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03 00:33:06

온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온도(유튜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열역학 · 통계역학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본 개념 <colbgcolor=#FFF,#111><colcolor=#000,#fff> 열역학 법칙{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과정) ·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 질량 보존 법칙 · 에너지 · 물질 · 온도( 절대영도) · 압력 · ( 비열 · 열용량) · ( 일률) · ( 반응계 · 고립계) · · 밀도 · 기체 법칙{ 보일 법칙 · 샤를 법칙 · 게이뤼삭 법칙 · 아보가드로 법칙 · 이상 기체 법칙( 이상 기체)} · 기체 분자 운동론
통계​역학 앙상블 · 분배함수 · 맥스웰-볼츠만 분포 · 페르미-디랙 분포 · 보스-아인슈타인 분포 · 맥스웰-볼츠만 통계 · 페르미-디랙 통계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 페르미온 응집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복잡계( 카오스 이론) · 흑체복사 · 브라운 운동 · 역온도 · 위상 공간
열역학 퍼텐셜 내부 에너지 · 엔탈피 · 자유 에너지(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 깁스 자유 에너지) · 란다우 퍼텐셜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현상
현상
가역성 · 화학 퍼텐셜 · 상전이 · 열전달{ 전도( 열전도율 · 전도체) · 대류 · 복사} · 판데르발스 힘 · 열처리 · 열량( 칼로리) · 네른스트 식 · 물리화학 둘러보기
내연기관 · 외연기관 · 열효율( 엑서지) · 열교환기( 히트펌프) · 카르노 기관 · 영구기관 · 열전 소자
기타 문서 화학 둘러보기 · 스털링 근사 · 전자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기계공학 · 화학공학 · 정보이론 · 맥스웰의 악마 · 볼츠만 두뇌 · 에르고딕 가설미해결 · 브라질 땅콩 효과미해결 }}}}}}}}}

SI 기본 단위
질량
[math(sf M)]
길이
[math(sf L)]
시간
[math(sf T)]
전류
[math(sf I)]
온도
[math(sf Theta)]
물질량
[math(sf N)]
광도
[math(sf J)]
킬로그램
[math(rm kg)]
미터
[math(rm m)]

[math(rm s)]
암페어
[math(rm A)]
켈빈
[math(rm K)]

[math(rm mol)]
칸델라
[math(rm cd)]

1. 개요2. 단위3. 학문
3.1. 온도에 관한 기록들
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온도(, temperature)란 뜨거운 정도, 혹은 차가운 정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2. 단위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온도체계
[math(largeboldsymbol{degree!bf C})]
섭씨온도
[math(largeboldsymbol{degree!bf F})]
화씨온도
[math(largebf K)]
절대온도
[math(largeboldsymbol{degree!bf R})]
란씨온도
[math(largeboldsymbol{degree!bf N})]
뉴턴온도
[math(largeboldsymbol{degree!bf Rtextbfo})]
뢰머온도
[math(largeboldsymbol{degree!bf Racute e})]
열씨온도

