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22:06:30

레귤러 쇼

Regular Show에서 넘어옴
역대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단편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
제63회
( 2011년)
제64회
( 2012년)
제65회
( 2013년)
Prep & Landing: Operation: Secret Santa 레귤러 쇼
"Eggscellent"
미키 마우스
"Croissant de Triomphe"

등장인물( 주연 틀) · 에피소드 가이드 · 극장판

레귤러 쇼 (2010~2017)
Regular Show
파일:attachment/RS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800080><colcolor=#fff> 장르 어반 판타지, 모험, 블랙 코미디, 옴니버스
원작 J.G. 퀸텔
총괄 프로듀서 J.G. 퀸텔
커티스 릴라쉬
제니퍼 펠프리
브라이언 A. 밀러
롭 소처
프로듀서 자넷 다이먼
라이언 슬레이터
방송사 카툰네트워크
방영 기간 2010년 9월 6일 ~ 2017년 1월 16일
시즌 수 8
화수 261화
편당 방영 시간 11분
20분(스페셜)
국내 심의 등급 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
}}}}}}}}} ||
1. 개요2. 상세3. 내용4. 특징
4.1. 병맛4.2. 복고풍4.3. 자전적 성격4.4. 그 외 특징
5. 국내 방영6. 해외 방영7. 등장인물8. 방영 에피소드9. 극장판10.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regular-show-8.jpg

2010년 9월 6일부터 2017년 1월 16일까지 카툰 네트워크에서 방송했었던 애니메이션으로, 제임스 갈란드 퀸텔(J. G. Quintel)이 제작을 맡았다.

2. 상세

2010년대 초중반 카툰 네트워크의 작품들 가운데 어드벤처 타임, 검볼, 스티븐 유니버스, 엉클 그랜파와 함께 최고의 인기를 구가했던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시즌 3 17번째 에피소드인 Eggscellent가 에미 상을 수상하기도.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나머지에 비해 떨어지지만, 외국에서의 인지도는 다른 넷 못지않다.

여러모로 같은 방송사의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과 비슷한 애니메이션. 10분, 20분[1]짜리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작자가 등장인물의 목소리를 맡는다.[2] 그리고 심지어 같은 판타지 코미디라는 장르를 타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제작자가 어드벤처 타임의 애니메이터와 작가를 맡기도 하였으니,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른다.

2016년 8월 15일에 마크 해밀이 시즌 8이 마지막 시즌이라는 내용을 공개했지만 삭제되었다. 그리고 2017년 1월 16일(한국 시간대 기준으로 1월 17일)에 3회 연속 특집 에피소드를 마지막으로 종영되었다.

완결 이후로는 2019년 "레귤러 쇼: 25년 뒤"라는 제목의 만화책이 발매되었다. J. G. 퀸텔은 TBS 채널[3]에서 ' 클로즈 이너프'라는 신작 애니를 제작하였다. # 이 작품은 HBO MAX를 통해 2020년부터 방영을 시작했고, HBO MAX가 지원되지 않는 국가에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공개되었다. 클로즈 이너프 조기종영 이후 워너브라더스의 폭거로 인해 둘 다 VOD가 맥스에서 내려갔다

그래도 워너에게 아예 손절당했던 게 아니었는지, 2024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무명 신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원작자 J. G. 퀸텔이 참여하며, 기존 캐릭터들도 등장 예정이라는 듯.

3. 내용

어느 도시에 위치한 어느 공원(이름이 The Park다)에서 공원지기로 일하는, 23살 큰어치 모디카이와 미국너구리 릭비의 평범하지 않은 일상을 다룬 내용.

이 둘은 하라는 공원 관리는 안 하면서 땡땡이치고 놀 생각 뿐이라 매일 상사인 검볼 자판기 벤슨에게 해고당하기 직전이다. 이들이 한 번 사고를 쳤다 하면 한번 공원의 해결사 예티 스킵스마저 수습하지 못할 정도로 초현실적 개판으로 번진다. 거기에 이 둘보다 땡땡이를 덜 쳐서 따가운 눈총에 덜 시달리는 머슬맨 하이파이브 고스트 또한 모디카이-릭비 듀오와 라이벌 관계라 한 번 사고가 시작되면 말리기는 커녕 동조하기 일쑤. 이렇게 매일 아수라장을 만들면서도 모디카이와 릭비가 해고당하지 않는 이유는, 하필 공원지기 중 우두머리이자 공원 주인의 아들 팝스가 이 둘과 죽이 잘 맞기 때문이다.

