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수학자중 1981-1990년에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2. 목록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 |
콘스탄티노스 다스칼라키스 | 1981 | 내쉬 균형의 계산 복잡성, 최소 3명의 플레이어가 있는 게임에서 내쉬 균형을 찾는 것이 복잡도 종류 PPAD에 대해 완전하다는 것을 보임 | 2018년 IMU 주판 메달 |
스콧 조엘 아론슨 | 1981 | PostBQP[2] = PP[3]임을 증명, 보손 샘플링(Boson sampling), Algebrizing proof로는 P-NP 문제를 증명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증명 | |
악샤이 벤카테시 | 1981 | 5 이상의 여차원에 대해서 ℤ 위의 이차 형식을 이차 형식으로 표현하는 문제에 대해 하세 원리(국소-대역 원리)가 적용됨을 증명, SL(3, Z)\\SL(3, R)에서 주기적 토러스 궤도의 고른 분포(equidistribution)를 증명[4], 일반적인 수체 위에 GL(1) 및 GL(2) L-함수에 대한 subconvexity 문제 해결 | 2007년 살렘상, 201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8년 필즈상 |
니틴 삭세나 | 1981 | AKS 소수판별법 | 2006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시몬 브렌들 | 1981 | 모든 등각 클레스와 임의의 초기 계량에 대한 야마베 흐름의 수렴을 증명, 미분 가능한 구(Sphere) 정리, 강성에 대한 Min-Oo의 추측에 반례 제시, 로손 추측 증명 | 2014년 보셰 기념상, 2017년 페르마상, 2024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
장웨이[5] | 1981 | 대역(global) 간-그로스-프라사드(Gan-Gross-Prasad) 추측에 대한 심층 연구 및 함수체 사례에서 L- 함수의 더 높은 도함수에 대한 기하학적 해석의 발견 |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9년 클레이 연구상 |
쉬천양[6] | 1981 | K-안정 파노 다양체의 모듈라이에 대한 대수 이론과 K-안정성을 사용하여 최소 모델 프로그램의 특이점에 관한 접근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1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게오르디 윌리엄슨 | 1981 | 루스티그 추측의 반례 발견, 대칭군에 대한 고든 제임스의 추측에 대한 반례 발견, 소르겔 쌍가군(Soergel bimodules)에 대한 호지 이론의 개발과 일반 콕서터 군에 대한 카즈단-루스티그 추측의 증명을 포함한 기하학적 표현론의 선구적인 작업 | 2016년 클레이 연구상,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시 첸[7] | 1981 | 복잡한 가중치를 갖는 CSP 계산의 복잡성 |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윈즈웨이[8] | 1982 | 대역(global) 간-그로스-프라사드(Gan-Gross-Prasad) 추측에 대한 심층 연구 및 함수체 사례에서 L- 함수의 더 높은 도함수에 대한 기하학적 해석의 발견 |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아론 나베르 | 1982 | 기하적 해석학 및 리만 기하학 작업을 위해 특히 Ricci 곡률 경계가 있는 다양체의 미해결 문제를 해결 하기위한 강력한 새 기술을 도입 |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페르마상 |
주신원[9] | 1982 | 시무라 대수 다양체 이론 및 p-진 대수 다양체에 대한 리만-힐베르트 문제에 관한 응용을 포함하는 산술 대수 기하학의 연구 | 2020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앨런 머리 슬라이 | 1982 | 블록 모델 임계값 추측(block model threshold conjecture) 증명[10], 신뢰전파, 강력한 재구성 및 블록 모델의 최적 복구[11], 큰 k에 대한 만족도 추측 증명[12], 무작위 정규 그래프에서 최대 독립 집합[13], 다항식 시간의 정사각형 격자 혼합에 대한 이징모형의 임계값[14], 격자에서 이징 모델에 대한 컷오프[15] | 2019년 루에브상 |
빈센트 필로니[16] | 1982 | 더 높은 히다 이론(higher Hida theory)의 도입 및 개발을 통해 p-adic 모듈러 형식의 산술 기하학에 대해서 공헌함 | 2021년 페르마상 |
바르가브 바트 | 1983 | 프리즘 코호몰로지, 가환 대수학 및 산술 대수 기하학, 특히 p-진 코호몰로지 이론의 개발에 대한 탁월한 연구 |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1년 클레이 연구상 |
박진영 | 1982 | 칸-칼라이 추측 증명 | |
제이슨 피터 밀러 | 1983 | 가우스 자유장(Gaussian free field) 분야에서 슈람-뢰브너 진화를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imaginary geometry를 도입, 측도가 부여된 무작위 곡면의 두 가지 모델인 리우빌 양자 중력과 Brownian map이 동등하다는 것을 증명 | 2017년 클레이 연구상, 2023년 페르마상 |
벤저민 일라이어스 | 1983 | Soergel bimodules에 대한 호지 이론의 개발과 일반 콕서터 군에 대한 카즈단-루스티그 추측의 증명을 포함한 기하학적 표현론의 선구적인 작업 |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허준이 | 1983 | 호지 이론을 조합론에 끌어옴, 기하적 격자에서 다우링-윌슨 추측의 증명, 매트로이드에서 헤론-로타-웰시 추측의 증명, Lorentzian 다항식의 개발, 강한 메이슨 추측의 증명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2년 필즈상 |