전세계적으로 자주 쓰이는 온도의 단위로는 셀시우스도([math(\rm\degree\!C)], 섭씨(攝氏)온도), 파렌하이트도([math(\rm\degree\!F)], 화씨(華氏)온도), 그리고 켈빈([math(\rm K)])[1]이 있다. 켈빈을 제외한 모든 단위 표기에서 [math(\degree)]는 '간격'을 의미하며, 기준이 되는 두 측정값을 [math(n)]등분한 것이 단위 수치 [math(1)]임을 의미한다. 요컨대 각도의 [math(1\degree)]가 시초선을 기준으로 한 [math(1)]회전(또는 [math(n+1)]회전과 [math(n)]회전의 차)의 [math(360)]등분인 것처럼, [math(\degree)]가 붙은 단위들은 정의에 기준이 되는 두 기준점이 따로 존재한다(후술). 이에 반해 켈빈은 열역학적으로 물질의 종류를 막론하고 그 물질이 가진 에너지가 [math(\rm0\,J)]이 되는 절대적인 기준점( 절대영도)을 바탕으로 짜여진 온도 체계이기 때문에 [math(\degree)] 기호가 붙지 않는다.[2] 화씨온도의 눈금 간격을 유지한채로 영점이 절대영도와 같아지도록 조정한 랭킨온도(기호 [math(\rm\degree\!R)])라는 온도 체계도 있는데, 국제적으로 공인된 것은 아니나 절대온도처럼 이 체계 역시 [math(\rm0\,\degree\!R)]이 물질의 에너지가 [math(\rm0\,J)]이 되는 절대 기준점이기 때문에 도([math(\degree)]) 기호를 뗀 [math(\rm R)]로 나타내는 교과서도 더러 있다.
[math(\rm\degree\!C)]와 [math(\rm\degree\!F)]는 서양에서 단위를 가리키는 명칭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표기를 그대로 읽는 것과는 달리, 한자 문화권에서는 별도의 한자 명칭이 주로 쓰이고 눈금 체계를 먼저 읽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테면 [math(25\,\rm\degree\!C)], [math(77\,\rm\degree\!F)]를 각각 서양에서 '25도 셀시우스(25 degree celsius)', '77도 파렌하이트(77 degree fahrenheit)'라고 읽는 반면 동양에서는 '섭씨([math(\rm C)]) 25도', '화씨([math(\rm F)]) 77도'로 읽는다.[3]
심지어 문맥상 온도를 뜻한다는 것이 명확하고 어떤 온도 체계를 쓰는지 굳이 얘기하지 않아도 된다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눈금 체계를 생략하고 단지 '~도(~degree)'만 읽기도 한다. 특히 화씨는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막강한 미국에서 쓰는 단위인지라 섭씨나 화씨를 생략해서 소통에 애로사항이 꽃피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학습 만화에서도 소재로 다뤄질 정도.
어떤 외국인 : 오늘 기온이 90도쯤 되는 거 같네요.
옆의 조선인[4] : 뭐요? 90도면 살 수 없어요! 30도 정도겠지!
외국인 : 90℉라니까요!
- 금성과학학습만화 35권 '기호와 단위'

요컨대 위 인용문에서 외국인은 '(화씨) 90도'(= 섭씨 32도)를 의도한 건데 조선인은 '(섭씨) 90도'로 오해한 것이다. 화씨온도 체계는 물의 어는점이 [math(\rm32\,\degree\!F)], 끓는점이 [math(\rm212\,\degree\!F)]로 섭씨온도 체계에 비해 수치도 크고 간격도 크기 때문에 특히 기온을 얘기할 때 뭔가 감각적으로 이상하다 싶으면 십중팔구 단위가 문제인 것이다. 참고로 [math(\rm90\,\degree\!F \fallingdotseq 32.2\,\degree\!C)]이고, [math(\rm90\,\degree\!C = 194\,\degree\!F)]이다.

이 밖에도 오늘날엔 사실상 쓰이지 않는 단위들이 있는데 낮은 인지도를 반영하듯 이들은 단위 특수 문자도 할당이 안 돼있다. 만들어진 시기의 순서대로 나열하면 이 밖에도 네덜란드의 라이덴에 위치한 저온 연구소에서 독자적으로 썼었다고 알려진 라이덴도(Leiden scale)도 있으나, 공식적으로 쓰인 단위는 아닌 듯 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12] 참고로 셀시우스도, 파렌하이트도, 켈빈은 각각 1742년, 1724년, 1848년에 최초로 고안되었다.

2.1. 단위 환산

아래 온도 환산식에서 [math(T_{\rm X})]는 [math(\rm X)]를 단위로 하는 온도를 나타내는 물리량 기호이고, [math(\dfrac{T_{\rm X}}{\rm X})]는 각 온도 체계에서 단위를 뗀 수치를 의미한다.

