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5:15:12

아사히 신문

아사히신문에서 넘어옴
일본의 4대 전국 일간지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니혼게이자이 신문
※ 순서는 판매부수 순.

아사히 신문
[ruby(朝, ruby=あさ)][ruby(日, ruby=ひ)][ruby(新, ruby=しん)][ruby(聞, ruby=ぶん)] | The Asahi Shimbun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파일:external/mo-house.net/f15425289706211aae195cc62782bd02.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Flag_of_the_Asahi_Shinbun_Company.svg.png
<rowcolor=#ffffff> 신문 깃발
<colbgcolor=#bc002d><colcolor=#ffffff>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창간 1879년( 메이지 12년) 1월 25일
본사 소재지 오사카부 오사카시 키타구 나카노시마 2초메 3-18
대표자 와타나베 마사타카(渡邊雅隆)
업종명 신문발행업, 정기간행물출판업
성향 자유주의 ( 일본)[1][2]
사회자유주의
중도좌파[3]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상징
3.1. 사기(社旗)
4. 성향
4.1. 한국 관련 기사4.2. 일본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조기방류 청탁 기사 파동
5. 지배구조6. 여담

[clearfix]

1. 개요

아사히 신문 일본 신문이다. 산하에 있는 방송사로는 테레비 아사히 아사히 방송 등이 있다. 발행부수는 2018년 12월 기준, 조간신문 약 595만 부, 석간신문 약 183만 부이다. 발행 부수로는 요미우리 신문에 이은 2위이다.[4] 소속 기자의 규모만 해도 2,000명이 넘는 대형 언론사이다.

2. 역사

아사히 신문은 1879년 1월 25일 오사카에서 기무라 노보루(木村騰)가 창간했다. 1888년에 메사마시 신문을 매입하여 도쿄에 진출, 이후 '도쿄 아사히신문'으로 개칭, 발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듬해 오사카의 아사히신문은 '오사카 아사히신문'으로 개제된다. 때문에 어떻게 보면 요미우리 신문이 도쿄에서 창간해 간토 지방을 대표하는 신문이라고 한다면 아사히 신문은 오사카에서 창간된 긴키 지방을 대표하는 신문이라 볼 여지도 있었지만, 세월이 한창 흐른 지금에 와선 둘 다 전국지라 딱히 의미없는 말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엔 오히려 전쟁을 독려하고 찬양했던 흑역사가 있다. 그러다 전쟁이 패전으로 끝나자마자 논조가 손바닥 뒤집듯이 바뀌어 비판받기도 했다. 물론 이는 당시 군국주의에 대해 해당 신문에서 비판을 하면 군부(혹은 정부)에서 바로 폐간 조치를 내렸던 시절이라 어쩔 수 없는 부분은 있었다. 이는 1905~1925년까지 아사히가 주도하기도 했던 다이쇼 데모크라시 이후 이를 못마땅하게 본 군부와 우익 세력이 국민들의 자유를 억압하기 위해 만든 치안유지법의 효과가 매우 컸다. 심지어 1936년 2.26 사건 때는 아사히 신문사가 쿠데타군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5]

2020년 슈칸분슌이 보도한 쿠로카와 히로무(黒川弘務) 도쿄 고등검찰청 검사장의 마작 내기 스캔들에 아사히신문 기자도 끼어있어서 정직 1개월을 받았다. # 재미있는 건 산케이 신문은 자사 기자가 걸렸음에도 처분을 최대한 미루며 스캔들이 지나가길 바라는 눈치였으나, 아사히는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사과도 하고 처분 조치도 신속하게 내렸다는 것. 아베 정권에 카운터펀치를 날릴 수 있는 사안이었으니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2021년, 재정난에 시달리자 구독료를 올리기로 결정했다. # 사실 전세계적으로 신문 사업 자체가 사장세긴 하지만[6] 2020년 적자를 낸게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근데 2019년은 또 흑자였던거 보면 등락은 있는듯.