알레시오 피갈리[17] | 1984 | 연속성이 없어도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해가 소볼레프 형태의 두 번 미분가능성을 가짐을 보였고 이를 통해 세미지오스트로픽 방정식[18]이 의미있는 해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 최적운송사상을 통해 일반적인 크리스탈의 모양의 정량적인 안정성을 보임, 5 이하의 차원의 경계 반응 항(boundary reaction terms)에 대한 데 조르지의 추측을 증명 | 2018년 필즈상 |
이반 재커리 코윈[19] | 1984 | KPZ 방적식과 universality class[20], 두 개의 상호 작용하는 입자 시스템 q-TASEP와 ASEP에 대한 쌍대 관계를 증명[21], 프로호퍼-스폰(Prähofer-Spohn) 추측 증명[22], 에어리 라인 앙상블에 대한 브라운 기브스 성질[23] | 2021년 루에브상 |
마리나 세르지브나 비아조프스카 | 1984 | 8차원과 24차원에서 케플러 추측 해결 | 2016년 살렘상, 2017년 클레이 연구상, 2018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9년 페르마상, 2022년 필즈상 |
마크 브레이버먼 | 1984 | 대화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에 정보이론을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인 정보 복잡성 이론을 개발함 | 2022년 IMU 주판 메달 |
카이사 마토마키[24] | 1985 | 곱셈 함수 값의 국소 상관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근본적인 돌파구를 제공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위고 뒤미닐코팽 | 1985 | 육각 격자의 연결 상수(Connective constant) [math(\mu=\sqrt{2 + \sqrt{2}})]임을 증명, 2차원 포투인-케스텔라인(Fortuin-Kesteleyn) 침투 모형에 대해 예측되어 온 대로 q>4 일 때 이 상전이가 불연속임을 그리고 q≤4 일 때 상전이가 연속임을 증명했다, 포투인-케스텔라인 침투 모형의 장론적 회전대칭성, 즉 두 격자점이 열린 군집으로 연결될 확률이 격자가 촘촘해질수록 두 점 사이 거리에 의해서만 정해진다는 결과를 발표함 |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17년 루에브상, 2022년 필즈상 |
트리스탄 벅마스터[25] | 1985 | 3차원에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약한 해(weak solution)가 유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는 약한 해 클래스에서 유일하지 않음을 증명[26] | 2019년 클레이 연구상 |
아나 카라아니 | 1985 | 랭글랜즈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변혁적 기여, 특히 시무라 대수 다양체 및 그 응용에 대한 호지-테이트 주기 사상의 기하학에 대한 기본적 결과를 페터 숄체와 함께 설립 | 2023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애미 머피 | 1986 | 사교 기하학과 접촉 기하학에 대한 기여, 특히 loose 르장드르 부분 다양체(Legendrian submanifold) 개념과 매튜 스트롬 보먼 및 야코프 옐리아시베르크와 함께 더 높은 차원에서 overtwisted contact structures 도입 | 2020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필립 이셋 | 1986 | 오일러 방정식의 소산(dissipation)에 대한 온사가의 추측 해결 | 2019년 클레이 연구상 |
제임스 메이너드 | 1987 | 소수 간극의 하극한이 유한한 수인 600보다 작다는 것을 증명, 에르되시-랭킨 추측 해결[27], 더핀-쉐퍼 추측 증명, 주어진 십진수에 대해 십진수 확장에 해당 자릿수가 없는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것을 증명 | 2020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2년 필즈상, 2023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잭 손[28] | 1987 | 대수적 수 이론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변환적 기여, 특히 제임스 뉴턴과 협력하여 holomorphic modular newform의 모든 대칭 거듭제곱의 자기동형을 증명[29] |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4년 클레이 연구상 |
페터 숄체 | 1987 | 퍼펙토이드 개념 고안, 퍼펙토이드 공간, 표수가 0인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math(GL_{n}(k))]에서 국소 랭글렌즈 추측 증명[30], 웨이트-모노드로미(weight monodromy) 추측을 부분적으로 해결, 콘덴스드 수학(Condensed Mathematics) 창시 | 2014년 클레이 연구상, 201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6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31], 2017년 페르마상, 2018년 필즈상 |