에피소드 대부분의 전개는 이하의 틀을 따르며, 가끔 여기에 모디카이의 짝사랑같은 플롯이 더 추가되기도 한다.
1. 평범한 일상에서 모디카이와 릭비가 사고를 친다.
2. 그 사고가 점점 커지더니 초자연적 현상으로 번진다.
3. 결국 모디카이와 릭비가 사건을 해결한다. 이 때, 이들과 적대 관계에 놓인 빌런격 인물들은 리타이어하거나 아예 사망한다.
4. 난장판을 보며 모디카이 일행이 실없는 대화 한두마디를 나누거나, 벤슨이 "이 난장판을 안 치우면 너네는 해고야!"라며 이들에게 으름장을 놓는 식으로 끝난다.

4. 특징

4.1. 병맛

이름만 레귤러(regular) 쇼[4]지 사실상 이레귤러(irregular) 쇼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기승전병의 예시로 들어로 손색이 없을 굉장한 병맛이 느껴지는 괴이한 만화. 외국에서 레귤러 쇼를 설명할 땐 가끔 " 평범한 것 빼고 다 있는 쇼"라는 드립이 나온다.

간단한 예를 들자면 팝스라는 캐릭터가 레슬링 놀이를 하다가 허리를 삐끗하자 몰래 레슬링을 보러 갔는데, 하필 대회 측에서 원래 출전하기로 한 레슬링 선수와 팝스를 헷갈리는 바람에 레슬링 대회에 출전하여 챔피언 벨트도 따고 삐끗한 허리도 낫게 되는 Really Real Wrestling(진짜 진짜 레슬링) 에피소드. 이 예시는 그나마 평범한 축에 들어간다.

작화나 연출은 안정적이지만, 스토리가 워낙 병맛이라 그쪽 방면으로는 유명하지 않다. 때문에 몇몇 팬들도 어덜트 스윔에 더 어울린다고 평하는 한편, 어덜트 스윔에 방영될 예정이었는데 변경되었다는 도시전설이 소문으로 나오기도 했다. #

4.2. 복고풍

레귤러 쇼를 얘기할 때 절대로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80, 90년대풍의 분위기. 시간적 배경은 분명히 2000년대[5]지만 80~90년대의 코드가 자주 보인다. 시즌 6 26화 오프닝을 보면 에반게리온 오프닝을 패러디 했다.[6] 깨알같이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고스트버스터즈, 고질라 등과 같은 영화 오마주하기도. 아무래도 레귤러 쇼에 관여하는 대부분의 제작자들이 그쪽 세대이기도 하고, 아무래도 감독인 J.G. 퀸텔이 그쪽에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주인공들은 매번 NES 또는 세가 마스터 시스템[7]비슷한 픽셀이 다 보이는 그래픽의 게임을 즐겨 하며, 아케이드 게임기나 비디오 가게[8]도 자주 나온다. 초반에는 아예 스마트폰[9]이 묘사된 적이 없었다. 후반 들어 스마트 폰도 나오고 와이파이 공유기, 비디오 스트리밍 등 2010년대의 기술이 등장하기는 한다.

심지어는 쇼 내에서 , 벨벳 언더그라운드, 케니 로긴스, 뉴 키즈 온 더 블록과 같은 옛날 가수들의 실제(!) 노래가 자주 등장하기도 한다. 그래서 그런지 12세 이상 시청 등급에도 불구하고 10~20대에 편중된 어드벤처 타임과 달리 레귤러 쇼는 20대 뿐만 아니라 30, 40대에게도 인기가 많다고 한다. 이후 단편에서는 아예 대놓고 웨스 앤더슨 방식의 영화 구성을 패러디하기도 했다.[10]

4.3. 자전적 성격

J. G. 퀸텔이 학창시절에 만든 The Naïve Man From Lolliland, 2 in the AM PM란 단편 애니메이션에 기반한 작품. 저 The Naïve Man From Lolliland에서는 사탕을 돈으로 지불하다 다굴맞는 팝스가, 2 in the AM PM에서는 모디카이와 벤슨이 나온다.[스포일러]

주인공인 모디카이부터가 감독인 J. G. 퀸텔을 모티브로 했고 작중에서 주인공 둘이 하는 짓도 감독이 학창 시절 놀았던 일화를 각색했다. 모디카이의 짝사랑이나 릭비의 대학 졸업같은 것이 부각되는 것을 보면 '철없고 어리버리한 20대의 성장' 또한 주요 플롯 중 하나로, 마지막화에서 이 성장이 결실을 맺게 된다.

