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11:18:44

박미정(정치인)

박미정(광역의원)에서 넘어옴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제9대 광주광역시의회 지역구 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동 1 동 2 서 1 서 2 서 3
홍기월 박미정 강수훈 명진 이명노
서 4 남 1 남 2 남 3 북 1
심철의 서임석 임미란 박희율 안평환
북 2 북 3 북 4 북 5 북 6
정다은 신수정 조석호 심창욱 김나윤
광산 1 광산 2 광산 3 광산 4 광산 5
최지현 정무창 박필순 이귀순 박수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도권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강동길 강태형 고은정 국중범 김경
김광민 김기덕 김대영 김동규 김동영
김동희 김명주 김미리 김미숙 김선영
[ruby(김성수, ruby=경기 안양1)] 김성준 김영희 김옥순 김용성
김인제 김재균 김종득 김종배 김진경
김창식 김철진 김태형 김태희 김회철
남종섭 명재성 문세종 문승호 문형근
박강산 박상현 박세원 박수빈 박승진
박옥분 박유진 박재용 박종혁 박진영
박칠성 변재석 봉양순 서준오 서현옥
석정규 성기황 성흠제 송도호 송재혁
신미숙 아이수루 안광률 양운석 염종현
오금란 오석규 오지훈 왕정순 우형찬
유경현 유경희 유정희 유종상 유호준
이경혜 이기형 이기환 이동현 이민옥
[ruby(이병도, ruby=서울 은평2)] 이병숙 이상훈 이선구 이소라
이순학 이승미 이영봉 이영실 이오상
이용균 이용욱 이원형 이은미 이인규
이자형 이재영 이진형 이채명 이홍근
임규호 임만균 임종국 임창휘 장대석
장민수 장성숙 장윤정 장한별 전병주
전석훈 전자영 정동혁 정승현 정윤경
정종혁 정준호 조미자 [ruby(조성환, ruby=인천 계양1)] [ruby(조성환, ruby=경기 파주2)]
조용호 최기찬 최만식 최민 최재란
최종현 최효숙 한신 황대호 황세주
황진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충청권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구형서 김기서 김민수 김민숙 김선태
김영현 김재형 김현미 김현옥 김효숙
박란희 박병천 박진희 변종오 상병헌
송대윤 안신일 안장헌 안치영 여미전
오안영 오인철 오인환 유인호 이상식
이상정 이순열 이의영 이정우 이지윤
이현정 임영은 임채성 전익현 정병인
조철기 홍기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호남권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동화 강수훈 강태창 국주영은 권요안
김나윤 김대중 김동구 김만기 김명지
[ruby(김성수, ruby=전북 고창1)] 김슬지 김이재 김정기 김정수
김희수 나인권 명진 문승우 박미정
박수기 박용근 박정규 박정희 박필순
박희율 서난이 서용규 서임석 신수정
심창욱 심철의 안평환 염영선 윤수봉
윤영숙 윤정훈 이귀순 이명노 이명연
[ruby(이병도, ruby=전북 전주1)] 이병철 이정린 임미란 임승식
임종명 장연국 전용태 정다은 정무창
정종복 조석호 진형석 채은지 최지현
최형열 한정수 홍기월 황영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영남권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경숙 류경완 반선호 서지연 손근호
손덕상 손명희 유형준 육정미 임기진
전원석 한상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강원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박윤미 류인출 이승진 이지영 전찬성
정재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제주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봉직 강성의 강철남 김경미 김경학
김기환 김대진 김승준 박두화 박호형
송영훈 송창권 양경호 양병우 양영식
양홍식 이경심 이상봉 이승아 임정은
정민구 하성용 한권 한동수 현길호
현지홍 홍인숙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수훈 김나윤 명진 박미정 박수기
박필순 박희율 서용규 서임석 신수정
심철의 안평환 이귀순 이명노 임미란
정다은 정무창 조석호 채은지 최지현
홍기월 }}}
}}}}}}
<colbgcolor=#152484><colcolor=#fff> 제8·9대 광주광역시의원
박미정
朴美貞 | Park Mi-jeong
파일:박미정_광주광역시의원.jpg
출생 1968년 1월 19일 ([age(1968-01-19)]세)
전라남도 해남군
거주지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학력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 석 · 박사)
소속 정당
지역구 광주광역시 동구 제2선거구
(지산1동·2동, 서남동, 학동, 학운동, 지원1동·2동)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8, 9
소속 위원회 환경복지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현직 제9대 광주광역시의회의원
경력 광주대학교 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광주트라우마센터 연구기획팀장
제8대 광주광역시의회의원
제8대 광주광역시의회 전반기 환경복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여성위원장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정치 활동
3.1.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준공영제 특정감사 청구3.2. 무등산 난개발 방지를 위한 민.관.정 위원회 활동3.3. 일하기 좋은 광주 만들기3.4.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 만들기3.5. '광주다움 통합돌봄' 복지서비스 시행
4. 논란5. 여담6. 소속 정당7.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현재 광주광역시의회 의원으로 재직중인 대한민국의 지방 정치인이다.