2.1. 아사히 신문 습격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적보대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87~1990년 사이에는 극우 성향으로 추정되는 범인에 의해 일어난 신문사 테러인 적보대 사건(아사히 신문 습격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2.2.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 폭로

2018년 아베와 극한 대립을 해왔던 아사히는 모리토모 학원 문서 조작 특종을 터트려 아베 신조 내각을 최대 위기로 몰아넣은 주인공이 되었다.[7] ' 아베가 죽느냐 아사히가 죽느냐'둘 다 안 죽었다 죽긴 죽었다란 말이 나왔을 정도로 언론사의 명운을 건 승부였고, 마침내 결정타를 날렸다. 아사히 신문은 이 보도를 위해 도쿄 오사카의 사회부 정예기자들을 투입했고, 담당 기자들이 마지막 순간까지도 보안 때문에 편집 주간에게도 보고를 하지 않을 정도로 이 보도에 극도로 신경을 썼다. 만약에 이 보도가 오보로 판별된다면 반대 세력의 결집으로 인해 아사히가 궁지에 몰릴 것이 명확했기 때문이다. #

그러나 해당 보도는 점점 사실로 판명되었고, 이 보도 이후 아베 내각의 지지율은 급속도로 추락, 재무성 육상자위대가 문서를 조작한 것이 밝혀진 가케학원 비리와 자위대문서 비리가 연이어 폭로되며 시민들의 분노가 커져갔다. 당시엔 진짜 총리 관저 앞에서 시민들이 시위하고 외신에서도 관심을 가지는 등 아베 내각이 이번엔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올 정도로 나름 기세가 대단했다.

하지만 이후 사건은 자민당 내각하에서 용의자 전원 불기소처분이란 형식으로 흐지부지되어 버렸으며, 20%대까지 떨어졌던 아베 내각 지지율도 다시 4~50%로 회복되었다. 다만 검찰이 권력의 개가 되었다는 식의 비토 수위는 여전히 높은 상황. 해가 바뀌어도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라 아베 내각이 지속되는 한 꾸준히 달고 다닐 시한폭탄 수준이 되었다. 오죽하면 아베의 정치적 스승이라 평가받는 고이즈미 전 총리조차 2020년 한 인터뷰에서, 아베가 이 사건 관련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 같다며 사퇴하는 것이 옳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8]

그리고 이 여파로 자민당 내에서 아베의 영향력이 점점 약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명확히 드러났다. 본래 자민당은 당내 파벌마다 성향이 제각각이라, 총리가 있는 여당 내 총재 파벌이 야당 컨셉의 각 파벌과 연대하기도, 찍어누르기도 하며 정국을 주도하는 터라 총리의 실정으로 틈을 내주면 연정 파트너가 아닌 반대 성향의 파벌이 파고들 여지를 주어 몰리기 십상인데, 그에게 등을 돌리는 계파가 늘어났다는 것은 아베의 힘이 약해지기 시작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9] 실례로 총리 시절과 다를바 없이 과격한 말실수로 구설수에 오르기 일쑤였던 아소 다로 부총리를 절대 자르지 못한 이유도 아소를 유임시키는 것이 아베에게 여론상 부담이 되긴 하지만, 아소의 파벌인 지공회와의 연대가 정권 유지에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취한 측면이 있다.[10]

게다가 지지도와는 별도로 평화 기류에서 벗어나 국방비를 과학이나 의료비보다 많이 사용한다는 비판, 사회적 양극화 심화, 오키나와 기지 건설,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 때문에 반발 시위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것을 볼 때 일본의 시민들 또한 아베 내각 장기집권으로 인한 피로를 호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아베 입장에선 아사히가 치가 떨리긴 할듯.[11]

3. 상징

3.1. 사기(社旗)

아사히 신문의 사기(社旗)는 대어기(大漁旗)로 어부에 대한 희망을 표현한 것이다.