이러한 측면 때문에 같은 제작자의 클로즈 이너프 정신적 후속작 취급을 받기도 한다. 똑같이 주인공이 J. G. 퀸텔 자신을 모티브로 삼았다는 점[12]도 그렇지만, 조시-에밀리 부부와 브리지트-알렉스 듀오가 티격태격하는 모습은 거의 모디카이-릭비 듀오와 머슬맨-하이파이브 고스트 듀오의 라이벌 관계를 연상시킨다.

4.4. 그 외 특징

카툰 네트워크의 애니메이션 치고는 여러모로 성인 시청자 또한 겨냥한 작품. 나이트 클럽이 나오거나 등장인물들이 비속어와 화장실 개그를 구사하는 데다, 소다는 그냥 맥주를 검열한 물건 정도로 묘사되고 있다. 심지어 모디카이와 릭비는 나체 상태라고 직접 묘사되기도 하고, 총격전으로 모자라 아예 FBI와 CIA가 나오기도 한다. 등장인물이 사망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은데, "피가 나오지 않고 폭발로 증발하는 연출로만 때우면 윗선에서 대충 오케이를 해줬다"는 얘기가 있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의 등급은 TV-PG V.

꽤나 노래와 연관성이 깊다. 모디카이와 릭비가 매번 즉석에서 노래를 지어 부르는데 주로 이 많다. 당장 레귤러 쇼의 단편 에피소드도 이들이 만들어 부른 노래로 돈을 벌려고 방송국에 찾아가는 에피소드였고, 한 번은 흑인들과 팝스가 랩 배틀을 벌이는 에피소드에 만화의 팬인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가 더빙에 참여한 적이 있었을 정도. 또한 80~90년대에 현존했던 노래를 직접 라이센스를 사서 BGM으로 넣는 경우가 꽤나 많다. 거의 대부분의 에피소드마다 몽타주 연출을 사용하는데, 이 때 종종 BGM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음악과 관련된 에피소드나 보컬이 깔린 삽입곡을 부르는 경우는 적은 편이다.

5. 국내 방영

국내에서는 카툰네트워크에서 2013년 3월 4일부터 방영을 시작했다.[13] 연출은 장석붕 PD.[14]

2013년 4월 2일에 시즌 2까지 다 방영되었고, 2013년 하반기에는 더빙판과 자막판을 돌아가면서 재방영했다. 이후 2014년 6월 16일부터 시즌 3 방영을 시작했다. 7월에 잠시 휴방 기간을 가진 뒤 11월 3일에 다시 방영을 시작했으며, 18일부터는 시즌 4가 방영됐다. 토마스의 성우는 유동균으로 기존 성우의 중복 없이 새 성우가 투입됐다.[15] 12월 16일부터는 다시 휴방 기간을 가졌다. 2015년 3월부터 4월 말까지는 시즌 4 후반부와 시즌 5를 방영했고, 7월 22일부터 8월 12일까지는 시즌 6를 방영했는데, 일부 에피소드를 건너뛰거나, 순서가 섞여서 방영되는 등 문제가 많았다.[16] 시즌 7은 2016년 7월 2일부터 방영되었으나, 시즌 6와 마찬가지로 일부 회차의 순서를 섞어서 방영했다. 10월 29일, 16화를 방영하고 무기한 휴방에 들어갔다가 2017년 7월 21일에 예고 없이 17~18화를 방영하면서 이제 다시 방영하는가 싶더니 또 다시 휴방에 들어갔다. 그러나 2016년 하반기에 카툰네트워크 코리아에서 외주사를 교체한 탓에 시즌 8까지 방영하지 못하고, 시즌 7 18화를 끝으로 조기종영되었다.[17][18]