2. 생애

1968년 1월 19일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태어났다. 해남송지고등학교 졸업 후 대우전자 광주공장에 취업하여 노조 간부로 활동하던 중 업무방해 및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만학도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입학하여 2004년 졸업한 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해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했다.

3. 정치 활동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광주광역시의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어 전반기에는 환경복지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후반기에는 산업건설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내부 지침에 따라 최소 상임위원장 당선이 유력하였으나, 선거 직후 불거진 전직 사설보좌관에 대한 최저임금 미지급 및 급여 일부 횡령 의혹으로 인해 제9대 전반기 의회에 평의원으로 활동하기로 하면서 광주광역시의회 내 재선 의원 중 유일하게 위원장직을 맡지 않은 의원이 되었다.

조례 발의를 많이 하는 의원이다. 민선 7기에만 46건을 대표발의하여 광주광역시의원 중 1위, 전국에서 2위를 달성하였으며, # 재선된 뒤에도 등원 약 1년만에 11건의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2024년 6월 29일 제9대 광주시의회 후반기 의장 후보로 나섰으나 결선에 진출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이로써 전반기 평의원 활동에 이어 후반기에도 재선 의원임에도 의장, 부의장, 운영위원장 등으로 활동할 수 없게 됐다. 이에 대해 지역 정가에서는 무혐의로 끝나긴 했지만 후술할 최저임금 관련 논란이 준 영향이 크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3.1.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준공영제 특정감사 청구

박 의원은 '버스회사의 수익률이 하락할 경우 일정 부분을 해당 지자체의 혈세로 보전해야 한다'는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단점과 광주광역시에 인접한 시·군의 농어촌버스가 광주 시내를 지나면서 약 300억원의 수익을 얻어감에도 불구하고, 도로 개보수 비용 등 광주광역시에 부담하는 금액이 없어 이를 모두 시민의 혈세로 보전하는 문제에 대하여 시정질의 등을 통해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2019년 8월, 해당 사안 역시 광주광역시 감사위원회에 특정감사를 청구하였으며 , 2020년 2월, 특정감사 결과 총 1조 2727억 3800만원의 세금에 대한 재정산 및 회수 결정과 함께 행정상 조치 16명, 신분상 조치 1명, 재정상 조치 4건이 이루어졌다. #

3.2. 무등산 난개발 방지를 위한 민.관.정 위원회 활동

무등산 지역을 지역구로 하는 의원으로, 무등산 조망권을 해친다는 비판을 받아왔던 신양파크호텔 부지 및 건물을 시민들에게 돌려주고자 '무등산 난개발 방지 및 신양파크호텔 공유화를 위한 민.관.정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였다.

3.3. 일하기 좋은 광주 만들기

"일하기 좋은 광주를 만들기 위해 '노동정책 전담 부서 신설'을 제안"하였고, 2019년 1월 노동정책과 노사상생을 전담하는 조직인 '노동협력관'이 설치되었다.

또한, 노동자가 직접 회사 경영에 참여하는 노동이사제를 광주에 도입하기 위해 정책토론회와 간담회를 통한 의견수렴 후 노동자이사제 도입 기준을 당초 100인 이상 고용 기업에서 50인 이상 고용 기업으로 강화하는 내용의 조례를 제정하였으며, 노동의 가치와 노동자를 존중하는 사회 의식을 형성하고자 노동자쉼터 설치 및 조식 제공을 골자로 하는 시정질의, 현장방문 및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광주광역시 노동자쉼터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제정하였다.

3.4.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 만들기

2018년 10월, 박 의원은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를 만들기 위한 계획과 비전에 관하여 시정질의를 진행한 뒤, 관련 정책토론회와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 만들기 추진본부' 발족, 관련 조례 제정 등 활동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21년부터 통합 양육수당 지원, 아이키움지원센터 조직을 신설하고 통합플랫폼 '광주아이키움' 개통을 통한 생애주기별 맞춤지원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당시 전액 삭감될 위기에 놓여있던 출생수당 406억원 확보에 성공하였다.

3.5. '광주다움 통합돌봄' 복지서비스 시행

2022년 11월, '광주광역시 통합돌봄 지원 조례'를 대표발의 했다.