쑨쑹[32] | 1987 | 야우-톈-도널드슨(Yau- Tian- Donaldson) 추측 증명 | 2019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앙카나 뤼란드[33] | 1987 | 응용 해석학, 특히 고체-고체 상전이의 미세 구조 분석 및 역 문제 이론에 대한 기여 | 2024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막심 라지윌 | 1988 | 곱셈 함수 값의 국소 상관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근본적인 돌파구를 제공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제이콥 시머맨[34] | 1988 | 지겔 모듈러 대수 다양체 및 모듈러 곡선의 임의에 곱의 경우에 대해서 앙드레-오르트(André–Oort) 추측을 증명 |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줄리안 사하스라부데[35] | 1988 | 평면 다항식 구성, 무작위 대칭 행렬의 특이점 확률 경계 개선, 대각 램지 수의 새로운 상한값 획득 등 조화 해석학, 확률론 및 조합론에 기여 | 2023년 살렘상 |
카림 아디프라시토 | 1988 | 헤론-로타-웨일스 추측 증명, g-추측 증명, 모든 연결된 flag 호몰로지 다양체에서 허쉬 추측 증명 | 2019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존 빈센트 파든 | 1989 | 3차원에서 힐베르트-스미스 추측을 증명, 매듭의 왜곡(distortion)에 대한 그로모프의 문제 해결 | 2022년 클레이 연구상 |
알렉산더 안드레예비치 로그노프[36] | 1989 | 타원 고유치 문제에 대한 해의 두 배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기하학적 조합 방법의 도입,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에 정의된 라플라스 고유 함수의 zero sets에 대한 하우스도르프 측도의 상한 추정치를 증명, 나디라슈빌리(nadirashvil) 추측의 증명 및 야우 추측의 하한 증명 | 2017년 클레이 연구상, 2018년 살렘상, 2021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강동엽 | 1990 | 충분히 큰 모든 k에 대하여 에르되시-파버-로바스(Erdős–Faber–Lovász) 추측을 증명 |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2]
https://en.wikipedia.org/wiki/PostBQP
[3]
https://en.wikipedia.org/wiki/PP_(complexity)
[4]
정확히는 판별식의 값이 무한대의 경향을 가질 때 실수 삼차 수체의 아이디얼 류(ideal classes)에 첨부된 SL(3, Z)\\SL(3, R)
[5]
张伟
[6]
许晨阳, Xu Chenyang
[7]
Xi Chen
[8]
恽 之 玮, 한어 병음: ùn Zhīwěi
[9]
朱歆文, Xinwen Zhu
[10]
A proof of the block model threshold conjecture
[11]
Belief propagation, robust reconstruction and optimal recovery of block models
[12]
Proof of the satisfiability conjecture for large k
[13]
Maximum independent sets on random regular graphs
[14]
Critical Ising on the square lattice mixes in polynomial time
[15]
Cutoff for the Ising model on the lattice
[16]
Vincent Pilloni
[17]
2010년 필즈 메달리스트
세드리크 빌라니의 제자이다, 세드리크 빌라니는 1994년 필즈 메달리스트 피에르 루이 리옹의 제자이다
[18]
1980년대에 영국의 기상학자이자 수학자인 마이크 큘렌이 커다란 지역에서의 태풍의 이동과 같은 대기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유도한 방정식
[19]
Ivan Zachary Corwin
[20]
The Kardar–Parisi–Zhang equation and universality class, Random Matrices, vol 1, 2012, tome 1
[21]
From duality to determinants for q-TASEP and ASEP, Annals of Probability, vol 42, 2014, p. 2314–2382
[22]
Current fluctuations for TASEP: A proof of the Prähofer--Spohn conjecture, Annals of Probability
[23]
Brownian Gibbs property for Airy line ensembles, I Corwin, A Hammond - Inventiones mathematicae, 2014
[24]
Kaisa Matomäki
[25]
Tristan Buckmaster
[26]
Tristan Buckmaster, Vlad Vicol: Nonuniqueness of weak solutions to the Navier-Stokes equation. Annals of Mathematics, Band 189, 2019, S. 101–144
[27]
케빈 포드, 테렌스 타오, 벤 그린, 세르게이 코냐긴의 연구와 독립적으로 증명
[28]
Jack A. Thorne
[29]
For transformative contributions to diverse areas of algebraic number theory, and in particular for the proof, in collaboration with James Newton, of the automorphy of all symmetric powers of a holomorphic modular newform.
[30]
기존의 마이클 해리스, 리처드 테일러가 증명한 것을 더욱 간결하게 해결하였다, 이때 당시 숄체는 만 22세 대학원생이었고 석사논문에서 증명하였으며 마이클 해리스, 리처드 테일러가 증명한 논문이 288페이지이고 10년후 숄체가 새로운 방법으로 증명한 논문은 53페이지이다
[31]
수상을 거절함
[32]
孙 崧, 한어 병음: Sūn Sōng
[33]
Angkana Rüland
[34]
Jacob Tsimerman
[35]
Julian Sahasrabudhe
[36]
Alexander Andreyevich Logun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