국내에선 미국 방영 등급과 동일하게 12세 시청가 등급으로 방영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툰 네트워크의 엄격한 자체심의[19]가 어딜 안 가는지 소시지 동족상잔, 좀비와의 전투씬, 머슬맨과 스탈라의 키스씬 등은 다 편집되었다.[20] 시즌 2의 "But I Have a Receipt" 편에서 게임 가게 주인이 에 찔려서 고통스러워하는 장면이 국내 방영 당시에는 통편집되었는데, 카툰네트워크 공식 홈페이지와 쥬니어네이버에서 잠시 제공되었던 VOD에서는 그대로 나온 걸 보면 편집된 장면들 중 대부분은 이미 더빙이 되어 있던 것으로 보인다. 시즌 3의 할로윈 특집에서는 머슬맨이 근육이 드러난 채로 죽는 장면을 그대로 내보냈다.[21][22]

미국 애니메이션 갤러리와 그 후신인 애니-유럽 마이너 갤러리에서 더빙 퀄리티로 상당히 호평받았던 작품. 모디카이와 릭비가 부르는 삽입곡을 전부 수준급으로 더빙[23]했으며, 그 외 더빙[24], 번역[25][26]까지 모난 곳이 없다. 대신 캐스팅에 강호철, 남도형, 사성웅, 이광수, 엄상현, 한경화, 하성용[27], 유동균[28] 뿐이라 중복이 꽤 심한 편. 시즌 2 이후로 김하영, 윤승희, 김율, 김정은, 안현서, 홍범기, 배진홍, 양유진, 강시현 등 매 시즌마다 추가 성우를 투입시키기는 했으나 몇몇 성우가 하차하면서 배역이 교체되고[29], 중복이 더 많아지기도 했다. 그래도 어드벤처 타임의 성우진에 비하면 훨씬 나은 편이다.

더빙판은 에피소드의 순서가 제작사의 제작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이 순서를 따르고 있으며, 미국 방영 순서와 제작 순서는 확연하게 다르다. 타이틀 카드는 한글화 없이 그냥 영어 제목 밑에다가 한글 제목을 띄우는 형식으로 편집이 되었는데, 시즌 7의 할로윈 에피소드에서는 한글화를 해놓은 걸 보면 할 수는 있는데 안 하는 듯하다.

여담이지만 믹싱을 할 때 무슨 문제라도 있던 것인지 시즌 6까지는 배경음이 성우들 목소리에 비해 작거나 아예 묻히는 일이 잦았다. 이 문제는 시즌 7에서 해결되었다.

2016년 5월 27일, 올레TV 독점으로 시즌 1~3 더빙판 VOD가 출시되었으며[30], 2019년 1월 3일부터는 네이버 시리즈온, 라프텔, 올레TV, BTV, Seezn, 왓챠 등에서 시즌 1~7과 더 무비 VOD 서비스를 해주었다.[31][32] 2020년 10월 20일, 두 VOD 모두 판권 만료되었다.

이와 별개로 레귤러 쇼보다도 국내 인기를 얻지 못한, 또는 방영 당시에 더빙 평이 좋지 않았던 극강 매직스워드 스티븐 유니버스, 파워퍼프걸 리부트가 각각 2021년 3월, 7월, 2022년 3월에 기존 성우진을 유지한 채로 더빙을 재개하였으니[33] 레귤러 쇼도 더빙 방영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현재 카툰네트워크 코리아에 의하면 시즌7 후반과 시즌8의 더빙이 논의중인 상태라고 한다. #

2021년에 들어서는 특정 기념일에 특집으로 재방송을 해주며, 2022년 12월부터는 카툰네트워크 코리아 유튜브 계정에 더빙판 클립들이 업로드되고 있다. 2023년 9월을 시작으로 평일 자정에 재방영하고 있으며[34], 2024년 3월에는 주말 밤 11시에 자막으로도 방영했다.