깃발에서 욱일기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텐데, 일단 일본 내에서는 전통 문양의 하나 정도로 큰 문제의식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으며, 하켄크로이츠보단 철십자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대어기는 전통 문양으로 욱일기보다 먼저 나왔다.

한국에서는 욱광(旭光) 이미지는 일본 제국주의를 추종하는 극우의 상징처럼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전범기와 비슷한 아사히 신문의 깃발 역시 현대 일본이 죄의식 없이 욱일기를 사용한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인용되기도 한다. 다만 아사히(朝日,아침해)란 말 자체가 이 문양과 어울리기도 하고, 아사히 신문 자체가 대표적인 진보 신문인데다, 일본 제국의 호전성이 욱일기로 드러나기 이전인 1800년대 후반에 설립된 신문사이기에 사실 아사히 신문 입장에선 억울한 부분도 있다.[12]

사실 일본 제국 시절 일본군이 쓴 공식 욱일기는 햇살이 16개로 엄밀히 따지면 이것과는 다르긴 하다. 다만 육상 자위대는 햇살 8개짜리 욱일기를 쓰며, 해상 자위대는 여전히 일본 제국의 것과 같은 햇살 16개를 쓴다. 그리고 2010년대 이 문제가 불거지면서 일본 내에서도 굳이 주변국 사람들이 싫다는데 이런 문양 쓸 필요가 있냐는 사회적 논쟁의 대상이 된 바는 있다. 사실 다른 언론이라면 씨알도 안 먹힐 말이지만, 아사히 신문은 오히려 위안부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한국의 입장에 가까운 역사수정주의에 반대하는 칼럼을 내는 등 일본 내에서 우익 세력과는 대척점에 있는 등 자유주의 계열 신문이기에 어느 정도 의식은 하는 모양이다.

4. 성향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일본의 자유주의
, 중도좌파
,
,
,
,

일본의 전국 신문지들 중에서는 혁신 계열 언론으로 분류되는 편이다.[13] 다만 국제적으로는 중도좌파[14] 언론으로 평가받는다. 자유주의 좌파[15] 정론지라고 할 수 있다.

당연히 우익적 행보를 걸은 아베 전 총리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라, 아베 본인이 살아있을 시절 2014년 2월 5일 참의회 예산위원회에서 아사히 신문을 직접 거론하며 "아베 정권 타도가 사시(社是)인 신문이라고(들었고). 그런 신문이라고 생각하면서 읽고 있다."고 노골적으로 반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일본 단카이 세대들의 리버럴함을 드러내는 신문이라 보는 평가도 있다. 단카이 세대는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와 비슷한데 1960년대 학생운동이 활발하던 시기 학창시절을 보내 진보적인 성향이 강한 편이다. 그들이 사회에서 물러나면서 일본의 우경화가 되고 있다라는 시각이 있다.

4.1. 한국 관련 기사

일본 넷 우익들이 많은 사이트에선 아사삐(アサピー)나 아카히(アカヒ)[16]라는 멸칭으로 불리기도 하며, 사원의 70% 정도가 재일 한국인이라는 근거없는 공격도 받고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일본의 우익 단체가 종종 본사 앞에서 ' 조선인 물러가라!'며 시위를 벌이기도 한다. 또 아사히(朝日)가 조선일보(報)의 줄임말 또는 조선일보 일본지국(鮮日報本支局)의 줄임말이라는 별명을 붙이기도 한다.