유의할 점은, (물리량)[math(=)](수)[math(\times)](단위)이기 때문에 단위가 다른 두 물리량 사이의 관계식을 쓸 때에는 무차원의 수로만 나타내야 한다. 즉, 물리량을 단위로 나눈 것을 써야 하며, 처음 보기에 어색하지만 이 표현이 단위가 다른 두 물리량의 관계식에서 차원을 일치시킨 정확한 표기이다. 계산할 때에는 물리량에 수치만 대입하는 것이 아니고 단위까지 같이 대입해서 계산하며, 특히 온도는 기준점이 다른 경우가 많아 단순한 비례식이 아닌 상위개념인 선형사상(linear map)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이를테면 섭씨 → 화씨 환산에서 [math(T_{\rm\degree\!C} = 25\,\rm\degree\!C)]라고 할 때, [math(\dfrac{T_{\rm\degree\!F}}{\rm\degree\!F} = \dfrac95\dfrac{25\,\cancel{\rm\degree\!C}}{\cancel{\rm\degree\!C}}+32 = 45+32 = 77)]이므로 [math(T_{\rm\degree\!F} = 77\,\rm\degree\!F)]와 같이 계산한다.
단, 두 물리량이 상수배 관계일 때에는 단위만을 대응시킨 약식 표기가 가능하다. 이를테면 셀시우스도 → 뉴턴도의 관계는 [math(\dfrac{T_{\rm\degree\!N}}{\rm\degree\!N} = \dfrac{33}{100}\dfrac{T_{\rm\degree\!C}}{\rm\degree\!C})]인데 양변에 역수를 취하고 물리량을 한쪽으로 이항하면 [math({\rm\degree\!N} = \dfrac{100}{33}\,{\rm\degree\!C}\,\dfrac{T_{\rm\degree\!N}}{T_{\rm\degree\!C}})]가 된다. 여기에서 [math(T_{\rm\degree\!N})], [math(T_{\rm\degree\!C})]는 단위가 다르다는 것을 명시하기 위한 것일뿐 본질적으론 같은 것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므로 [math(\dfrac{T_{\rm\degree\!N}}{T_{\rm\degree\!C}} = 1)]이고 따라서 [math(1\,{\rm\degree\!N} = \dfrac{100}{33}\,{\rm\degree\!C} \Longleftrightarrow 1\,{\rm\degree\!C} = \dfrac{33}{100}\,{\rm\degree\!N})]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폐기된 웨지우드도, 진위가 불분명한 라이덴도는 표에서 제외하였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셀시우스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370px> 파렌하이트도 [math(\dfrac{T_{\rm\degree\!C}}{\rm\degree\!C} = \dfrac59{\left(\dfrac{T_{\rm\degree\!F}}{\rm\degree\!F} - 32\right)})]
켈빈 [math(\dfrac{T_{\rm\degree\!C}}{\rm\degree\!C} = \dfrac{T_{\rm K}}{\rm K} - 273.15)]
뉴턴도 [math(1\,{\rm\degree\!N} = \dfrac{100}{33}\,{\rm\degree\!C})]
뢰머도 [math(\begin{matrix}\dfrac{T_{\rm\degree\!C}}{\rm\degree\!C} = \dfrac{40}{21}{\left(\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7.5\right)}\end{matrix})]
레오뮈르도 [math(1\,{\rm\degree\!R\acute e} = \dfrac54\,{\rm\degree\!C})]
들릴도 [math(\dfrac{T_{\rm\degree\!C}}{\rm\degree\!C} = 100 - \dfrac23\dfrac{T_{\rm\degree\!D}}{\rm\degree\!D})]
랭킨도 [math(\dfrac{T_{\rm\degree\!C}}{\rm\degree\!C} = \dfrac59\dfrac{T_{\rm\degree\!R}}{\rm\degree\!R} - 273.1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파렌하이트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셀시우스도 [math(\dfrac{T_{\rm\degree\!F}}{\rm\degree\!F} = \dfrac95\dfrac{T_{\rm\degree\!C}}{\rm\degree\!C}+32)]
켈빈 [math(\dfrac{T_{\rm\degree\!F}}{\rm\degree\!F} = \dfrac95\dfrac{T_{\rm K}}{\rm K} - 459.67)]
뉴턴도 [math(\dfrac{T_{\rm\degree\!F}}{\rm\degree\!F} = \dfrac{60}{11}\dfrac{T_{\rm\degree\!N}}{\rm\degree\!N} + 32)]
뢰머도 [math(\begin{matrix} \dfrac{T_{\rm\degree\!F}}{\rm\degree\!F} = \dfrac{24}7{\left(\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7.5\right)}+ 32 \end{matrix})]
레오뮈르도 [math(\dfrac{T_{\rm\degree\!F}}{\rm\degree\!F} = \dfrac94\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32)]