이를 통해 광주시는 전국 최초로 '광주다움 통합돌봄'이라는 돌봄 혁신모델 체계를 마련했다. 광주 시민이라면 질병·장애·사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할 때 연령·소득 등에 상관없이 '누구나'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기존의 돌봄체계는 연령·소득 등 조건에 맞는 특정 대상자만 지원하는 '선별주의' 본인이나 가족이 신청해야하는 '신청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2022년 발생한 '수원 세 모녀 사건'처럼 복지 사각지대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로 돌봄 수요는 향후에도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사회복지사 출신이자 사회복지학 박사인 박 의원은 지난 2011년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책임연구원을 거쳐 제8대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위원장, 제9대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으로 활동하며 '광주다움 통합돌봄'을 설계하고 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특히 '광주다음 통합돌봄'은 2023년 12월 7일 중국 광저우시 에서 열린 제6회 광저우 국제도시혁신상 '최고상'을 수상했다. 또한 △제19회 지방의회 우수조례 '대상' △제5회 거버넌스지방정치대상 '우수상' △전국 지방의회 우수사례 경진대회 '우수상' △제15회 지방의원 매니페스토 약속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함으로써 국내·외 평기기관의 인정을 받았다. # # #

4. 논란

2022년 6월 21일, 전직 사설보좌관 A씨가 "박 의원이 시의원들의 갹출로 마련된 사설보좌관 급여 245만원 중 190만원만 지급하여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월급을 지급했으며, 아들의 의류 구매 심부름 등 갑질과 선거운동 과정에서 선관위에 미신고된 사설 전화방을 운영하였다"며 박 의원을 최저임금법 및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였다. #

이에 박 의원은 "최저임금법 위반을 인지하지 못해 이를 뒤늦게 알고 지난 14일 미지급한 급여를 A씨에게 지급했고, 자신의 보좌관 B씨가 질병 치료 차 병원에서 최소한의 온라인 업무만 진행하기로 함에 따른 업무공백을 메우기 위해 A씨와 4개월 단기계약을 맺었다"며 "보좌관 1인당 지급하기로 한 급여 245만원 중 A씨에게 190만원을, 나머지 55만 원은 B씨에게 치료비와 온라인 업무 수당으로 나누어 모두 지급했으며, 자신이 전혀 착복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8월 8일,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으로부터 '당직자격정지 1개월'의 징계를 받았으나, 박 의원은 "보좌관 임금은 모두 지급됐고, 현행법 위반 여부는 다툼의 소지가 많다"며 8월 22일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에 재심을 청구했다.

광주지방고용노동청에서는 당초 박 의원의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넘겼으나, 검찰의 재수사 요청으로 두 달 간 보완 수사를 벌였고, 11월 15일, 사설 보좌관을 채용한 시의원을 사업주로 보기 어렵고, A씨의 실제 근로시간이 법적기준 미만인 점, 근로기준법이 상시 5명 이상의 근로자를 둔 사업장에 적용되는 점을 고려해 무혐의로 판단, 박 의원을 '혐의 없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한편, 8월 22일 박미정 의원의 징계안이 광주광역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되었으며, 12월 9일, 광주광역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 전체회의 결과, 박 의원에 대해 '징계 대상 아님'으로 의결했다.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의 '혐의 없음' 판단과 함께 윤리심사자문위원회의 '징계 대상 아님' 결정을 존중해야 함에 따라 무기명 투표 끝에 '징계 대상 아님' 의결되었다고 한다.

12월 14일, 광주광역시의회 본회의에서도 '징계 대상 아님'으로 최종 의결되었다. 이에 대해 광주드림을 비롯한 지역 언론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2023년 1월 13일, 광주지방검찰청에서 박 의원의 혐의에 대해 '무혐의'로 불기소 결정했다.

4월 11일,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윤리심판원에서 박 의원의 '당직자격정지 1개월' 징계에 대한 '징계 취소'를 결정했다. #

이번 일에 대해 지역 정가에서는 법적 대응에 성공해 징계는 면했지만 제9대 전반기 의회에서 평의원으로 활동하기로 하면서 광주광역시의회 내 재선 의원 중 유일하게 위원장직을 맡지 않은 의원이 된 만큼 나름의 정치적 타격을 입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후 후반기 의회에서 광주시의회 의장 선거에 나섰으나 결선에도 진출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5. 여담

6. 소속 정당

7.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동구 2
18,128 (63.67%) 당선 (1위) 초선
202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투표 당선 재선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박미정_7회지선.jpg
7회 지선 ( 광주 동구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