그러나 넷 우익의 망상과 달리 아사히 신문이 일본 내에서 리버럴 성향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한국 관련 무조건 친한적인 논조를 보이는건 아니다. 오히려 주요 한일 갈등 문제에서 일본 정부측 입장을 대변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2018년 징용공 판결에 있어서 아사히 신문은 "한국은 대통령이 사법기관 등의 인사와 예산을 쥐는 ‘제왕적 권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정치는 여론에 영합하기 쉬워 ‘ 국민감정법'이라는 말까지 있다.[17] 이번도 여론의 지지를 얻기 위한 정치 게임에 징용 문제가 얽힌 것이다."라는 식의 견해를 나타내기도 했는데 #, 이는 한국 대법원의 판단이 마치 법적 판단보단 여론에 좌우되었단 뉘앙스를 풍긴다. 해당 징용공 판결의 여파로 벌어진 2019년 한일 무역 분쟁에서도 양비론에 가까운 입장을 보였는데, 이로 인해 당시 한국의 진보 진영 일각에선 아사히 신문조차 저런 주장을 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였다. # 라인 사태에 있어서도 일본 정부의 압력에 의한 지분 매각 자체가 억지이며 반시장적 조치임에도 이에 대해서는 전혀 지적하지 않고 오히려 왜 서버가 한국에 있느냐는 식의 보도를 하는 등 한국인들 입장에서는 오히려 반한적이라고 보일 만한 보도를 하기도 하였다. #

한국 관련 오보도 종종 있는 편으로, 예를 들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2018년 4월 24일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에게 ‘북한의 핵무기 반출’을 제안했다는 보도를 했다가 정부 측에서 허위보도라고 한 적도 있으며, 이후에도 비슷한 문제가 불거지자 당시 한치 앞을 모르던 남북미 관계를 고려해 청와대 무기한 출입금지 조치를 받기도 했다. #

다만 역사에 비춰보면 마냥 반한이라고 보기도 어려운 것이, 초창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가장 적극적으로 알린 신문사가 아사히 신문이었다. 심지어 한국에서도 잘 안 알려진 사실인데, 일본군 위안부 증언을 아사히신문 우에무라 다카시(植村隆) 기자가 한국 언론보다 먼저 보도했다.[18] 때문에 일본 우익들에겐 지금도 반일매국 신문이라고 공격을 받고 있다. 특히 일본의 우경화와 함께 2012년 아베 내각이 들어서면서, 일본 극우 인사들과 오피니언들이 아사히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부 잘못된 사실도 섞어[19] 최초로 퍼뜨린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친자민당 언론을 중심으로 당시 아사히신문을 집중 공격하기도 했다. 이런저런 지속적인 압박 때문인지 아사히신문은 2014년 이미 고인이 된 위안부 납치 증언을 한 요시다 세이지 관련 자사 보도를 일부 취소하기도 했다. # 다만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며 역사수정주의는 여전히 비판했다. 이에 대해 요미우리 신문이 딴죽을 걸기도 했다. #[20]

2014년 1월 22일, 사설에서 안중근 의사를 영웅이자 테러리스트라면서 팔레스타인의 아세르 아라파트[21] 동티모르의 사사나 구스마오[22] 같은 사람이라고 표현해 한일 양국에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아사히 신문 사설의 취지는 한일 양국의 역사 인식의 간극이 깊은 만큼 서로의 주장만 앞세우지 말고 다양한 시각을 인정하고 접점을 찾아나가자는 주장이었지만, 똑같은 사설인데도 일본에서는 영웅이란 단어를 썼다고 우익들에게 까이고, 한국에서는 테러리스트라는 단어를 썼다고 까였다.[23]

파일:아사히 신문의 혐한.jpg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국가별 모금 순위에서 한국을 뺀 도표를 만들어 보도하였다. 그리고 이 표가 넷우익들에게 활용되어 여러 일본 커뮤니티에 돌면서 한국을 '일본 도와주지 않은 국가'로 낙인 찍는데 큰 영향력을 끼쳤다는 의견도 있다. 심지어 현재까지도 일본 내에서 한국이 도와주지 않았던 근거로 많이 쓰이며, 실제로도 대부분(?) 일본인들과 대화를 나누어 보면 2011년 당시 한국에서 대대적인 모금 운동을 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며, 한국이 반일 감정 때문에 안 도와주었고 오히려 기뻐한 걸로[24] 알고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만 아사히 신문이 왜곡해서 보도한 건 아니다. 위 도표는 외국의 지원금 중 의연금 모금 순위로 20위까지 나와있는데 한국은 24위라서 도표에 안나온 것 뿐이다. 뿐만 아니라 독일 캐나다도 나와있지 않다. 한국의 성금은 대부분 적십자를 통한 기금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성격이 다른 의연금 순위가 낮은 것이다.

