전자공학 관련 과목[6][7]을 배운다. 통신에 관한 이론을 배우는 것[8]은 당연지사이다. 컴퓨터 통신과 전자 통신을 나누어서 둘 중 하나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플랜을 짜는 것을 추천한다. 다 할 수 있으면 해도 되는데 힘들고, 취업하는 분야가 다르다. 전공이 외국어로 진행되는 과목이 있고 외국인 교수님은 한국어를 안 쓰신다.

공대답게 프로젝트, 과제가 많다. 다른 외대 공대만큼 빡세고, 졸업 논문도 통과하기 쉽지 않고, 졸업 시험 또한 6과목[9]이라는 많은 과목 수와 평균 60점 이상 합격, 과목 40점 이하 과락, 서술형이라는 특징을 갖는 피곤하고 힘든 시험 중 하나이다. 교수님들께서 공대생에 맞게 아주아주 빡세게 공부를 시키신다.

사실 정보통신공학과는 전자공학과와 합쳐서 전자공학과내 세부전공으로 선택해도 전혀 문제는 없다. 공과대학의 규모가 작은 관계로 학과를 늘려놓은듯. 컴퓨터공학부도 하드웨어 분야는 전자공학과 세부전공으로 소프트웨어 분야는 소프트웨어대학,컴퓨터과학과 등으로 분리시켜도 문제는 없다.

2.3. 반도체전자공학부 #

Division of Semiconductor and Electronics Engineering
1993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전자공학과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전자제어계측공학과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전자제어공학부 전자공학전공
2000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전자정보공학부 전자공학전공
2009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공과대학 전자정보공학부 전자공학전공
2010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2014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본분교 통합)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반도체전자공학부 확대개편(반도체공학전공 신설)

전자공업이 발달한 국가산업구조와 갈수록 ICT융합기술이 응용되는 범위가 넓어지는 시대적 흐름 덕분인지, 역시 다른 전공에 비해 상당히 높은 취업률을 자랑한다.

특히, 세계최대규모로 추진 중인 용인반도체 메가클러스터 조성 이슈로 지방정부는 물론 범정부차원의 산업단지 및 신도시 개발, 전력망, 도로/철도 등 각종 인프라조성사업이 활발하고,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뿐만 아니라 각종 반도체기업들 이주 #도 지속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에 따른 혜택이 기대된다. 대학도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 사업단으로 선정[10]되는 등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인프라 확충에 노력 중이다.

학점따기 어렵다는 공과대학의 특성 때문이겠지만, 커리큘럼이 빡세다. 그리고 양 캠퍼스 문과생들이 많이 고르는 이중전공/부전공 과목 중 하나이다. (산경공,컴공,전자공)

전공 교수님들의 연구실적이 탁월하고, 학생지도도 열성적으로 해주시는 편이다.

2.4. 산업경영공학과 #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1993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자연과학대학 산업공학과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산업공학과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산업정보시스템공학부[11]
2006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정보산업공과대학 산업경영공학부
2009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공과대학 산업경영공학부
2010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공과대학 산업경영공학과
2014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경영공학과 (본분교 통합)

FM: 불패산공

한국외대 공과대학 중에서도 입결에 비해서 내실 있는 학과. 전국 산업공학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회에서도 매해 우수한성과를 거두는 등 실적이 좋다.
취업률도 좋은데 교수님들이 꼽는 1등 원인이 4학년 과목 중 하나인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12]
실제 회사에서 생긴 문제를 해결해주는 프로젝트라서 나중에 면접 때도 할 말이 많다고 한다. 물론 그만큼 빡세다. 며칠씩 밤을 새기도 할 뿐더러 통과 요건도 까다롭다고. 외대 내에서 졸업하기 힘든 과 중 하나라고 한다.물론,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대한산업공학학회에서 주최하는 공모전에서 우수한 성적을 꾸준히 얻고 있으며, 공학관 내 산업경영공학과 전용 스터디룸에서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지금까지 얻은 수상 이력들을 전시하고 있다!

공대 학과 자체가 소규모라서 생기는 장점 중 하나가 시대의 흐름에 맞게 커리큘럼을 바로바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필요하다 싶으면 바로 과목을 넣고, 별로였다 싶으면 그 과목을 바로 뺀다. 그래서 산업공학과 중에서도 커리큘럼 분화가 잘 되어 있는 편이라고 한다.

산경이라고 줄여서 부르면 안되고 산공이라고 줄여서 불러야 한다는 룰이 있다. 하지만 학과 사람들만 안다. 룰까지 갈 것도 없이 산경이라고 하면 대부분 뭔지 모른다

학과 이름을 말하면 보통 경영이라는 단어에 반응해 경영학과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술했듯 산업공학과 경영공학이 합쳐진 학과로, 경영학과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1] 공학 2번 문단 참고, 속칭 공대 대표전공 <전화기> 중 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는 설치되어 있지 않음 [2] 엄밀히 말해서 의공학은 전자공학 관련 분야 중 하나이다. 전자공학과 문서 참조. 형식상으론 바이오메디컬공학부는 2016년 신설 당시부터 공대 자과대에 속하지 않은 독립적인 학부이다 [3] 취업/이과 참고 [4] 김종서 대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진학이후 동대학 대학원에서 전산학을 수료했다. 1995년 금융 IT업계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하고 2000년 아톤 대표 이사로 취임했다. [5] C, JAVA, OS, DB 등 [6] 회로이론, 회로해석, 신호 및 시스템 등 [7] 여기 있는 과목은 전부 한 교수님의 과목들. 중요한 건 신호 및 시스템은 전공필수라는 것이다. [8] 데이터통신,컴퓨터네트워크,정보통신망 등 [9] 3, 4학년 과목 중 6과목 선택 [10] 한국외대, 반도체 분야 5년간 75억원 지원 사업 선정 # [11] 산업정보공학전공, 산업시스템공학전공 [12] 졸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