들릴도 [math(\dfrac{T_{\rm\degree\!F}}{\rm\degree\!F} = 212 - \dfrac65\dfrac{T_{\rm\degree\!D}}{\rm\degree\!D})]
랭킨도 [math(\dfrac{T_{\rm\degree\!F}}{\rm\degree\!F} = \dfrac{T_{\rm\degree\!R}}{\rm\degree\!R} - 459.6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켈빈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셀시우스도 [math(\dfrac{T_{\rm K}}{\rm K} = \dfrac{T_{\rm\degree\!C}}{\rm\degree\!C} + 273.15)]
파렌하이트도 [math(\dfrac{T_{\rm K}}{\rm K} = \dfrac59{\left(\dfrac{T_{\rm\degree\!F}}{\rm\degree\!F} + 459.67\right)})]
뉴턴도 [math(\dfrac{T_{\rm K}}{\rm K} = \dfrac{100}{33}\dfrac{T_{\rm\degree\!N}}{\rm\degree\!N} + 273.15)]
뢰머도 [math(\begin{matrix} \dfrac{T_{\rm K}}{\rm K} = \dfrac{40}{21}{\left(\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7.5\right)} + 273.15 \end{matrix})]
레오뮈르도 [math(\dfrac{T_{\rm K}}{\rm K} = \dfrac54\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273.15)]
들릴도 [math(\dfrac{T_{\rm K}}{\rm K} = 373.15 - \dfrac23\dfrac{T_{\rm\degree\!D}}{\rm\degree\!D})]
랭킨도 [math(1\,{\rm\degree\!R} = \dfrac59\,{\rm K})]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뉴턴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셀시우스도 [math(1\,{\rm\degree\!C} = \dfrac{33}{100}\,{\rm\degree\!N})]
파렌하이트도 [math(\dfrac{T_{\rm\degree\!N}}{\rm\degree\!N} = \dfrac{11}{60}{\left(\dfrac{T_{\rm\degree\!F}}{\rm\degree\!F} - 32\right)})]
켈빈 [math(\begin{matrix}\dfrac{T_{\rm\degree\!N}}{\rm\degree\!N} = \dfrac{33}{100}{\left(\dfrac{T_{\rm K}}{\rm K} - 273.15\right)} \end{matrix})]
뢰머도 [math(\dfrac{T_{\rm\degree\!N}}{\rm\degree\!N} = \dfrac{22}{35}{\left(\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7.5\right)})]
레오뮈르도 [math(1\,{\rm\degree\!R\acute e} = \dfrac{33}{80}\,{\rm\degree\!N})]
들릴도 [math(\dfrac{T_{\rm\degree\!N}}{\rm\degree\!N} = 33 - \dfrac{11}{50}\dfrac{T_{\rm\degree\!D}}{\rm\degree\!D})]
랭킨도 [math(\dfrac{T_{\rm\degree\!N}}{\rm\degree\!N} = \dfrac{11}{60}{\left(\dfrac{T_{\rm\degree\!R}}{\rm\degree\!R} - 491.67\right)})]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뢰머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셀시우스도 [math(\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dfrac{21}{40}\dfrac{T_{\rm\degree\!C}}{\rm\degree\!C} +7.5)]
파렌하이트도 [math(\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dfrac7{24}{\left(\dfrac{T_{\rm\degree\!F}}{\rm\degree\!F} - 32\right)} + 7.5)]
켈빈 [math(\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dfrac{21}{40}{\left(\dfrac{T_{\rm K}}{\rm K} - 273.15\right)} + 7.5)]
뉴턴도 [math(\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dfrac{35}{22}\dfrac{T_{\rm\degree\!N}}{\rm\degree\!N} + 7.5)]
레오뮈르도 [math(\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dfrac{21}{32}\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7.5)]
들릴도 [math(\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60 - \dfrac7{20}\dfrac{T_{\rm\degree\!D}}{\rm\degree\!D})]