6. 해외 방영

비영어권 아시아국가들에선 인지도가 없는 편이였지만, 대만하고 터키에서는 꽤 인기가 있었다. 대만에서는 天兵公園(텐핑공원)이라는 제목으로 터키에서는 sürekli dizi(직역하면 연속 시리즈)라는 제목으로 방영. 지금도 터키에서는 터키 카넷 공식체널의 레귤러 쇼 스트리밍의 조회수가 100만을 넘는 경우가 흔하다.[35]

방송 검열이 심한 영국의 TV 방영 버전은 아이들에게 부적절한 대사 또는 수위 높은 말장난들을 다 다른 대사로 바꿔서 재녹음을 하거나, 몇몇 장면들을 완전히 다른 장면으로 바꿔서 다시 그려놓는 등 편집하고 수정이 엄청나다. 거의 4Kids급. #, #, #, #, #. #, #[36][37] 그리고 일부 유럽국가들하고 남미 방영분도 편집이 꽤 되는 편이며 국내 방영 당시에 삭제하지 않았던 부분들도 많이 수정되었다.[38]

7.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귤러 쇼/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방영 에피소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귤러 쇼/에피소드 가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극장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귤러 쇼 더 무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파일:레귤러쇼 도시락통 이스터에그.png
[1] 스페셜 에피소드 한정. [2] 이는 후속작으로 나온 클로즈 이너프에서도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다. [3] 패밀리 가이의 제작자 세스 맥팔레인이 만든 아메리칸 대드가 방송되는 채널이다. [4] 쇼가 TV 프로그램을 뜻하기도 하는 만큼 '정규 방송'으로도 번역할 수 있겠는데, 결말부에 이 제목의 진실이 드러난다. [5] Prank Callers 편에서 과거에서 돌아올 때, 기괴한 문들이 있는 복도를 거쳐 현재로 돌아온다. 이 때 문 위에는 연도가 쓰여져 있지만, 현재에는 The Present(현재)라고만 쓰여져 있어 정확히 몇 년인지는 측정불가. 방영일을 기준으로 하면 2010년이고, 1화인 The Power에서 모디카이가 "23살이나 먹고 벽에다 구멍을 내다니"라는 대사로 추측하면 모디카이와 릭비는 1987년생인 셈이다. [6] # [7] 물론 원본 그대로 나오기 보단 파워 베이스(본체)의 좌우가 반전 되어있으며 컨트롤러 포트가 좌측으로 되어있고 이에 따라 파워(전원)버튼이 리셋버튼과 함께 우측의 마이카드 슬롯의 밑에 위치해 있으며 PSG음원을 사용한 원본과는 달리 NES( 패미컴)처럼 삑삑뿅뿅거리는 사운드가 더 부각되어 있다. [8] 아예 VHS 레이저디스크를 에피소드 소재로 써먹기도 했다. [9] 블랙베리같은 쿼터 자판이 있는 휴대전화가 나오기는 했다. [10] 유튜브 링크 [스포일러] 이후 마지막 화에서 이 애니메이션들이 등장한다! [12] 레귤러 쇼의 모디카이는 20대, 클로즈 이너프의 조시는 30대. [13] 시즌 1~6는 재방송을 제외하면 전부 저녁 7, 9시 또는 밤 10시에 방영되었으나, 시즌 7만 유일하게 토요일 아침 10시에 방영되었다. [14] 같은 방송사에서 덱스터의 실험실, 벤10 시리즈, 배트맨 더 브레이브 앤 더 볼드, 스티븐 유니버스, 제너레이터 렉스 등을 담당했다. [15] 그러나 목소리가 캐릭터와 매칭이 안 된다는 평도 꽤 있다. [16] 건너뛰어진 회차는 12, 15, 25화로 총 세 편이며, 세 에피소드들은 9~12월에 예고 없이 방영되었다. [17] 한국에서는 한 편에 두 에피소드씩 묶어서 22분 분량으로 방영하기에 더빙판 순서로 따지면 시즌 7 9화이다. [18] 레귤러 쇼와 동일한 외주사에서 더빙된 카툰네트워크 작품들도 레귤러 쇼와 비슷한 시기에 더빙이 중단되거나 성우진이 모두 물갈이되는 일이 있었다. 