아사히신문이 보도한 '일한병합의 진상'이란 기사에 일제 시절 조선인들이 일제 모병에 상당한 경쟁률로 참여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물론 언론이 팩트 전달은 해야겠지만 결국 아사히 신문도 이런 식으로 교묘하게 일제강점기를 정당화하는 것 아니냔 말이 일부에서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김복동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자세하게 지면에 싣거나 일제 통치 때문에 징용, 위안부 문제가 발생했다고 일본의 책임을 묻는 기사를 넷우익들의 집요한 공세 속에서도 꾸준히 연재하는 등 반한이라고 보긴 어려운 것도 사실이라 이 신문의 성향을 이거다라고 명확하게 정리하긴 쉽지 않아보인다. 확실한 건 일본 보수 언론보단 사리에 맞고 양심적이라는 것이다.

파일:아사히광주1.png
파일:아사히광주2.png
2021년, 과거 5.18 민주화운동 당시 아사히 신문 기자가 촬영했던 미공개 사진 원본 필름 247장이 발견되었다. 기사 원문 1980년 5월 19일부터 23일까지 일본 아사히 신문 오사카 본사 사진부 소속이었던 아오이 가쓰오 기자가 별세한 뒤, 기자의 장녀가 유품을 정리하다가 247장 분량의 사진 필름을 발견했다고 한다. 이 중 57장은 컬러 사진이라고 한다. 연합뉴스 기사

4.2. 일본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조기방류 청탁 기사 파동

아사히신문의 논설위원 하코다 테츠야는 2023년 8월 16일자 칼럼에 한국 정부 또는 여당에서 일본 정부를 상대로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를 2024년 총선 이전에 빨리 방류해달라고 비공식으로 요청하기도 했다는 내용을 보도하였다.
日韓関係の改善、加速の考え強調 尹大統領 (한일관계 개선, 가속의 생각 강조 윤 대통령) #
韓国はすでに来春に控える総選挙に向け、「政治の季節」に突入しつつある。
尹政権や与党内では、当面の懸案である東京電力福島第一原発の処理水放出が避けられないのであれば、むしろ総選挙に悪影響が少ない早期の実施を求める声が出ている。その意向は日本側にも非公式に伝えられており、日本政府の判断にも影響しそうだ。
한국은 이미 내년 봄 총선거를 앞두고, '정치의 계절'에 점차 돌입하고 있다.
윤 정권과 여당 안에서는, 당면 현안인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의 처리수 방출이 피할 수 없는 문제라면, 오히려 총선거에 악영향이 적은 조기 실시를 바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뜻은 일본 쪽에도 비공식적으로 전해져 있고, 일본 정부의 판단에도 영향을 줄 것 같다.[25]
하코다 테츠야 논설위원이 기고한 이 칼럼은 용산 대통령실 또는 여당 국민의힘의 관계자가 일본 정부로 하여금 해당 메세지를 비공식적으로 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여 당시 정계에서 상당히 큰 논란을 빚었다. 정의당은 아사히신문의 보도 사태에 대해 일본판 총풍 사건이라며 질타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선 이게 사실이 아니라면 아사히신문에 대한 국제적인 정정보도를[26] 정부가 촉구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는 등, 누가 해당 메세지를 일본에 전달했는지에 대한 관심이 정계 안팎으로 확산되자 아사히신문은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요청할 경우 해당 메세지를 전달한 관계자가 누구인지 밝히겠다"고 말했다. 허나 당시 정부와 국민의 힘은 침묵을 지켰고,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그 관계자가 누구인지는 대외적으론 오리무중이 되었다.