랭킨도 [math(\begin{matrix} \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dfrac7{24}{\left(\dfrac{T_{\rm\degree\!R}}{\rm\degree\!R} - 491.67\right)} + 7.5 \end{matri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레오뮈르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셀시우스도 [math(1\,{\rm\degree\!C} = \dfrac45\,{\rm\degree\!R\acute e})]
파렌하이트도 [math(\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dfrac49{\left(\dfrac{T_{\rm\degree\!F}}{\rm\degree\!F} - 32\right)})]
켈빈 [math(\begin{matrix} \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dfrac45{\left(\dfrac{T_{\rm K}}{\rm K} - 273.15\right)} \end{matrix})]
뉴턴도 [math(1\,{\rm\degree\!N} = \dfrac{80}{33}\,{\rm\degree\!R\acute e})]
뢰머도 [math(\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dfrac{32}{21}{\left(\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7.5\right)})]
들릴도 [math(\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80 - \dfrac8{15}\dfrac{T_{\rm\degree\!D}}{\rm\degree\!D})]
랭킨도 [math(\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dfrac49\dfrac{T_{\rm\degree\!R}}{\rm\degree\!R} - 218.52)]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들릴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셀시우스도 [math(\dfrac{T_{\rm\degree\!D}}{\rm\degree\!D} = 150 - \dfrac32\dfrac{T_{\rm\degree\!C}}{\rm\degree\!C})]
파렌하이트도 [math(\dfrac{T_{\rm\degree\!D}}{\rm\degree\!D} = \dfrac56{\left(212 - \dfrac{T_{\rm\degree\!F}}{\rm\degree\!F}\right)})]
켈빈 [math(\dfrac{T_{\rm\degree\!D}}{\rm\degree\!D} = \dfrac32{\left(373.15 - \dfrac{T_{\rm K}}{\rm K}\right)})]
뉴턴도 [math(\dfrac{T_{\rm\degree\!D}}{\rm\degree\!D} = 150 - \dfrac{50}{11}\dfrac{T_{\rm\degree\!N}}{\rm\degree\!N})]
뢰머도 [math(\dfrac{T_{\rm\degree\!D}}{\rm\degree\!D} = \dfrac{20}7{\left(60 - \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right)})]
레오뮈르도 [math(\dfrac{T_{\rm\degree\!D}}{\rm\degree\!D} = 150 - \dfrac{15}8\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랭킨도 [math(\begin{matrix} \dfrac{T_{\rm\degree\!D}}{\rm\degree\!D} = \dfrac56{\left(671.67 - \dfrac{T_{\rm\degree\!R}}{\rm\degree\!R}\right)} \end{matri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랭킨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셀시우스도 [math(\dfrac{T_{\rm\degree\!R}}{\rm\degree\!R} = \dfrac95\dfrac{T_{\rm\degree\!C}}{\rm\degree\!C} + 491.67)]
파렌하이트도 [math(\dfrac{T_{\rm\degree\!R}}{\rm\degree\!R} = \dfrac{T_{\rm\degree\!F}}{\rm\degree\!F} + 459.67)]
켈빈 [math(1\,{\rm K} = \dfrac95\,{\rm\degree\!R})]
뉴턴도 [math(\dfrac{T_{\rm\degree\!R}}{\rm\degree\!R} = \dfrac{60}{11}\dfrac{T_{\rm\degree\!N}}{\rm\degree\!N} + 491.67)]
뢰머도 [math(\begin{matrix} \dfrac{T_{\rm\degree\!R}}{\rm\degree\!R} = \dfrac{24}7{\left(\dfrac{T_{\rm\degree\!R\text\o}}{\rm\degree\!R\text\o} - 7.5\right)} + 491.67 \end{matrix})]
레오뮈르도 [math(\dfrac{T_{\rm\degree\!R}}{\rm\degree\!R} = \dfrac94\dfrac{T_{\rm\degree\!R\acute e}}{\rm\degree\!R\acute e} + 491.67)]
들릴도 [math(\dfrac{T_{\rm\degree\!R}}{\rm\degree\!R} = 671.67 - \dfrac65\dfrac{T_{\rm\degree\!D}}{\rm\degree\!D})] }}}}}}}}}