게다가 국내에서는 시즌 6가 종영된 후 시즌 7이 방영되기까지 1년이 걸렸다. [19] 한 예로 마기 1기는 애니플러스에서 자막으로 방영된 후 카툰 네트워크에서 더빙 방송이 이루어졌는데, 둘 다 똑같이 15세 시청가 등급으로 방영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애니플러스 자막판에선 단순히 모자이크로 때웠거나 아예 그대로 나갔던 장면도 카툰 네트워크 더빙판에선 편집이 이루어진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20] 물론 편집된 장면은 이게 다가 아니며, 소시지의 동족상잔씬처럼 스토리 전개상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면이 아닌 이상 편집 자체는 감쪽같이 돼있는 편이다. [21]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이 씬은 잘려나갔다. [22] 여담이지만 한국에서 무삭제로 방영한 시즌은 시즌 7뿐이다. [23] 'Mordecai and the Rigbys'에서 나오는 엑스트라의 노래는 자막으로 때웠다. [24] 만화 안에서 랩이 한 번 나왔다 하면 원가사의 뜻을 최대한 살리면서 가사에 라임을 맞추거나, 로컬라이징 같은 경우에도 괴리감 없이 하는 등, 센스 있는 부분들이 꽤 많다. [25] 한국의 찌찌뽕과 비슷한 Jinx를 그냥 대놓고 찌찌뽕으로 번역했다. 그 외에도 머슬맨의 My mom 드립을 그대로 울 엄마로, 이후에 일어나는 패드립은 노골적이진 않지만 네 엄마로 찰지게 번역했다. [26] 시즌 3부터는 닥쳐, 쪼다, 머저리 등 번역에 비속어가 이전 시즌들에 비해서 꽤 많이 들어갔다. [27] 하차를 했는지 시즌 3 이후로는 출연이 없다. [28] 시즌 3 후반부에 게스트로 출연하였으나 시즌 4에서 토마스 역을 맡으면서 고정 출연진이 되었다. [29] 특정 시즌에서 투입된 성우들은 다음 시즌부터 출연이 아예 없어지는 식이었다. [30] 국내에서는 2015년에 시즌 6까지 다 방영되었으나 VOD는 시즌 3까지만 나왔다. [31] 그러나 시즌 4의 'Fool Me Twice' 편과 시즌 6의 '단편 모음' 회차는 빠져있으며, 왓챠의 경우 시즌 7이 아예 없다. [32] 더빙판에서는 매 에피소드마다 엔딩 크레딧을 새로 만들었으나, 2019년에 출시되었던 VOD에서는 일일이 만들었던 크레딧을 에피소드에 맞춰서 사용하지 않고, 특정 에피소드들의 엔딩 크레딧을 첫회부터 마지막회까지 재활용하였다. [33] 세 애니 모두 레귤러 쇼처럼 2017~2018년에 더빙이 끊겼다. [34] VOD에서 누락되어 있던 시즌 4의 ‘Fool Me Twice’ 편은 아예 방영 금지를 먹은 건지 재방송에서 제외됐으며, 아시아 국가에서 방영 금지 처분을 받은 ‘Bald Spot’ 편 역시도 제외되었다. [35] 심지어 어드벤처 타임보다도 인기가 있다고 한다. [36] 참고로 왼쪽이 미국판, 오른쪽이 영국판이다. [37] 국내에서는 시즌 3 이후로 잔인하거나 부적절한 장면이 많은 일부 에피소드들이 영국판으로 수입됐다. [38] Brain Eraser(국내판: 기억 지우기)의 남미 방영분에서 수정된 부분들의 모음이다. 한국에서는 무난하게 무삭제로 방영했다. [39] 다른 카트가 아니라 한 장면에서 뒷좌석이 있는데 바로 다음 장면에 뒷좌석이 없어져 있다. [40] 마찬가지로 공원이 위치한 도시 이름도 그냥 '도시'에, 아일린의 대학교 이름도 '시립대학'이다. [41] 워싱턴 등 미국 동부에서 출발한다면 대서양을 거쳐 동쪽으로 갔을 것이다. [42] 톰슨 기관단총, RPG-7, MAC-10, M2 화염방사기, AKM, M134 미니건, 글록, M1911, 브라운 베스, H&K G3 등. [43] 어쩌면 90년대 느낌을 살려 8비트 세계에서 폴리곤 범벅인 3D 세계를 오갈 수 있었다면 3D의 장점을 살릴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44] 미국 마텔에서 마징가 Z나 라이딘 같은 로봇들을 수입하여 만든 장난감 시리즈이다. 자세한 정보 [45] 그 전에 고지라를 관광시켰다.(참고로 고지라의 특유의 울음소리는 판권 때문인지 다른 걸로 대체 되었다.)