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여성정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법원 판례 | <colbgcolor=#FFF,#1F2023> 성인지 감수성 · 어퍼머티브 액션 | |
국회 법률 | 타 법안 내 | 여성 할당제 · 생리휴가 · 부녀자공제 | |
성별 법안 | 양성평등기본법 ( 양성평등기금 · 여성친화도시 · 성인지 교육 · 성인지 예산) · 성별영향평가법 · 여성경제활동법 · 여성과기인법 · 여성기업법 · 여성폭력방지법 · 여성농어업인법 | ||
정부 | 정부 기관 | 여성가족부 (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 한국여성인권진흥원 · 국립여성사박물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 |
재단 법인 | 한국여성인력개발센터 ·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 한국여성경제인협회 ·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 한국여성경제진흥원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 ||
채용 정책 | 여성가산점 · 양성평등채용목표제 · 젠더전문가 | ||
지자체 · 민간 |
여성 전용 | 여성아파트 · 제천여성도서관 · 여학생 휴게실 · 여성 쉼터 · 성매매여성 지원금 · 총여학생회 | |
여성 우대 | 지자체 산하 여성정책 연구기관 · 여성안심 숙박업소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 · 여성안심마을 · 여성안심택배함 · 여성안심보안관 · 여성주차장 · 여성전용칸 |
[clearfix]
1. 개요
보통 대학교 내에 있는 여학생 전용 휴게실. 줄여서 여휴라고 불린다.2. 설명
대학교의 성비가 전체적으로 남성 쪽으로 쏠려 있던 시절에 비교적 소수였던 여학생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총여학생회가 개설되고 그 성과 중 하나로 나타난 것이 바로 여학생 휴게실이다. 교내에서 마음 놓고 잠도 잘 수 없고 담배도 피울 수 없으며 편한 자세로 있기 어려운 여학생들을 위해 여학생들이 편하게 있을 전용 공간을 만들자는 것이 의의였다.목적에 걸맞게 수면실은 꼭 갖춰져 있으며, 흡연실이 따로 있기도 한다. 여자 전용이니 당연히 금남의 구역으로 심지어 음식 배달도 밖에서 받아서 와야 한다.[1] 학교 내에 하나가 있는 게 보통이지만 어떤 곳은 단과별로 하나씩 있기도 한다. 학생증을 대고 출입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여학생들만 다니는 여자대학교에는 특별히 성별 구분 휴게실은 없고, 그냥 휴게실로 퉁친다.
3. 문제점
여학생 휴게실은 있지만 남학생 휴게실은 없다는 이유로 역차별 논란의 중심에 섰다. 남학생들의 불만을 받아들여 남학생 휴게실을 신설하는 학교도 있다.[2] 사실 여휴가 처음 생길 때에는 남학생들이 과방에서 웃통도 벗어제끼고, 담배도 마구 피우는(...) 시절이었기 때문에 여휴는 일종의 해방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나, 시대가 변하고 여학생 비율이 점점 늘어나면서 남학생들도 휴게실을 사용할 때가 생겨 남녀 따로 휴게실을 쓴다는 개념 자체를 여성 우월주의적 개념이라고 보기도 한다.반면 대부분의 페미니즘 운동가들은 여전히 휴게실이 여성의 해방이라는 의미를 가진 공간이므로 여성에게만 주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여기서의 해방이란 성추행의 위험으로부터의 자유, 여성의 흡연을 백안시하는 한국 사회[3]에 대한 비판이 함축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용 휴게실이라는 폐쇄적인 공간에서 자유를 찾는다는 말은 언어도단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첫 트랜스젠더 변호사이자 트랜스젠더 활동가인 박한희에 따르면 여자로 살고 있어 남학생 휴게실 이용이 어렵다고 요청하니 학생증에 출입 권한을 부여받아 여학생 휴게실 출입을 허가받았다고 한다. 화장실이나 탈의실에 비해서는 비수술 트랜스젠더가 이용을 허가받기 쉬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