3. 학문

좀 더 파고들어가면 열역학을 만날 수 있다. 여기서는 물리학 영역이 되며 운동 에너지나 엔트로피까지 엮인다. 엔트로피 자체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라. 이 열역학에서 말하는 온도의 정의는 분자의 운동 에너지의 평균을 통계로 나타내 수량화한 것이다. 좀 더 자세히 말해보자면 열 평형 상태의 분자의 운동 에너지를 엔트로피 통계치로 미분하여 얻어낼 수 있는 값이다. 근데 또 자연계에서 열 평형 상태라는게 쉽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 아니라서 또 이대로라면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없다.

기체의 분자 운동론에 의하면 절대 온도는 곧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된다. 반면 열은 '에너지'[13] 변환의 한 형태, 곧 다른 물질로 에너지가 전환되는 과정에 수반되는 것이기 때문에 열전도율 열용량이 관여하며, 따라서 온도는 높은데 뜨겁지는 않은 것이 가능하다.[14] 즉 온도가 높다고 반드시 뜨거운 것은 아니다.

분자의 운동 에너지량이 온도를 결정하므로 온도에는 하한선이 있는데, 이 분자 운동이 멈추는 상태를 절대영도라고 한다. 섭씨 온도로 나타내면 [math(\rm-273.15\,\degree\!C)]. 그러나 분자 운동이 완전히 멈추게 되면 그 위치와 운동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불확정성 원리에 위배되어 절대영도는 우리 우주에 존재할 수 없다. 분자 및 원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의 최솟값은 양자 조화 진동자를 이용한 해석에서는 [math(\dfrac12\hbar\omega)](단, [math(\hbar)]는 디랙 상수)이다.

또한, 절대영도의 반대 개념 비슷한 것으로 플랑크 온도라는 것이 존재한다. 양자역학 상 이론적 온도의 최댓값으로, 현대 과학에서 이 이상의 온도를 다루는 것은 무의미하며, 모든 물질이 원자 이하의 단위로 나누어져 에너지가 되는 온도이다. 그 값은 약 [math(1.42\times10^{32}\rm\,K)][15]으로, 빅뱅 우주론에서 빅뱅 이후 플랑크 시간까지의 온도에 해당한다고.[16]

엔트로피에 상한선이 존재하는 아주 특수한 고립계에서는 음의 절대온도도 가능하다.[17] 열역학적으로 온도는 엔트로피를 통해 정의되는 물리량이기 때문에 계가 취할 수 있는 엔트로피의 상한선을 넘어서는 에너지가 공급되면 절대온도의 부호가 [math((-))]가 된 것처럼 원자가 행동하게 된다. 즉, 온도가 커질수록 엔트로피가 커지는 일반적인 상황과 달리 음의 절대온도 영역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엔트로피가 작아진다. 그러나 앞서 온도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뜨거운 것이 아니었듯이 이런 고립계의 음의 절대온도 역시 엄청 뜨거운 상태이다. 이런 특수한 계의 존재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온도보다 더 근본적인 물리량으로서 역온도 [math(\beta=\dfrac1{k_{\rm B}T})] 혹은 절대온도의 역수 [math(\dfrac1T)]을 써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가끔 온도와 을 같은 용어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둘은 다르다. 열은 에너지의 한 형태인 반면 온도는 에너지의 종류가 아니며 열역학적계 내부의 분자 활동의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이 분자 활동이 멈추는 온도가 바로 절대영도다.) 열은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전달되며 전달된 열은 다른 여러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는데 그 중 내부 에너지로 전환된 양에 비례하여 온도가 올라간다.(단, 상전이가 일어날 경우에는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더라도 온도가 변하지 않는다.)