5.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파일:일본 국기.svg 아사히 신문사 종업원 지주회 26.29%
파일:일본 국기.svg 공익재단법인 코세츠 미술관 21.02%
파일:일본 국기.svg TV 아사히 홀딩스 11.88%
파일:일본 국기.svg 上野聖二 11.02%
파일:일본 국기.svg 돗판인쇄 7.31%
파일:일본 국기.svg 아사히 방송 그룹 홀딩스 2.31%
파일:일본 국기.svg 上野貴生 1.56%
파일:일본 국기.svg 上野信三 1.54%
파일:일본 국기.svg 小西勝英 1.11%
파일:일본 국기.svg 塩谷律子 1.03%
기타 14.93%


6. 여담



[1] Fackler, Martin (27 May 2016). "The Silencing of Japan's Free Press". Foreign Policy. Retrieved 5 March 2020. "That announcement capped a difficult year-and-a-half for independent media that saw the largest liberal newspaper, the Asahi Shimbun, subdued and other critical commentators removed from the airwaves." [2] 미디어에 있어서 자유주의 리버럴은 보통 문화적 자유주의 진보주의 같은 좌익적 형태의 자유주의를 의미한다. 현재는 리버럴이지만 일본사회당이 존재하던 20세기에는 혁신성향이 두드러졌다. [3] "Japan PM to overturn pacifist defence policy". The Guardian. 30 June 2014. Retrieved 21 February 2020. The left-of-centre Asahi Shimbun accused Abe of abandoning Japan's postwar pacifism after minimal public debate. [4] 전세계 기준으로도 2위다. 이렇게 된 이유는 미국이나 인도, 중국 같이 땅이 넓고 인구가 많은 대국의 경우 지방지가 강세이기 때문인 점도 있다. 다만 21세기 들어 인터넷, 스마트폰의 보편화 등과 맞물려 일본 역시 종이신문의 발행부수가 눈에 띄게 하락하는 추세긴 하다. [5] 사실 한국 언론도 독재정권 시절에는 비슷하게 답습한 현상이기도 하다. 또 지금은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조선일보는 6.25 전쟁 시기 김일성 만세를 외치기도 했다. [6] 이미 산케이 신문은 2020년 전국 간판망을 포기하면서 전국지에서 밀려났다. [7] 아사히 말고도 모리토모 비리를 조사한 존재가 하나 더 있었는데 오사카부 도요나카시의 키무라 마코토(木村真) 시의원이었다. 그는 2016년 5월에 우연히 학교 건설 현장에서 포스터를 보고 처음에는 이런 곳에도 학교가 들어서는 거냐며 대수롭지 않게 넘기려 했으나, 포스터에 디자인 되어 있었던 일장기와 신사를 보고 안 좋은 예감이 들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극우 성향의 교육기관이 들어서면 안된다는 생각에 뒷조사를 하였으나, 알고 보니 단순한 극우 교육기관을 뛰어넘어 아예 정치권 거대 비리의 산물이였던 것. 참고로 키무라 마코토는 학창 시절에 반제국주의 운동에 참여한 이력이 있을 정도로 일본의 우경화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인물이었다. 그러다 보니 해당 사안에 대해 심각하게 반응할 수 있었다. [8] 아베 정부를 적극적으로 쉴드치던 우익정치논객들도 이 사건 이후론 아베 정부에 대해 침묵하는 빈도가 늘었다. [9] 자민당의 계파 갈등은 각복전쟁에서도 알 수 있듯 한국정당의 계파갈등 저리가라 할 정도로 험악한 편이다. [10] 한국에서는 자민당이 장기집권하는 것에 대해 일본인 특유의 정치적 무관심을 비꼬며 조롱을 하기도 하는데, 이 계파 간의 암투 때문에 자민당이 선거에서 이기더라도 아베가 불안해 하는 것이다. 