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07:08:40

수도가 여러 개인 국가

부수도에서 넘어옴
1. 개요2. 목록
2.1. 법적으로 수도가 여러 개 존재2.2. 법적인 수도 외에 행정수도가 따로 존재2.3. 천도가 완료되지 않음2.4. 그 외 특이한 경우
3. 과거 사례
3.1. 목록

1. 개요

수도는 보통 한 나라 당 하나씩 있지만, 나라에 따라서 수도를 여러 개 두는 경우도 있다. 그 이유는 각 나라마다 다르지만, 권력을 분산시키거나, 나라 전체의 원활한 통치를 위해서거나, 기후 문제로 계절마다 다른 곳을 수도로 삼는 등 다양한 이유가 있다.

공적 권한을 나누어 여러 수도를 지정한 경우에는 '이곳이 대표 수도이다'라는 규정이 없을 때 굳이 하나를 수도로 꼽아야 한다면 통상적으로 행정부의 소재지를 수도로 본다.

관점에 따라 임시수도와 명목상의 수도가 존재하는 국가를 이 케이스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2. 목록

2.1. 법적으로 수도가 여러 개 존재

2.2. 법적인 수도 외에 행정수도가 따로 존재

2.3. 천도가 완료되지 않음

법적으로는 새로운 곳으로 수도를 옮겼지만, 여러가지 사정으로 정부부처를 전부 옮기지 못해서 이전의 수도에 아직도 일부가 남아있는 경우다.

2.4. 그 외 특이한 경우

3. 과거 사례

전근대 시기의 중국 한국에서는 유도(留都)나 배도(陪都)라는 준(準)수도를 운용하는 다경제(多京制)를 운영하기도 했었다.[6] 중국에서는 주나라 호경 낙읍을 양도로 삼았던 것을 시작으로 기본적으로 낙양을 동도(東都), 장안을 서도(西都)로 부르며 중시하는 양경제가 오랫동안 시행되었다. 송나라의 수도는 낙양 동쪽의 개봉이었기 때문에 낙양이 서경(西京) 하남부, 개봉이 동경(東京) 개봉부가 되었다. 원나라 대도 상도를 양도로 삼았다. 명나라는 경사(京師)인 북경(北京) 순천부와 남경(南京) 응천부를 양경으로 삼았다. 이는 지금도 베이징 난징이라는 도시 이름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수도들은 방위를 앞에 붙인 이름( 동경, 서경, 남경, 북경, 상경, 상도)을 자주 썼다.

한국사에서도 고구려, 신라, 발해, 고려, 대한제국에서 수도를 여러 곳을 두는 다경제를 시행했다. 이런 다경제는 당시 중국을 모방한 것으로 황제국의 제도로 여겨졌기 때문에 외왕내제의 일환이기도 했다. 고구려는 후기에 수도 평양성을 비롯해 옛 수도인 국내성, 남부의 중심도시인 한성(지금의 황해도 재령군)을 합해 3경이라 했다.

신라는 수도 서라벌 외에 '작은 수도'라는 의미의 소경(小京)을 현대의 광역시처럼 전국 주요 지점에 설치하였다. 통일 이전에도 아시촌소경( 함안군 또는 의성군), 국원소경( 충주시), 북소경( 강릉시)을 두었지만 통일 이후 북원소경( 원주시), 서원소경( 청주시), 중원경(충주시), 남원소경( 남원시), 금관소경( 김해시) 5곳을 정해, 전국을 9개 단위로 나눈 9주와 함께 9주 5소경을 설치하였다. 이들은 옛 고구려 지역에 2곳, 옛 백제 지역 2곳, 옛 가야 지역 1곳(가야를 원 신라 지역으로 볼 경우 수도 경주시를 포함해 2곳)으로 삼한일통 사상에 의해 지역안배 균등 분배했다.

발해는 수도인 상경용천부를 비롯해 중경현덕부, 동경용원부, 남경남해부, 서경압록부 5경을 두었다. 이 발해의 5경제는 이후 발해의 영토 기반에서 성장한 요나라, 금나라의 5경제로 계승되었다.

고려는 수도인 개경( 개성시) 외에 동경( 경주시), 서경( 평양시), 남경( 서울시)을 따로 두었다. 다만 이 넷을 동시에 4경이라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었고, 격이 다른 개경을 빼고 나머지 셋을 세거나, 개경에 더해 시기에 따라 동경이나 남경을 빼고 세서 3경이라 했다.

조선은 다경제를 시행하지 않았다. 강력한 중앙집권화를 꾀했던 국가답게 수도 한성에 큰 역량을 집중시켰기 때문이다. 국초에는 경도(京都) 한성부를 한경(漢京)으로, 구도(舊都) 개성유후사를 개경(開京) 또는 송경(松京)이라고 부르며 둘을 아울러 양경(兩京)이라고 일컬었지만, 세종 연간에 한성부가 단독 수도로 굳어졌다. 세조 양성지가 상경( 서울시), 중경( 개성시), 동경( 경주시), 남경( 전주시), 서경( 평양시), 북경( 함흥시)로 지정하자고 주장했지만 실제로 이루어지진 않았다. 그러다 대한제국 때에 중국의 전례를 본떠 1903년부터 평양 서경(西京)으로 육성하려고 풍경궁을 짓는 등의 조치를 했으나 계획이 구체화되기 전에 경술국치로 국권이 피탈되었다.

일본의 경우 과거 천황의 조정과 정이대장군 막부로 이루어진 이중적인 권력 구조로 인해, 천황이 기거하는 교토 이외에 가마쿠라 막부가 위치한 가마쿠라 에도 막부가 위치한 에도가 실질적인 양대 수도로 취급받았다. 무로마치 막부의 경우 막부가 교토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다 메이지 유신 이후 교토에 있던 천황이 거처를 에도로 옮기고 에도를 도쿄라 개명하면서 도쿄가 유일한 수도가 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3.1. 목록



[1] 기테가는 부룬디 왕국 시절 수도였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자면 환도다. [2]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라는 지명은 스리랑카 현지인들에게도 너무 길기 때문에 보통 코테로 줄여서 부른다. [3] 야무수크로에 새로운 대통령궁이 건설되긴 했지만 지금도 코트디부아르 대통령은 아비장에 있는 기존의 대통령궁에서 집무를 보고 있다. [4] 독일국 시기에는 대법원이 라이프치히에 있었다. [5] 스위스는 법적으로 정해진 수도가 없다. [6] 유도(留都)는 전수도, 배도(陪都)는 준수도를 이르는 것으로 당연히 유도가 배도보다 급이 높았다. 말하자면 '유도는 전처, 배도는 첩'으로 비유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5
, 8.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