도량형학(metrology)에서 온도의 차원은 [math(\sf\Theta)][18]이다.

3.1. 온도에 관한 기록들

시각화한 온도의 단위
온도의 규모를 길이로 시각화하여 설명한 영상. 절대영도부터 플랑크 온도까지 설명되어있다.[19]

파일:The-Coldest-and-Hottest-Temperatures-in-The-Universe-2.jpg
사진 확대해보기

4. 기타

온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온도계가 있다.

날씨를 말할 때 체감 온도란 말을 쓰는데 온도, 풍속, 일사량 등에 따라 인체가 느끼는 더위와 추위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2001년 8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Joint Action Group for Temperature Indices(JAG/TI) 회의에서 발표된 체감온도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 식은 온도가 [math(T_a\rm\,\degree\!C)], 풍속이 [math(V\rm\,km/h)]일 때 다음과 같다.
[math(T_{wc}/{\rm\degree\!C} = 13.12 + 0.6215 T_a - 11.37 V^{0.16} + 0.3965 T_a V^{0.16})]

일부 게임에서는 이 요소가 등장한다.
레알팜 -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를 조성해줘야 한다. [math(\rm1\,\degree\!C)]만 높아도 생육게이지가 떨어질 수 있다. 지구 온난화가 짜증나는 이유
스포어 - 우주단계에 진입하면 행성을 테라포밍 하기 위해 온도를 적절히 맞춰야 한다. 그록스를 사냥하고 싶을때도 온도를 조절하면 된다. 이 게임에서는 온도가 [math(\rm\degree\!C)]로 표기되지 않고, 온도/대기압 그래프 상에 표시된다.
마인크래프트 - 현실과 달리 -0.5~2 사이의 온도 체계가 있다. 생물군계별로 기온이 다르며 0.15 이하에서 눈이 오고 0.15~1 사이는 비, 1 이상이면 아무것도 내리지 않는다.[20] 눈 골렘은 온도가 1 이상일 때 녹아 죽는다.