자민당이 수십 년 동안 여당으로 군림했지만 자민당 출신 총리들의 숫자가 수십 명이었던 것도 이런 내부의 계파 갈등이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11] 아사히 신문이 해당 스캔들에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를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원래부터 우익적인 아베 내각과 사이가 나쁘기도 했지만, 더 나아가 아베 내각이 매스컴을 자기 입맛대로 통제할 계획을 세운 것이 결정적인 이유라고 한다. [12] 한국 역시 한자 역만자()나 한국어 니가 또한 나치 독일이나 니거가 대두되기 이전부터 쓰인 것임에도 해외로부터 공격당하는 것이 사실이다. [13] 아사히보다 혁신 성향이 뚜렷한 쪽은 주니치 신문인데, 이쪽은 규모는 꽤 크지만 일단은 지방지로 전국지는 아니다. [14] 중도좌파 관련 출처 : BBC, 가디언, 파이낸셜 타임스 등. [15] 자유주의 관련 출처 : 포린 폴리시,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16] '아카'가 빨간색이라는 뜻이므로 풀이하자면 '빨갱히' 정도의 호칭이라고 할 수 있다. [17] 물론 항목에도 있지만 국민정서법은 실체가 모호한 경우가 많고, 어느 나라에나 있을 수 있는 현상이다. [18] 물론 직후 한국에서도 김복동 할머니가 인터뷰를 하며 한일 양국에서 이슈화되긴 한다. 기자는 1990년도 여름부터 위안부 할머니들을 찾으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이후 서울 지국장에게 피해 할머니들이 증언을 시작하셨다는 정보를 얻고 정대협의 윤정옥 공동대표를 찾아가 조사 내용과 함께 증언 테이프를 듣게 되었다고 한다. # [19] 주로 요시다 세이지 관련 증언이 허구라는 거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20] 참고로 이렇게만 보면 위안부 문제가 마치 여전한 논쟁거리인 양 보일 수도 있는데, 한일협정 등으로 인해 지금까지 이어지는 배상 문제는 차치하고서라도, 위안부의 강제성 문제는 이미 글로벌 학계에선 종결이 난 사안이다. 당장 한국 뿐만 아니라 여러 해외 위안부들의 강제연행 사례가 보고되었고 심지어 요시다 세이지 외에도 강제연행을 자백한 진술은 많다. # 이 당시 국제적으로 아베가 욕 먹고 꼬리내린 것만 봐도.. 역사수정주의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21] 실제로 일본의 상당수 혐한들은 한국과 유대계 사이를 이간질하기 위한 일환 중 하나로 한국의 독립운동과 팔레스타인의 테러리즘을 동일시하는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22]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지배 당시 독립 투쟁에 나선 인물로, 이후 동티모르가 독립하자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23] 근데 사실 테러라는 단어가 21세기 들어 ISIS 등 종교극단주의자들의 무차별 민간인 테러 따위로 어감이 이전보다도 훨씬 나쁘게 변질된 측면은 있다. 정작 사전적으론 테러 항목에도 있듯 당대 독립운동가들 역시 쓰던 단어긴 했다. [24] 대놓고 기뻐한 경우는 별로 없었다지만, 지진이 일어난 해에 전북 현대 세레소 오사카와의 경기에서 '일본의 대지진을 축하합니다'라는 현수막을 걸었다가 욕을 진탕 먹은 적이 있었고, 이 당시 전북 서포터들의 행동이 인상 깊었는지, 축구 좀 본다는 일본인들은 2016년 울산 해역 지진 소식에 '축하는 하지 않겠다'고 반응하는 등 파문은 분명 존재했다. 더구나 일본 지진 관련 소식에는 13년이 지난 2024년 현재에도 9.0짜리 지진은 언제 오냐는 식의 댓글이 달리기도 하고... 다만 당시 다수 여론은 그래도 사람이 떼죽음을 당했는데 좀 자제하자는 분위기였다. [25] 오태규 논설위원 페이스북. [26] 바이든 날리면 논란 등 국내 언론이 보도한 정권에 불리한 기사에는 가짜뉴스라며 수차례 발끈하던 윤석열 정부가 해외 언론발 불리한 뉴스에는 찍소리도 못하는 사례가 늘어가던 시기라 약간 비꼬는 의도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