5. 관련 문서



[1] 중화권에서는 '켈빈'을 开尔文(kāi'ěrwén; 카이얼원)이라고 쓰기 때문에 '개씨(开氏; 開氏)온도'라고도 한다. 대만에서는 한자만 다른 개씨(凱氏)로도 쓴다. 위의 음차보다 전통적인 음차인 극씨(克氏)로도 쓰기도 한다. [2] 처음 정의될 당시엔 켈빈의 눈금 간격이 섭씨와 같다고(즉 섭씨가 기준) 정의가 됐었기 때문에 과거에는 [math(\rm\degree\!K)]으로 표기했던 역사가 있었으나 #, 이후 켈빈의 눈금 간격을 빈 표준 평균 바닷물 삼중점의 [math(\dfrac1{273.16})]로 정의하기로 수정되면서 [math(\degree)]의 사용에 대한 재고가 이루어져 [math(\rm K)]이 표준이 되었다. # 참고로 2019년 SI 기본 단위들의 정의가 다시 수정됨에 따라 켈빈은 볼츠만 상수를 이용해서 정의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3] [math(\rm\degree\!C)]를 영어 알파벳 읽듯이 '도씨'로 읽는 경우도 있긴 하다. 같은 맥락으로 [math(\rm\degree\!F)]를 '도에프'라 읽을 수 있겠으나 화씨가 애초에 한국에서 잘 안 쓰이는 단위다보니 저렇게 읽는 경우를 접하기는 어렵다. [4] 참고로 이 콤비(?)는 같은 책 조금 앞부분의 미터법 소개에서 척관법 야드파운드법을 고수하다 결투 직전까지 간다. 참고로 척관법에는 온도를 재는 단위가 없다. [5] niúdùn(니우뚠) [6] 단, 뉴턴 본인이 정의한 기준점은 물의 어는점과 사람의 체온([math(\bf12\,\degree\!N)])이다. 사실 그의 논문을 보면 언급된 레퍼런스 외에도 각종 금속 및 합금의 녹는점과 어는점 등 18개의 수치를 제시한 바 있으며 현재의 정의는 개중에서 비교적 오차가 작은 것이 선별된 것이다. 실제로 그가 제시한 18가지의 측정값 중 고온에 있는 값들은 실제 온도보다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7] 1728년 코펜하겐 화재 때 그의 논문 대다수가 불타 없어지는 바람에 뢰머 본인의 공식 문건으로서 남아있는 건 없다. 단, 그의 조수로 일하던 덴마크의 천문학자 호레보우(P. N. Horrebow, 1679~1764)가 뢰머의 연구 노트나 업적들을 정리해놓았고, 호레보우에 의하면 뢰머 온도계가 만들어진 시기가 1702년이므로 온도 체계 역시 1702년쯤에 확립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8] 덴마크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뢰메르'지만 현지 발음은 '뢰머'에 가까우므로 '뢰머'로 표기. [9] 음식을 절일 때 쓰는 소금물로 보통 바닷물의 염도 [math(3.5\,\%)]보다 짠 [math(5\,\%)]이상의 고염수이다. [10] délì'ěr 떠리얼 [11] 여담으로 셀시우스가 처음 셀시우스도를 고안했을 때에도 끓는점이 [math(\rm0\,\degree\!C)], 어는점이 [math(\rm100\,\degree\!C)]였는데 후대에 바뀐 것이다. [12] 위키피디아에서는 [math(\rm\degree\!L)]이라는 기호를 쓰고 있고 수소와 산소의 끓는점을 각각 [math(\rm0\,\degree\!L)], [math(\rm70\,\degree\!L)]로 정의한다고 나와있으나 진위는 확실치 않다. 특히 [math(\rm\degree\!L)]이라는 기호에 대한 출처가 전무하다. [13] 엄격하게 정의하자면 그 물체를 이루는 모든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 총합. [14] 예를 들어 지구 대기의 열권 같은 경우 온도는 [math(\rm2000\,\degree\!C)]까지 올라가지만 열에너지를 전달할 입자가 대기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여 열권에 있으면 얼어 죽는다. 좀 더 가까운 예시로 건식 사우나를 들 수 있는데 [math(\rm100\,\degree\!C)] 가까이 되는 환경임에도 사우나 안에 들어간다고 곧바로 타죽는 게 아닌 이유는 공기의 열전도율이 물보다 낮기 때문이다. 비유하지면 열-온도의 관계는 소수 정예 부대-일원 한 명의 능력치와 같은 것으로, 아무리 능력치(온도)가 높다한들 그 숫자가 적기 때문에 대규모 작전에 부합하지 않는(열이 적은) 것으로 보면 된다. [15] 10의 32승은 라고 부른다. 플랑크 온도는 1구 4200양도 가량인 셈. [16] 영어로된 유튜브 링크 [17] 통계역학에서는 오래전부터 이론적으로 예견되어있던 현상인데 2013년에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 [18] 그리스 문자의 하나인 세타. 삼각함수 배울 때 변수로 쓰던 그 세타의 대문자이다. [19] 1켈빈(혹은 섭씨 1도)를 1cm로 환산하였다. 이 때 플랑크 온도는 관측가능한 우주 길이의 1만배가 넘는다. [20] 고도가 높아지면 기온은 낮아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